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홍창섭

덤프버전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종현
제2대
양성봉
제3대
최규옥
제4대
최헌길
제5대
김장흥
제6대
서정학
제7대
홍창섭
제8대
심상대
제9대
유기준
제10대
이창근
제11대
박영록
제12대
이규삼
제13대
이용
제14대
박경원
제15대
엄병길
제16대
정상천
제17대
최종완
제18대
정석모
제19대
박종성
제20대
김무연
제21대
김성배
제22대
박종문
제23대
김형배
제24대
김주호
제25대
김영진
제26대
이상룡
제27대
한석용
제28대
함종한
제29대
이상룡
제30대
안경진
제31대
최각규
제32-34대
김진선
제35대
이광재
제36-38대
최문순
제39대
김진태
파일:민선 8기 강원특별자치도 도정구호.svg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춘천시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홍창섭
제2대
신옥철
제3대
양재익
제4대
이상용
제5-7대
심헌구
제8대
이병우
제9대
박학주
제10대
최명도
제11대
박달인
제12대
신철균
제13대
전영춘
제14대
원병의
제15대
박종성
제16대
유기천
제17대
최재영
제18대
김종구
제19대
박건주
제20대
엄대현
제21대
이진호
제22대
이판석
제23대
김태옥
제24대
손주용
제25대
이영래
제26대
조성운
제27대
배계섭
제28대
박환주
제29대
김승래
제30-31대
배계섭
제32대
류종수
제33-34대
이광준
제35대
최동용
제36대
이재수
제37대
육동한
파일:춘천시슬로건.png




파일:대한민국 헌정회 로고.png대한민국헌정회
역대 회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곽상훈
제2대
백낙준
제3-5대
윤치영
제6대
홍창섭
제7-8대
김주인
제9대
김원만
제9(보선)-10대
김향수
제11대
채문식
제12대
유치송
제13대
장경순
제14대
송방용
제15대
이철승
제16-17대
양정규
제17(보선)-18대
목요상
제19대
신경식
제20대
유용태
제21대
유경현
제22대
김일윤
제23대
정대철




제7대 강원도지사
홍창섭
洪滄燮 | Hong Chang-seop
파일:391881.jpg
출생1905년 4월 5일
강원도 양구군
사망2001년 5월 13일 (향년 96세)
강원도 춘천시 퇴계동
본관남양 홍씨
해양(海陽)
재임기간초대 강원도 춘천시장
1949년 8월 15일 ~ 1950년 3월 25일
제7대 강원도지사
1959년 5월 13일 ~ 1960년 4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춘천공립농업학교 (졸업)
의원 선수4
의원 대수2, 3, 8, 9
경력강원도 춘천부윤
초대 강원도 춘천시장
국회 운영위원장
국회 농림위원회 위원장
자유당 중앙당 조직부장
제7대 강원도지사
강원도 유도회 회장
신민당 강원도당 위원장
국회 무소속의원회 회장
대한민국 헌정회 6대 회장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친일반민족행위자, 관료, 정치인이다. 초명은 홍창섭(洪燮)이며, 추후 홍창섭(洪燮)으로 개명하였다. 호는 해양(海陽)이다.


2. 생애[편집]


1905년 강원도 양구군에서 태어났다.# 춘천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하고 1930년 춘천군 산업기수(産業技手)를 시작으로, 1933년부터 1935년까지 울진군 산업기수, 1936년부터 1937년까지 김화군 산업기수, 1938년부터 1939년까지 춘천군 산업기수, 1940년 고성군 산업기수를 지냈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평창군 권업과장, 삼척군수를 지내는 등 관료로 근무하였다. 이 때문에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관료 부문에 포함되었다.

8.15 광복 후에는 원주군수, 춘천시장 등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시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계광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낙선 후 "이름 창()의 운세가 다했다"는 어떤 친지의 조언이 있었고, 또한 친척 중에 자신과 한자까지 동명이인이었던 사람이 있어서 창()으로 개명하였다. 1959년부터 1960년까지 강원도지사를 역임하였다.

1960년 강원도지사로서 3.15 부정선거에 관여하였다는 이유로 같은 해와 1961년 혁명재판에 기소되어 교도소에서 복역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재건 자유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춘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우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자 신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시-춘성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손승덕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손승덕 후보와 신민당 김준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종류선거구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선여부비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1[1]
무소속

6,338 (29.30%)당선(1위)초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

9,045 (44.56%)재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13,193 (45.26%)낙선 (2위)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1[2]

23,976 (36.35%)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d6c574e301bab055bcf2fca542ee596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9,568 (52.79%)당선 (1위)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강원 1[3]
무소속

28,740 (21.65%)당선 (1위)4선[4]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15,348 (10.07%)낙선 (4위)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51:59에 나무위키 홍창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춘천시[2] 춘천시, 춘성군[3] 춘천시, 춘성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4] 민주공화당 손승덕 후보와 동반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