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수류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안국장군(安國將軍) 벽중왕(辟中王) 찬수류
작위벽중왕(辟中王)
직위안국장군(安國將軍)
성씨찬(賛)
이름수류(首流)
생몰연도? ~ ?

1. 개요
2. 생애
2.1. 남제서 기록
2.2. 북위를 무찌르다
2.3. 제후왕에 봉해지다
2.3.1. 관작의 의미



1. 개요[편집]


백제 왕조의 제후왕. 백제 벽중(辟中) 지역을 분봉 받았다. 제24대 왕 동성왕때 활약한 제후.

백제의 유물 '계유명삼존천불비상'[1]에서 '찬불(贊不)'이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이로 보아 찬(贊)을 성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찬불에게 성씨가 따로 있었거나 혹은 성씨가 없어 찬(贊)이 아예 이름의 일부였을 수도 있기 때문에 확실한 건 아니다. 간화된 글자인 賛이 真과 유사하다는 점을 보면 “진수류”를 오기했을 가능성도 있으며, 다른 대성팔족인 사씨, 해씨, 목씨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만큼 정계에 유망한 가문이었을 것은 확실하다.[2]

2. 생애[편집]



2.1. 남제서 기록[편집]


사법명은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한국의 사서에 나오지 않는다. 대신 중국 사서 《남제서》에 등장한다.

찬수류는 분명히 백제의 뛰어난 장수였을 것이고 벽중의 왕이었던 만큼 정치적으로도 큰 영향을 줬겠지만 아쉽게도 매우 단편적 기록 밖에 없다.


2.2. 북위를 무찌르다[편집]


서기 490년 북위가 백제를 침공하자[3] 찬수류는 동성왕의 명을 받아 사법명, 해예곤, 목간나와 함께 북위군을 대파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겼는지는 알 수 없다.


2.3. 제후왕에 봉해지다[편집]


백제는 천자국 제도를 따라 왕족 및 공신에게 작위를 하사해 분봉(分封)을 실시했다. 하지만 남제 등 중국 왕조들에겐 제후국을 자처했음으로 그들에게 백제가 내린 작위를 인정해달라는 제스처를 취했다.

즉 '내가 내린건 임시로 한거니까 님들이 허락 해주셈!' 같은 느낌. 그리하여 찬수류는 '안국장군 벽중왕(安國將軍 辟中王)'의 관작을 제수받았다.


2.3.1. 관작의 의미[편집]


안국(安國)은 '나라를 안정시키다'라는 의미이다. 벽중은 구 마한 벽비리국 지역, 즉 현 전라북도 김제시 일대의 지역명이다. '나라를 안정시킨 장군'이자 '벽중의 왕'인 셈.

[1] 673년 건립.[2] 그외에도 일본서기에 의하면 671년 정월 관직을 수여받은 망명한 백제 인물들 중 '찬피라(贊波羅)'라는 인물이 확인된다.[3] 이에 대해선 동성왕 항목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8:16:01에 나무위키 찬수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