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순정복서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1D1D1D,#e2e2e2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1d1d1d,#dddddd> {{{#FBB800,#FFBB03 2021~2025}}} || ||<height=75><width=25%> [[달이 뜨는 강|[[파일:달이 뜨는 강 로고 블랙.png|width=60&theme=light]][[파일:달이뜨는강_로고.png|width=60&theme=dark]]]][br]{{{-2 (2021)}}} ||<width=25%> [[오월의 청춘|[[파일:오월의 청춘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오월의 청춘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1)}}} || [[멀리서 보면 푸른 봄(드라마)|[[파일:멀리서 보면 푸른 봄 로고.png|width=50&theme=light]][[파일:멀리서 보면 푸른 봄 로고 민트.png|width=50&theme=dark]]]][br]{{{-2 (2021)}}} ||<width=25%> [[경찰수업|[[파일:경찰수업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경찰수업 로고 다크모드.png|width=60&theme=dark]]]][br]{{{-2 (2021)}}} || ||<height=75> [[연모|[[파일:연모 로고.png|height=40&theme=light]][[파일:연모 로고 화이트.png|height=40&theme=dark]]]][br]{{{-2 (2021)}}} || [[꽃 피면 달 생각하고|[[파일:꽃 피면 달 생각하고 로고.png|height=40&theme=light]][[파일:꽃 피면 달 생각하고 로고 화이트.png|height=40&theme=dark]]]][br]{{{-2 (2021 ~ 2022, UHD)}}} || [[크레이지 러브|[[파일:크레이지 러브 로고 블랙.png|width=60&theme=light]][[파일:크레이지 러브 로고.png|width=60&theme=dark]]]][br]{{{-2 (2022)}}} || [[붉은 단심|[[파일:붉은 단심 로고.png|height=40&theme=light]][[파일:붉은 단심 로고 화이트.png|height=40&theme=dark]]]][br]{{{-2 (2022)}}} || ||<height=75> [[미남당|[[파일:미남당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미남당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2)}}} || [[법대로 사랑하라(드라마)|[[파일:법대로 사랑하라(드라마) 로고 블랙.png|width=60&theme=light]][[파일:법대로 사랑하라(드라마)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2)}}} || [[커튼콜(드라마)|[[파일:커튼콜(드라마) 로고.png|width=40]]]][br]{{{-2 (2022)}}} || [[두뇌공조|[[파일:두뇌공조 로고 블랙.png|width=60&theme=light]][[파일:두뇌공조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3)}}} || ||<height=75> [[오아시스(드라마)|[[파일:오아시스(드라마)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오아시스(드라마)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3)}}} || [[어쩌다 마주친, 그대|[[파일:어쩌다 마주친, 그대 로고.png|height=40&theme=light]][[파일:어쩌다 마주친, 그대 로고 화이트.png|height=40&theme=dark]]]][br]{{{-2 (2023)}}} || [[가슴이 뛴다(드라마)|[[파일:가슴이 뛴다(드라마)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가슴이 뛴다(드라마)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3)}}} || [[순정복서|[[파일:순정복서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순정복서 로고 다크모드.png|width=60&theme=dark]]]][br]{{{-2 (2023)}}} || ||<height=75> [[혼례대첩|[[파일:혼례대첩 로고.png|width=60&theme=light]][[파일:혼례대첩 로고 다크모드.png|width=60&theme=dark]]]][br]{{{-2 (2023)}}} ||<bgcolor=#e0ffdb,#073300> [[환상연가(드라마)|[[파일:환상연가(드라마) 로고 블랙.png|width=60&theme=light]][[파일:환상연가(드라마) 로고 화이트.png|width=60&theme=dark]]]][br]{{{-2 (2024)}}} || ||<-4>
{{{#FBB800 둘러보기}}}
[br]{{{-2 [[틀:KBS 월화 드라마(1982~1985)|{{{#white 1982~1985}}}]] | [[틀:KBS 월화 드라마(1986~1990)|{{{#white 1986~1990}}}]] | [[틀:KBS 월화 드라마(1991~1995)|{{{#white 1991~1995}}}]] | [[틀:KBS 월화 드라마(1996~2000)|{{{#white 1996~2000}}}]][br][[틀:KBS 월화 드라마(2001~2005)|{{{#white 2001~2005}}}]] | [[틀:KBS 월화 드라마(2006~2010)|{{{#white 2006~2010}}}]] | [[틀:KBS 월화 드라마(2011~2015)|{{{#white 2011~2015}}}]] | [[틀:KBS 월화 드라마(2016~2020)|{{{#white 2016~2020}}}]][br][[틀:KBS 월화 드라마(2021~2025)|{{{#white '''2021~2025'''}}}]]}}}
|| ||<-4><bgcolor=#FFFFFF,#1F2023> [[틀:대한민국의 방송 프로그램|{{{#FBB800 {{{-2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파일:KBS 2TV 로고.svg 월화 드라마
파일:순정복서 로고 다크모드.png (2023)
My Lovely Boxer
파일:순정복서 메인 포스터.jpg
장르스포츠, 성장, 로맨틱 코미디.
방송 시간월ㆍ화 / 오후 09:45 ~
방송 기간2023년 8월 21일 ~ 2023년 10월 2일
방송 횟수12부작
기획파일:KBS 로고(1984-2023).svg[[파일:KBS 로고(1984-2023) 컬러 화이트.svg
제작사파일: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로고.png | 코너스톤 | 블레이드 ENT
채널파일:KBS 2TV 로고.svg
추가 채널파일:KBS drama 로고.svg
제작진연출최상열[1], 홍은미
극본김민주[2]
[ 펼치기 · 접기 ]

기획권계홍
촬영김길웅, 박재만, 김영진, 백문수
미술하지희
음악KENZIE, 이나일

원작추종남 소설 《순정복서》[3]
출연이상엽, 김소혜, 박지환, 김형묵, 김진우, 하승리, 채원빈
촬영 기간2022년 10월 29일 ~ 2023년 4월 14일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wavve 로고.svg

파일:세계 지도.svg: 파일:코코와 로고.pn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KBS Drama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KBS 한국방송

1. 개요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2.2. 포스터
2.3. 메이킹
3. 기획의도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사라진 천재 복서 이권숙과 냉혈한 에이전트 김태영의 인생을 건 승부 조작 탈출기
2023년 8월 21일부터 2023년 10월 2일까지 〈가슴이 뛴다〉의 후속으로 방영한 KBS 월화 드라마.


2. 공개 정보[편집]



2.1. 예고편[편집]


▲ 티티저
▲ 1차 티저▲ 2차 티저
▲ 3차 티저▲ 4차 티저
▲ 스페셜 티저
▲ 종합 예고▲ 하이라이트


2.2. 포스터[편집]


파일:순정복서 포스터.jpg
파일:순정복서 티저 포스터(1).jpg
파일:순정복서 티저 포스터(2).jpg
▲ 티저 포스터
파일:순정복서 2인 포스터.jpg
파일:순정복서 메인 포스터.jpg
▲ 2인 포스터▲ 메인 포스터
||
||
||


2.3. 메이킹[편집]


파일:순정복서 로고 다크모드.png 메이킹
[ 펼치기 · 접기 ]

회차제목링크
대본리딩<순정복서>의 첫 영상, 대본리딩 메이킹📷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포스터 촬영포스터 촬영 현장 메이킹📷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복싱훈련우리는 오늘도 글러브를 낀다... 어느덧 복싱에 진심이 배우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2맞을 뻔하고 욕조 입수씬도 있었지만 전력을 다해 연기하는 태영😭 1-2회 첫 촬영 현장 비하인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6어이구 사람 죽네!🤣 몸 개그 제대로 하는 태영 보실 분🙋 3-6회 비하인드(+이상엽 하입보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7-9이상엽이 KBS무새가 된 이유를 아시나요?🙄 말도 많고 웃음도 많은 촬영장 7-9회 비하인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9-12마지막이라 마음이 몽글몽글🥺 10-12회 흩날리는 꽃잎 속에서 마무리된 <순정복서> 촬영 비하인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 기획의도[편집]


파일:순정복서 기획의도2.jpg
딱 한번만 복귀하자! 내가 영원히 권투 그만두게 해줄게!
스포츠 선수들의 장의사, 프로 은퇴꾼 김태영이 설계한,
‘권투가 너무 싫은 천재복서의 마지막 은퇴 프로젝트’는 그렇게 시작됩니다.
악귀처럼 선수들 단물을 쪽쪽 빨아먹고 버리는 개새끼 에이전트,
365일 은퇴를 꿈꾸는 어린 천재복서,
3개의 챔피언벨트를 기필코 지켜내려 하는 복싱 챔피언,
아들을 위해 승부조작에 끼어드는 퇴물 야구선수,
돈 때문에 선수를 팔아넘기는 감독,
자신의 욕망 때문에 어린 딸을 괴물로 만든 아버지,
스포츠를 승부조작으로 물들이는 범죄조직까지 모두가 얽혀버린 상황.
김태영의 인생을 건 '픽스매치 게임'은, 그의 뜻대로 움직여질까요?
자신이 만든 위험천만한 게임이 끝날 무렵, 그가 발견하게 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갑자기 밀어닥친 난폭한 삶의 질문 앞에서, 우리는 과연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도망친 곳에 낙원이 없다면,
난폭한 폭풍이 지나간 자리에서도 우리는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을까요?
파일:순정복서 로고 다크모드.png 공식 홈페이지


4. 등장인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순정복서/등장인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순정복서/음악#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순정복서 로고 다크모드.png OST
파트표지발매일곡명아티스트링크
Part 1
파일:순정복서 OST Part 1.jpg
2023. 08. 21.끝자락수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순정복서 OST Part 2.jpg
2023. 08. 28.낙원보라
(체리블렛)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순정복서 OST Part 3.jpg
2023. 09. 04.Rise Again정동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순정복서 OST Part 4.jpg
2023. 09. 11.내가 너를 사랑하는 이유CHEEZE (치즈)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5
파일:순정복서 OST Part 5.jpg
2023. 09. 18.I Don't Know샘 카터 (Sam Carter)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합본
파일:순정복서 OST.jpg
2023. 09. 25.순정복서 OSTVarious Artis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미발매 트랙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




6. 방영 목록 및 시청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순정복서/방영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회차방영일시청률(%)비고
전국수도권
1회2023.08.21.2.0-
2회2023.08.22.1.8-
3회2023.08.28.1.8-
4회2023.08.29.1.6-
5회2023.09.04.1.4-
6회2023.09.05.1.4-
7회2023.09.11.1.1-
8회2023.09.12.1.1-
9회2023.09.18.1.5-
10회2023.09.25.0.9-[4]
11회2023.09.26.0.9-[5]
12회2023.10.02.2.22.4
닐슨코리아 시청률 기준, 단위 %.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7. 평가[편집]



ta-hash-start=w-077c7fb8fcf33cec814d0bde680aa041[[파일:IMDb 로고.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전문가 별점 / 5.0 사용자 별점 / 5.0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svg
별점 / 10



파일:Filmarks 로고.svg
별점 / 5.0





파일:더우반 로고.svg
별점 / 10





파일:야후 키모.png
별점 / 5.0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지수 % 별점 / 5.0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 5.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




파일:MyDramaList_logo.png
별점 / 10




파일:라쿠텐 비키 로고.svg
평점 / 10




파일:JustWatch-logo.png
평점 %




8.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2:59:23에 나무위키 순정복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너의 노래를 들려줘 공동 연출.[2] 광끼, 너의 노래를 들려줘 등을 집필. 빛나라 은수, 내일도 맑음, 황금가면 등을 집필한 작가와는 동명이인이다.[3] 2023년 7월 15일 개정판이 출간되며 제목이 <순정복서 이권숙>에서 <순정복서>로 바뀌었다. [4] 9월 19일은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 남자축구 E조 조별리그 1차전 <대한민국 VS 쿠웨이트> 중계방송 편성으로 결방. 9월 25일은 항저우 아시안게임 편성으로 오후 10시 30분에 방송.[5] 항저우 아시안게임 편성으로 오후 10시 30분에 방송.[6] 추석 연휴를 맞아 방송된 러블리 호러블리 13회 1부가 기존 최저 시청률로 1.0%를 기록했다.[7] 참고로 KBS 드라마 최저 시청률은 어서와 0.8, 너에게 가는 속도 493km 0.9 순이다. 이미테이션은 심야드라마라 관련 기사들에서는 보통 논외로 한다.[8] 무패, 8체급 석권. 현실에서 전승무패로 유명한 복서는 50전 전승 전적을 자랑하는 메이웨더가 있고, 8체급을 석권한 복서는 유일무이하게 파퀴아오가 있다.[9] 기본적으로 성대결이다. 그렇다고 피지컬이 비슷한 것도 아니고 어른과 애 수준으로 피지컬이 차이가 난다.[10] 여성 프로 복싱 17전 전승(14KO) 여성 킥복싱 36전 35승(25KO) 1무 무패를 기록한 '무패의 세계 챔피언' 뤼시아 레이커르가 솜차이 자이디라는 무명의 남성 무에타이 선수와의 시합에서 TKO를 당한 적이 있다. 여성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선수가 한 수 아래의 남자 선수에게 KO패를 당한 것이다. 심지어 체급도 여성 쪽이 키는 더 컸고 체중은 비슷했다. 이 일례만 봐도 얼마나 말이 안 되는 설정인지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