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경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좌현왕불사후면중후
부여기부여곤지부여례목간나
도한왕아착왕매로왕불사후
저근부여고부여력부여고
매라왕벽중왕불중후
사법명찬수류해예곤
섭정비정통
전지왕 섭정찬탈비정통비정통
부여훈해부여설례진이왕부여태
부흥운동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대방군왕대방군왕
풍왕부여융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덕좌왕호왕진왕






당 작위대방군왕(帶方郡王)
당 직위웅진도독(熊津都督)
성씨부여(扶餘)
이름경(敬)
생몰년도? ~ ?

1. 개요
2. 행적
3. 기타



1. 개요[편집]


백제의 왕족. 31대 의자왕의 증손자로, 부여융의 손자. 부여융의 아들로는 부여문사,[1] 부여문선, 부여태비 묘지명에서 언급된 부여덕장(扶餘德璋)이 확인되지만 세 사람 외에도 아들이 더 있었을 가능성이 있어 아버지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단, 부여융 사후 부여융의 아들들인 부여문선, 부여덕장이 살아있었음에도 그들을 제치고 부여융의 손자인 부여경이 대방군왕에 임명된 점으로 보아,[2] 부여융의 적장자인 부여문사의 아들로 태어났을 것이라는 추측이 많다.


2. 행적[편집]


677년 당은 백제 웅진성에 있던 웅진도독부요동에 있는 구 고구려 지역의 건안성으로 옮기면서 웅진도독부 소속의 백제 유민들도 함께 이주시키고, 부여융을 '웅진도독 대방군왕(熊津都督 帶方郡王)'으로 삼아 다스리게 했다. 이렇게 한 이유는 백제 전역을 이미 671년 전후로 신라가 차지했기 때문이다. 682년 부여융이 사망한 후, 측천무후가 부여경에게 왕위를 계승하게 했다. 《동국통감》 권9 <신라기>에 따르면 686년 고구려 보장왕의 손자 고보원(高寶元)이 '조선군왕(朝鮮郡王)'을 제수받은 시기와 같다.

구당서》<현종본기>의 기록에 따르면 725년 내신으로 번국의 '고(구)려조선군왕'과 함께 '백제대방군왕'이 언급된다. 이 '백제대방군왕'이 부여경과 동일인물인지는 확인된 바가 없다.


3. 기타[편집]


677년 건안성으로 옮겨진 웅진도독부에 대한 기록이 전무해서 이들이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다. 2009년 이도학 교수는 발해가 8세기 중반 ~ 9세기 초반에 요동 반도에 진출했을 때 발해에 흡수되어 사라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청남도문화연구원에서 발간한 백제사 시리즈 백제 유민편에서는 그보다도 이전인 7세기 말, 즉 이미 부여경이 즉위했을 때부터 웅진도독부는 진작에 대조영의 공격을 받아 멸망해 발해에 흡수당하고 대방군왕이라는 허울좋은 껍데기만 남은 상태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건안성으로 옮겨진 백제 유민들이 당나라로부터 자립해서 소백제를 형성했을 가능성은 적다. 《구당서》 <현종본기> 725년 기사에서 신라, 말갈,[3] 일본은 조회하러 온 국가로 기술한 반면 '고려조선군왕', '백제대방군왕'은 당나라의 내신으로 외국으로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소고구려설이 아직은 학설 수준에 머무는 것처럼 건안성의 백제 유민들이 '소백제'를 형성했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52:48에 나무위키 부여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부여효의 아들로 보는 설도 존재한다.[2] 부여문선은 《신당서》 <돌궐전>에 따르면 698년 총관에 임명된 기록이 남아있고, 부여태비 묘지명에서 부여덕장은 자신의 딸인 부여태비를 690년에 낳았다.[3] 아마도 발해 또는 말갈 부족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