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태인역

덤프버전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신태일 드립 또는 그와 유사한 드립 서술 금지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신태일 드립 또는 그와 유사한 드립 서술 금지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신태인역
목포·광주 방면
정 읍
13.5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Sintaein
한자新泰仁
간체자
가나新泰仁(シンテイン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 (신태인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익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호남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호남선1912년 12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2014년 5월 12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승강장 구조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신태인

파일:20230228신태인역.jpg
현 역사(1984년 준공)
1. 개요
2. 역 정보
3. 일평균 이용객
4. 시간표
5. 타는 곳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호남선철도역.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정신로 1163 (舊 신태인리 132-24번지) 소재.

철도가 만든 마을, 신태인

신태인역은 1912년 호남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어느 곳이나 지역 발전의 중심에 역이 있었지만, 신태인과 신태인역은 더없이 각별한 사이이다. 평안북도 '의주'옆에 '신의주'가 생겼듯이 전라북도 '태인'옆에 '신태인'역시 철도 때문에 생긴 역명이자, 지명이기 때문이다. 옛 태인현 용북면 삼천리에 들어선 철도역에 신태인이라는 역명이 붙여지면서, 용북면은 신태인면으로 삼천리는 신태인리로 바뀌게 된 것이다. 동진강이 흐르는 풍요의 땅인 신태인은 1980년대까지 호남지방에서 곡물 거래량이 가장 많은 부자동네로 손꼽혔는데 그 중심에 신태인역이 있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편집]


파일:sintaein.jpg
구 역사
본디 이보다 남쪽에 위치하는 태인면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지역의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태인을 지나가지 못하고 그나마 가까운 지금의 자리에 역이 들어섰는데 이는 기존의 호남대로와는 다른 경로로 선로가 놓였기 때문에 선형 문제로 태인을 지나쳤던 것이다. 호남선 철도신태인으로 가고 호남고속도로구태인으로 가는 것이 특징이다. 호남고속도로는 태인IC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전부터 전통적인 길목이었던 원조 호남대로는 지금의 1번 국도와 거의 비슷한 경로였다. 천안 - 차령 - 공주 - 노성[1] - 은진[2] - 익산[3] - 삼례 - 금구[4]- 태인 - 정읍 - 노령 - 장성 - 나주를 지나가는 경로였다. 그러나 일제는 이를 따라가지 않고, 최대한 공사비를 아끼기 위해 조금이라도 평탄한 경로를 찾아 선로를 놓았다. 그래서 호남선은 은진-익산, 전주-금구 사이의 고갯길을 피해 호남평야 한복판을 질러가게 되었고, 김제에서 정읍으로 선로를 놓음에 따라 약간 동쪽으로 치우친 태인을 차마 지나지 못하고 그나마 가까운 마을에 역을 놓은 것이었다. 그곳이 바로 지금의 신태인역이었고, 이곳이 태인보다 더 큰 마을로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호남선 기차역은 태인과는 거리가 있는 이 지역에 건설되어 '신태인역'으로 명명된다. 기차역이 생긴 후 이 지역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하여 원래의 태인을 능가하는 규모로 성장하였고, 결국 행정구역 명칭도 용북에서 신태인이 된다. 신태인은 한때 인구가 2만 5천 명을 넘기도 했지만, 경제발전의 축이 경부축으로 옮겨간데다 경제발전기에는 산업구조와 핵심 교통인프라가 모조리 바뀌는 바람에, 안그래도 영남에 비해 소외되어온 호남에서 하필 신태인같은 동네는 농업에 몰빵된 여건이었기 때문에 호남선의 익산~정읍 구간만큼은 1985년이라는 아주 늦지만은 않은 시기에 복선화가 되었음에도 몰락해 버린 것이다. 대한민국 철도청경부선에 중시하느라 다른 노선에 관심이 없었기도 했지만, 사실 이땐 국내의 철도교통 자체가 고속도로에 밀렸기에, 호남고속도로가 이웃한 태인을 경유하게 되면서 쇠퇴하는 정도도 가속화되기만 했다.

시외버스터미널이 없는 건 아니지만 노선이 끔찍할 정도로 빈약하기 때문[5]에 상대적으로 철도 교통 의존율이 높은 편이다. 일부 ITX-새마을과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6]

2017년 3월에 신태인역 승강장에 고객대기실이 설치 되어있다. 2019년도 8월달까지 에어컨이 나오지 않아서 고객의 소리에 건의한 결과 에어컨 청소할때 실수로 꺼놔서(...) 그동안 꺼져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정상 작동중이다.

3.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총합비고
2004년20명390명410명
2005년17명411명428명
2006년15명373명388명
2007년14명359명373명
2008년29명343명372명
2009년31명331명362명
2010년34명340명374명
2011년23명374명397명
2012년27명370명397명
2013년28명361명389명
2014년37명333명370명
2015년35명303명338명
2016년30명287명317명
2017년35명259명294명
2018년39명252명291명
2019년45명241명286명
2020년33명163명196명
2021년34명169명20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4. 시간표[편집]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38무궁화1462서대전
07:17ITX-새마을1072용산
08:09무궁화1472익산
08:48무궁화1402용산
10:14ITX-새마을1074용산
11:55ITX-새마을1062용산
13:10무궁화1422용산
14:37ITX-새마을1076용산
16:00무궁화1424용산
17:59무궁화1404용산
19:03ITX-새마을1064용산
19:36ITX-새마을1078용산
20:21무궁화1470익산
22:29무궁화1464서대전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7:45무궁화1461광주
10:09무궁화1421광주
11:12무궁화1401목포
15:17ITX-새마을1061목포
16:58무궁화1473목포
18:26ITX-새마을1075광주
18:58무궁화1469목포
19:58무궁화1423광주
20:38무궁화1403목포
21:21무궁화1463광주
22:22ITX-새마을1063목포
23:17ITX-새마을1077광주


5. 타는 곳[편집]


김제
4321
정읍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5:33:11에 나무위키 신태인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의 노성군으로, 지금의 논산시 노성면[2] 당시의 은진군으로, 지금의 논산시 은진면[3] 현재의 익산시내가 아닌 익산시 금마면으로, 호남선이 놓일 당시에는 이곳에 익산군청이 있었다.[4] 당시의 금구군으로, 지금의 김제시 금구면[5] 광주-신태인-부안 1일 6회, 정읍-신태인-부안 1일 1회(2018년 안전여객 부도로 인해 폐지), 전주-원평-태인-신태인 1일 4회 운행이 전부. 김제, 익산 방면은 아예 노선이 폐지되었다.[6] 한때 누리로가 모두 정차했으나 누리로가 태백선, 영동선만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