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충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진덕왕조중시죽지
무열왕조중시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중시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중시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중시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중시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중시의충 | 신충
경덕왕조중시유정 | 대정
시중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시중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시중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시중충분
애장왕조시중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시중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시중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시중이홍
민애왕조시중헌숭
문성왕조시중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시중위진 | 인흥
헌강왕조시중예겸 | 민공
정강왕조시중준흥
효공왕조시중계강 | 효종
경명왕조시중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철부김구해김거칠부김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수을부을제수품비담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알천금강김유신김군관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진복김문영김개원인품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배부김사공김정종김사인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신충만종신유김양상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김경신충렴세강김언승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김숭빈김수종김충공김균정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김명김귀장보고김예징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김의정김안김정위진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김위홍준흥김성계강
제45대제46대
박위응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옹, 김주원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信忠 / 金忠臣(?) / 金忠信(?)

통일신라 중대의 진골 귀족. 관등은 이찬.


2. 생애[편집]


726년 4월 김충신(金忠臣)이 당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는데 이 김충신이 신충과 동일인물의 이름을 다르게 표기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한편 734년에 당나라에서 숙위하며 머무르고 있다가 당나라 황제에게 본국으로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한 김충신(金忠信)과도 신충이 동일인물이란 설도 있다.[1]

삼국유사에 따르면 왕위에 오르기 전의 효성왕과 매우 가까운 관계로 바둑을 즐겨 두었다고 한다. 여기서 효성왕과 한 약속이 향가 중 하나인 원가의 배경이고 신충이 원가의 작사가이다.

경덕왕 시대 757년 전임 상대등 김사인이 병에 걸려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신충이 상대등을 역임했고 763년 8월 시중 김옹과 함께 사직했다.

그가 나이들어 은거한 후 경남 산청군지리산 자락에 사찰 단속사를 창건했다. 이 절은 조선시대까진 있었지만 조선 때 훼손됐고 지금도 단속사지 삼층석탑대한민국의 보물로 남아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6:26:57에 나무위키 신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수태, 《신라중대 전제왕권과 진골귀족》, 서강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11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