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숙

덤프버전 :

충의공 최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 펼치기 · 접기 ]
고려 초기
(918~981)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김일봉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대한민국 국무총리





경주 최씨 가문 출신 배향공신
최승로 가문
문정공 최승로
충의공 최숙
순공공 최제안
기타 가문
광빈공 최량
절의공 최항



고려국 문하시중
최숙

시호
인효공(仁孝公) → 충의공(忠懿公)
삼사
태사(太師)
본관
경주 최씨(慶州 崔氏)
이름
숙(肅)
아들
최제안
아버지
최승로
생몰연도
? ~ ?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초기 고려왕조의 문신. 경주 최씨 호족 출신으로 아버지가 그 유명한 최승로다. 당대 최고의 명문가로 아버지, 본인, 아들이 다 문하시중을 지내고 배향공신이 되었다.[1]


2. 상세[편집]


그러나 아버지와는 다르게 본인과 아들의 기록은 거의 없다. 아들 최제안은 짧디 짧은 열전이라도 있지만 본인 최숙의 경우 문하시중까지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다른 기록이 없을 정도이다. 다만 목종의 배향공신으로 정해진 걸 보면 목종 대에 나름 중용되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현화사비에 짧게 등장한다. 안종에게 성종선지(宣旨)를 가져다 준 인물로 등장하며 당시 직위는 중추부사(中樞副事)[2] 급사중(給事中)[3]이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원래 시호는 인효공(仁孝公)인데, 문종의 시호가 인효대왕(仁孝大王)으로 결정나자 시호가 겹치니 최숙의 시호를 바꿔버렸다. 그래서 최숙의 시호는 충의공(忠懿公)이다.



[1] 삼대가 배향공신이라는 점은 이천 서씨 가문인 서필, 서희, 서눌도 같다.[2] 중추원의 부사로 정3품 관직.[3] 중서문하성의 종4품 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