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와(드라마)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은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문서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번 문단을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부분을
, 유행어에 대한 내용은 어서 와 문서
어서 와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어서 와#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6E6D6D><tablecolor=#1d1d1d><bgcolor=#FFFFFF,#1F2023><-4><:> 2016~2020 ||
||<width=25%><:> 파일:태양의 후예 로고(B).png
(2016) ||<width=25%><:> 파일:마스터 국수의 신 로고.png
(2016) ||<width=25%><:> 파일:함부로 애틋하게 로고.png
(2016) ||<width=25%><:> 파일:공항 가는 길 로고.png
(2016) ||
||<:> 파일:오 마이 금비 로고.png
(2016~2017) ||<:> 파일:맨몸의 소방관 로고.png
(2017) ||<:> 파일:김과장 로고.png
(2017) ||<:> 파일:추리의 여왕 로고.png
(2017) ||
||<:> 파일:7일의 왕비 로고.png
(2017) ||<:> 파일:맨홀 로고.png
(2017) ||<:> 파일:매드독 로고.png
(2017) ||<:> 파일:흑기사 로고(진청).png
(2017~2018) ||
||<:> 파일:추리의 여왕 시즌2 로고.png
(2018) ||<:> 파일:슈츠 KBS 로고.png
(2018) ||<:> 파일:당신의 하우스헬퍼 로고.png
(2018) ||<:> 파일:오늘의 탐정 로고.png
(2018) ||
||<:> 파일:죽어도 좋아 로고.png
(2018) ||<:> 파일:왜그래 풍상씨 로고.png
(2019) ||<:> 파일:닥터 프리즈너 로고.png
(2019) ||<:> 파일:단 하나의 사랑 로고.png
(2019) ||
||<:> 파일:저스티스 KBS 로고.png
(2019) ||<:> 파일:생일편지 로고.png
(2019) ||<:> 파일:동백꽃 필 무렵 로고.png
(2019) ||<:> 파일:99억의 여자 로고.png
(2019~2020) ||
||<:> 파일:포레스트 KBS 로고.png
(2020) ||<:> 파일:어서와 로고.png
(2020) ||<:>파일:영혼수선공 로고.png
(2020) ||<:> 파일:출사표 KBS 로고.png
(2020) ||
||<:> 파일:도도솔솔라라솔 로고.png
(2020) ||<:> 파일:바람피면 죽는다 로고.png
(2020~2021) || || ||
||<-4> ||




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수목 드라마
파일:어서와 로고.png (2020)
Meow the secret boy
파일:어서와_메인 포스터(2).jpg
방송 시간 수요일, 목요일 오후 10시 ~ 11시 10분
방송 기간 2020년 3월 25일 ~ 2020년 4월 30일
방송 횟수 24부작[1]
제작 파일:길픽쳐스 로고.png
채널 파일:KBS 2TV 로고.svg
제작진 기획 파일:KBS 로고(1984-2023).svg 드라마센터
제작 박민엽
연출 지병현[2]
극본 주화미[3]
원작 고아라의 웹툰 《어서와
출연 김명수, 신예은, 서지훈, 윤예주, 강훈
스트리밍파일:wavve 로고.svg 파일:왓챠 로고.sv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언어)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1. 개요
2. 기획의도
3. 마케팅
3.1. 포스터
3.2. 예고편
4. 등장인물
4.1. 주요 인물
4.2. 솔아네
4.3. 헌신적인 고갈비씨
4.4. 날샘디자인
4.5. 그 외 인물
5. OST
6. 시청률 및 평가
7. 여담
8. 수상



1. 개요[편집]


고양이도 싫고 고양이 같은 남자라면 더 싫은 여자 솔아. 그런 솔아와 그녀의 곁에서만 남자로 변하는 고양이 홍조의 미묘한 동거 로맨스
2020년 3월 25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포레스트의 후속으로 방영한 KBS2 수목 드라마. 동명의 웹툰이 원작이다.


2. 기획의도[편집]


파일:73CBE6E3-D17E-4DB1-A973-A10FA4DC93EB.jpg

고양이가 인간으로, 더구나 남자로 변신한다면?
아침에 눈뜨면 코앞에서 고롱고롱 바라본다.
집을 나서는 등 뒤에서 한참을 바라보고
돌아오면 종일 기다린 듯 바라본다.
선반에 사뿐 올라앉아서도 보고
상자 속에 빼꼼 숨어서도 본다.
문틈으로 옷 갈아입는 모습도 슬쩍 본다.
화장실까지 따라와 속속들이 다 본다.
볼 거 다 보고서도 질리지도 않고 본다.
눈도 안 돌리고 나만 바라본다.
그런 고양이가 인간으로, 더구나 남자로 변신한다.
이 남자 나를 너무 잘 안다.
높은 데서 멀찍이 봐야 보이는 나도 알고
한 이불 속에 들어가 봐야 보이는 나도 안다.
다 알면서도 그래도 계속 나를 본다. 나만 보인다.
왜? 내가 뭐라고?
내가 해준 거라곤 사소한 선택 하나였다. 같이 있기로 한 것.
아주 작은 선택 하나가 이토록 순수한 무조건 사랑으로 돌아온다.
게다가, 늘 내 품에 안기기만 했던 고양이가 긴 팔로 나를 폭 안아준다...!
나의 시간은 걷고, 그의 시간은 뛴다.
고양이의 시간은 사람의 시간보다 5배 빠르다고 한다.
사람이 자라는 데는 20년 가까운 시간이 필요하지만
고양이는 1년의 시간이면 훌쩍 자라 성묘가 된다.
한 사람이 이 세상에서 보내는 시간은 약 80년,
하지만 고양이가 누리는 시간은 15년.
우리가 같이 보낸 시간을, 밀도와 무게가 동일한 ‘같은 시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반려동물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면 누구나 겪었고
공감할 실재하는 아픔이기에
타임슬립이니 타임리프니 그 어떤 시간의 엇갈림보다
현실적으로 다가올
시간의 격차에 대하여.


3. 마케팅[편집]



3.1. 포스터[편집]


파일:어서와_티저 포스터(1).jpg
파일:어서와_티저 포스터(2).jpg
파일:어서와_티저 포스터(3).jpg
파일:어서와_티저 포스터(4).jpg
티저 포스터

파일:어서와_캐릭터 포스터(1).jpg
파일:어서와_캐릭터 포스터(2).jpg
파일:어서와_캐릭터 포스터(3).jpg
파일:어서와_캐릭터 포스터(4).jpg
파일:어서와_캐릭터 포스터(5).jpg
캐릭터 포스터

파일:어서와_메인 포스터(1).jpg
파일:어서와_메인 포스터(2).jpg
메인 포스터
파일:어서와_단체 포스터.jpg
단체 포스터


3.2. 예고편[편집]


티저
본편 예고 하이라이트


4. 등장인물[편집]



4.1. 주요 인물[편집]


  • 홍조(김명수 扮): 인간으로 변신하는 고양이.
  • 김솔아(신예은 扮): 고양이를 사랑하는 강아지.
  • 이재선(서지훈 扮): 늘씬하고 아름답지만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도도한 샴고양이.
  • 은지은(윤예주 扮): 잔뜩 움츠린 채 살금살금 숨어 다니는 소심한 겁쟁이 길고양이.
  • 고두식(강훈 扮): 강아지 솔아의 유일한 동족. 유쾌한 남사친.


4.2. 솔아네[편집]


  • 김수평(안내상 扮): 솔아의 아빠. 고독한 시인.
  • 방실(조련 扮): 솔아의 새엄마.
  • 방크루즈(前 방국봉)(연제형 扮): 방실의 자식. 작중 법적으로 방크루즈로 개명했음에도 어째 아무도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4.3. 헌신적인 고갈비씨[편집]




4.4. 날샘디자인[편집]


  • 박신자(전익령 扮): 날샘디자인 부사장.
  • 차상권(양대혁 扮): 날샘디자인 디자이너.
  • 이혜연(김예슬 扮): 날샘디자인 디자이너.
  • 최다솜(이유진 扮): 날샘디자인 디자이너.


4.5. 그 외 인물[편집]


  • 이루비(최배영 扮): 재선의 전 여자친구.
  • 대성의 할머니(최민금 扮)
  • 대성(송민재 扮): 골목에서 붕어빵 굽는 인자한 할머니의 외손주.
  • 고양이 납치범(채동현 扮)
  • 이재선의 양아버지(한기중 扮)
  • 이주실


5. OST[편집]


파트표지발매일제목아티스트링크
Part 1
파일:어서와 OST Part.1.jpg
2020.03.19어마어마다영 & 엑시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어서와 OST Part.2.jpg
2020.03.25띵동박경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어서와 OST Part.3.jpg
2020.03.26어서와엄지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어서와 OST Part.4.jpg
2020.04.01사랑에 빠졌었나봐주니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5
파일:어서와 OST Part.5.jpg
2020.04.02I was wrong이진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6
파일:어서와 OST Part.6.jpg
2020.04.08SLUSH모트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7
파일:어서와 OST Part.7.jpg
2020.04.09다시, 봄기현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8
파일:어서와 OST Part.8.jpg
2020.04.15시간은 한 바퀴 돌아진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9
파일:어서와 OST Part.9.jpg
2020.04.16Better To Be YouDrew Ryan Scott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10
파일:어서와 OST Part.10.jpg
2020.04.22이젠 안녕Floody (플루디)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11
파일:어서와 OST Part.11.jpg
2020.04.23너를 보여줘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12
파일:어서와 OST Part.12.jpg
2020.04.29별똥별신예은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13
파일:어서와 OST Part.13.jpg
2020.04.30꽃이 피었네최낙타파일:유튜브 아이콘.svg
OST
파일:어서와 Special OST.jpg
2020.05.13[4]Various Artists


6. 시청률 및 평가[편집]


  • 닐슨 전국 시청률 기준, 단위: %.
  • 파란색 수치는 최저, 빨간색 수치는 최고 시청률을 의미.
EP.회차방영일시청률
11회2020.03.253.6
2회2.8
23회2020.03.261.6
4회1.8
35회2020.04.012.7
6회2.1
47회2020.04.021.5
8회1.7
59회2020.04.082.0
10회1.9
611회2020.04.091.5
12회1.6
713회2020.04.151.8
14회1.8
815회2020.04.160.9
16회1.1
917회2020.04.221.8
18회1.7
1019회2020.04.231.0
20회1.1
1121회2020.04.291.4
22회1.4
1223회2020.04.300.8
24회1.0
  • 첫날 1부 대비 2부에서 1.2%나 추락하는 불안불안한 출발을 보이더니 결국 2회만에 1% 클럽에 가입해 전작보다 시청률 면에서 거의 반토막이 났다. 사실 수요일목요일에 하는 트로트 프로그램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이유도 있다. 안 그래도 낮게 시작한 초반 시청률에서 하향세를 그리다 결국 1.0%라는 최저 시청률을 기록한 러블리 호러블리를 제치고 15회, 23회에서 0%대의 시청률을 기록해 지상파 역대 최저 시청률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5]
  • 드라마 소재 자체는 신선하다는 평가가 있지만, 웹드라마에 어울릴만한 스토리가 지상파에 방영하기에는 무리수 아니었냐는 의견이 많다.
  • KBS측에서 "웹툰원작+신예스타"를 내세우며 젊은 층을 겨냥해 KBS판 어하루를 노렸지만[6] 시청률과 화제성 둘 다 잡지 못한 모양새가 되었다.
  • 심지어 이 드라마 이후 2년간 후속작들이 단 한 번도 7% 이상의 시청률을 찍지 못하였다. 그나마 대박부동산이 간신히 6.9%로 근접한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나머지는 죄다 죽을 쒔다.[7]


7. 여담[편집]


  • 방영 전 모든 촬영을 마친 사전제작 드라마이다.[8]


  • 신예은의 첫 KBS 드라마 출연작이자, 첫 지상파 주연 작품이다.





8. 수상[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
2020년KBS 연기대상남자 신인상서지훈
여자 신인상신예은

[1] 35분씩 2회 연속방송.[2] 드라마시티 - 이웃의 한 젊은이를 위하여, 드라마 스페셜 - 딸기 아이스크림, , 파랑새의 집 등을 연출.[3] 드라마 스페셜 - 보라색 하이힐을 신고 저승사자가 온다, 연애를 기대해, 연애 말고 결혼, 내성적인 보스를 집필.[4] 가창곡 13곡 포함한 코어 트랙 22곡 수록.[5] 2021년 기준으로 자사 드라마인 이미테이션이 0.4%로 가장 낮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밤 11시에 방영된 예능 드라마라는 특수성 때문에 최저 시청률 논의 시 예외로 하고 있다.[6] 기사[7] 방송국 재정난과 수목드라마의 지속적인 부진으로 인해 결국 2023년부터 공백기에 들어섰다.[8] 이 때문에 처참한 시청률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방영할 수밖에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2:33:07에 나무위키 어서와(드라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