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인첨

덤프버전 :



윤인첨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고려사(高麗史)
[ 세가(世家) ]

1·2권3권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성종 · 목종현종 · 덕종
6권7·8·9권10권
정종靖宗문종 · 순종선종 · 헌종
11·12·13·14권15·16·17·18·19·20권21권
숙종 · 예종인종 · 의종 · 명종신종 · 희종 · 강종
22·23·24권25·26·27권28·29·30·31·32권
고종원종충렬왕
33·34·35권36권37권
충선왕 · 충숙왕충혜왕충목왕 · 충정왕
38·39·40·41·42·43·44권133·134·135·136·137권 ※ [ 열전 ]45·46권
공민왕우왕 · 창왕공양왕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 열전(列傳) - 후비·종실·공주 ]

88·89권 「후비(后妃)」
90·91권 「종실(宗室)」 · 「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혜종정종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성종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원정왕후 · 원화왕후-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예종
명의태후 유씨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승덕공주 · 흥경공주
인종의종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신종희종
선정태후 김씨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강종고종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안혜태후 유씨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충선왕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세자 왕감 · 덕흥군용산원자
충혜왕공민왕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열전 - 제신(諸臣) ]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103권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107권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110권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115권116권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118권119권120권
조준정도전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121권
「양리(良吏)」「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효우(孝友)」「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방기(方技)」「환자(宦者)」「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송길유 · 심우경
123권 「폐행(嬖幸)」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嬖幸)」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姦臣)」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姦臣)」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127권 「반역(叛逆)」128권 「반역(叛逆)」129권 「반역(叛逆)」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130권 「반역(叛逆)」131권 「반역(叛逆)」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叛逆)」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신창(창왕))



고려 파평 윤씨의 계보도
문숙공
윤관
<white,#191919> 윤언이문정공
윤인첨
<white,#191919> 파평▨대부인



對 조위총 임시 군단 원수
윤인첨
시호 문정공(文定公)
본관파평 윤씨
이름인첨(鱗瞻)
태조(胎兆)
가족아버지 윤언이
어머니 광양군대부인(光陽郡大夫人) 김씨[1]
아내 대흥군부인(大興郡夫人) 한씨[2]
장남 윤종악 (?~1170)
차남 윤종회
삼남 윤종함
사남 윤종양 (1143~1188)
장녀 윤씨[3]
생몰연도음력 1110년 ~ 1176년
1. 개요
2. 생애
3. 경력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고려 중기의 문신[4]이자 무신.[5]

파평 윤씨 가문의 일원으로 문무를 겸비한 선비였다. 하지만 무신정변으로 인해 죽기 전까지 무관들의 눈치를 봐야 했던 비운의 인물이다.


2. 생애[편집]





별무반을 이끌던 윤관의 아들이자 김부식칭제건원 문제로 대립했던 유명한 윤언이장남으로 1110년에 태어났다[6].

1132년 인종 연간에 과거에 급제했다. 당시 지공거 최자성의 출제 오류 때문에 급제가 취소될 뻔했는데, 윤인첨의 장인 한유충 등의 노력으로 급제자 신분을 유지하게 됐다. 의종 때 시어사(侍御史)가 되었으나 고관에게 잘못보여 좌사원외랑(左司員外郞)으로 강등되었다가 기거주(起居注)가 되었다. 그 후 형부시랑이 되었고, 서북면병마부사가 되었는데 이 때 변경에서 금나라와 관련된 일을 당했으나[7] 조정에 보고하지 않았다. 1169년 우간의대부가 되어 다시 내직으로 복귀하였다.

이때까지 보면 평범한 문신의 삶을 살아왔다고 볼 수 있겠다. 물론 1170년에 일어난 무신정변으로 그의 인생은 급변하게 된다. 1170년 무신정변이 발생한다. 이 때 상당수 문신이 화를 당했으나, 윤인첨 본인은 김부식과 대립하였던 윤언이의 장남이었는데다 별무반을 이끌었고 무신들에게 명망이 높았던 윤관의 손자였던 덕분에 간신히 살아남을 수 있었고, 그동안 나이에 비해 상당히 낮은 관직을 전전했던 것[8]이 여러모로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명종이 즉위하자 국자감대사성에 올랐다가 지추밀원사와 참지정사, 판병부사를 거쳐 중서시랑평장사로 승진하였고, 1172년 동북면병마판사 - 행영병마판사 겸 중군병마판사[9]가 되었다. 1173년 김보당의 난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가 유응규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곧바로 수태사에 오르고 상장군이 되어 중방에 참여하게 되었다.

조위총의 난 토벌군
원수(元帥)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윤인첨
부원수(副元帥)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기탁성
중군(中軍)
병마사(兵馬使)
좌군(左軍)
병마사(兵馬使)
우군(右軍)
병마사(兵馬使)
전군(前軍)
병마사(兵馬使)
후군(後軍)
병마사(兵馬使)
상장군(上將軍)
최충렬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진준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경진
상장군(上將軍)
조언
상장군(上將軍)
이제황
지병마사(知兵馬使)지병마사(知兵馬使)지병마사(知兵馬使)
섭대장군(攝大將軍)
정균
섭대장군(攝大將軍)
문장필
사재경(司宰卿)
하사청
기타 지휘관
동로 가발 병마부사(東路加發兵馬副使) → 후군 총관사(後軍摠管使)
두경승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 지병마사(知兵馬事)
이의민

1174년 서경유수 조위총이 일으킨 조위총의 난이 일어나자 토벌군의 원수로 임명되어 10월에 삼군을 이끌고 진압에 나섰으나 오히려 궤멸당하는 패배를 당했다. 이 과정에서 싸우다 죽으려 하였으나 정균이 말려 겨우 죽음을 면하고 돌아오게 되었다. 이 과정 중에 이의방이 직접 조위총의 난을 진압하려 손수 나섰다가 추위로 인해 실패했고, 또한 정균과 그와 모의한 승려 종참에 의해 제거되는 변란이 발생되기도 했다. 11월에 더 규모가 커진 토벌군의 원수가 되어 공격에 나섰고, 1176년 두경승의 도움을 받아 서경을 함락시키고 조위총을 처형시켰다.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추충정란광국공신 - 상주국 - 감수국사[10]가 되었다. 하지만 당해 그는 세상을 떴고, 수태사 - 문하시중이 추증되었다. 차후 명종의 묘정에 배향되어 문정공 시호를 받았다.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는데, 장남 윤종악(尹宗諤)은 대부주부(大府主簿)를 지내다가 정중부의 난에 휩쓸려 죽었다. 차남 윤종회(尹宗誨)는 판예빈성사(判禮賓省事), 삼남 윤종함(尹宗諴)은 국자좨주(國子祭酒), 사남 윤종양(尹宗諹)은 형부시랑(刑部侍郞)을 각각 지냈다. 윤종함과 윤종양은 대가 이어지지 못하고, 윤종악과 윤종회의 후손들이 파평 윤씨 문정공파(文定公派)를 이루어 윤인첨을 파조(派祖)로서 모시고 있다.


3. 경력[편집]


조위총의 난 진압 후 관작
공신호추충정란광국공신(推忠靖亂匡國功臣)조위총의 난 제압 후 하사받은 광국공신호
직위문관직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
- 감수국사(監修國史)
평장사는 중서문하성 차관, 감수국사는 사관의 장관
무관직상장군(上將軍)최고위 무관직. 어느 부대 소속인지는 알 수 없다.
수직수태사(守太師)수직은 행수법에 따라 붙힌 것이다. 태사삼사 직 중 가장 높은 직위이다.
훈위상주국(上柱國)최고위 훈위

사후 추증된 관작
공신호추충정란광국공신(推忠靖亂匡國功臣)명종이 준 광국공신호
직위문하시중(門下侍中)
수직수태사(守太師)
훈위상주국(上柱國)
시호문정공(文定公)


4. 대중매체[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윤인첨(무인시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3년작 KBS 드라마 《무인시대》 - 윤인첨 (김인태 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3:29:46에 나무위키 윤인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양 김씨(光陽 金氏) 김약온의 딸[2] 대흥 한씨(大興 韓氏) 한유충의 딸[3] 연안 차씨(延安 車氏) 차약춘(車若椿)의 부인[4] 생전 최종 문관직은 평장사, 사후 문하시중에 추증되었다.[5] 생전 무신정권의 영향으로 정3품 최고위 무관직인 상장군에 임명되어 중방 회의에 참여했다.[6] 태어나고 1년 뒤 할아버지 윤관이 별세했다.[7] 고려사에 따르면 금나라에 영토를 빼앗기는 것을 수치로 여겨 금나라 황제의 명을 거부하여 금나라가 사람들을 잡아갔다. 이후 금나라에 요청하여 잡아간 사람들을 다시 돌려 받았다고 한다.[8] 1169년 정4품 우간의대부가 되었는데 이 때 그의 나이는 환갑이 다 되었던 시점이었고, 부친 윤언이가 그의 나이대에 종2품 정당문학에 올랐던 것과 비교한다면 상당히 낮다고 볼 수 있다. 아무래도 그의 아버지가 김부식과 대립하였고, 의종 대에 총신이었던 김돈중이 김부식의 아들이었다는 점이 작용된 것으로 보인다.[9] 외직(外職)으로 국경에 직접 나아가 국방을 담당하는 직위들이다.[10] 사관의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