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예곤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무위장군(武威將軍) 불중후(弗中侯) 해예곤
작위불중후(弗中侯)
직위무위장군(武威將軍)
가문대성팔족 중 해씨(解氏)
성씨해(解)
이름예곤(禮昆)
생몰연도? ~ ?

1. 개요
2. 생애
2.1. 남제서 기록
2.2. 북위를 무찌르다
2.3. 제후에 봉해지다
2.3.1. 관작의 의미



1. 개요[편집]


백제 왕조의 제후. 백제 불중(弗中) 지역을 분봉 받았다. 제 24대 동성왕 시대의 후작이다. 백제의 대귀족 가문인 대성팔족 해(解)씨 출신. 해씨는 한성백제 시기부터 대귀족이었으며 웅진성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여전히 위세를 떨쳤다.


2. 생애[편집]



2.1. 남제서 기록[편집]


해예곤은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 사서 《남제서》에 등장한다.

해예곤은 해씨 귀족이고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다. 또한 불중의 후작이었던 만큼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 기록 밖에 없다.


2.2. 북위를 무찌르다[편집]


서기 490년 북위가 백제를 침공하자[1] 해예곤은 동성왕의 명을 받아 사법명, 찬수류, 목간나와 함께 북위군을 대파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겼는지는 알 수 없다.


2.3. 제후에 봉해지다[편집]


백제의 동성왕천자(天子)처럼 종실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이 허락 해주셈!' 같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작위를 봉했다. 그리하여 해예곤은 '무위장군 불중후(武威將軍 弗中侯)'의 관작을 제수받았다.


2.3.1. 관작의 의미[편집]


무위(武威)은 '무력이 위엄을 떨치다'란 의미. 불중은 구 마한 지역의 땅 이름으로 현 전라남도 보성군 일대로 추정된다. 무위장군은 중국의 잡호장군 중 하나이다.

사씨 귀족 사법명, 구 마한 지역 토착 귀족으로 보이는 찬수류에 비해 관작이 낮은데, 이는 한성지역에 기반을 둔 해씨가 웅진-사비 지역 토착세력인 사씨 등에 밀린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웅진시기 해구의 전횡을 생각하면 한성출신 귀족들이 웅진-사비 토착세력에게 완전히 밀려났다고 보기도 어렵다. 해씨 세력이 이전만 못해진건 사실이지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1:12:23에 나무위키 해예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에 대해선 동성왕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