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운수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서대문구 CI.svg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서부운수신촌교통[a][b]원버스[a]현대교통
마을버스부일교통삼하운수서북운수연일교통
연희교통태화운수충정운수홍제교통
없어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삼화교통안성여객
마을버스가좌교통
[a] 서대문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경기도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서부운수 주식회사
西部運輸 株式會社
SEOBU BUS Co., Ltd.
설립일1974년 2월 1일
업종명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한진희
주요 주주한진희: 64.98%
기업구분중소기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168명(2021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2억 6,700만원(2021년 기준)
매출액136억 2,889만 1,720원(2021년 기준)
영업이익6억 6,184만 7,252원(2021년 기준)
순이익6억 1,200만 1,224원(2021년 기준)
자산총액135억 6,112만 8,753원(2021년 기준)
부채총액18억 5,852만 6,613원(2021년 기준)
부채비율15.88%(2021년 기준)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로1길 17 (북가좌동)

1. 개요
2. 운행 노선
3. 폐선된 노선
4. 주 면허 번호
5. 보유차종
6. 지배구조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로1길 17(북가좌2동 323-1)에 기점을 두고 있는 버스 회사. 1949년 서울승합 서부영업소로 시작했으며, 1974년 지금과 같이 서부운수 주식회사로 분리되었다.

1982년 삼흥운수(현 대성운수)서 이문동영업소를 인수 받으면서 한 때, 아웃 서대문구 노선도 있었다.[1]

주력 노선은 721번.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전 134번 시절에는 경성여객 131번(현 271번)과의 과도한 경쟁과 적자노선 133번[2] 임의결행으로 인해 뉴스에도 나왔던 업체이기도 했다.[3]

차량 구성의 경우엔 현대버스와 자일대우버스를 혼용했지만[4] NEW BS106을 뽑은 이후로 한동안 현대버스 위주로 뽑았다. 서부운수 역시 자일대우버스에 불만이 있는 듯 하다. 동아운수에 비하면 비중은 적으나 BC211M을 한 때 2대 보유했으며 NEW BS106을 서울 최초로 도입한 업체이기도 하다.

2015년까지 초저상버스를 한 번도 뽑지 않았으나 2016년부터 초저상버스를 도입하며 2018년까지 현대 저상버스를 들여왔다. 그러다 2019년에 BC211M 대차분으로 화이버드를 출고하여 721번에 투입하였으며 한동안 신차는 에디슨모터스로 나왔다. 이는 양천운수·신흥운수 계열 이외의 서울 최초 화이버드 천연가스버스다. 전기버스는 NEW e-화이버드와 BYD eBUS-12를 출고했으며, 2022년에는 4년 7개월만에 현대차를 도입하며 일렉시티를 출고했다.[5]

차량 정비는 "서부운수주식회사 자가정비업소"라고 하는 차고지 내부에 위치한 자체정비소에서 정비 및 수리한다.

서울에서 차량 관리를 매우 안 하는 업체로 악명높았으며[6] 현재는 예전에 비해선 그나마 개선된 축이다. 하지만 차량관리 수준과 상반되게 전통적으로 내구연한은 11년(+6달) 사용하고 대차해 교체주기가 길다.

대체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는데 시간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다. 교통 체증으로 변동이 생기는건 이해가 되지만 정류장 도착정보시간이 갑자기 15분이 늘어난다거나 하는 일이 상당히 잦고 애당초 정보 자체가 잘못돼 승객들을 뒷목잡게 하는 일이 허다하다.[7]

천연가스 충전은 모든 차량이 은평공영차고지 혹은 상암공영차고지로 회송한다.[8] 지선 노선들은 수색에서, 721번은 상암에서 충전한다.


2. 운행 노선[편집]


밑줄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한다.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721북가좌동DMC래미안 - 모래내시장.가좌역 - 신촌로터리 - 충정로역 - 광화문 - 종로1~6가 - 동대문 - 신설동역 - 동대문구청 - 군자역 - 건대입구역뚝도변전소5~9
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 간격
7018북가좌동새절역 - 명지대입구 - 유진상가 - 상명대입구 - 경기상고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종로1가6~12
7719북가좌동응암정보도서관 - 은가어린이공원 - 응암정보도서관 - 응암3동주민센터 - 본서부병원 - 은평구청녹번역20~30
8761[공동배차]신촌로터리창전현대홈타운 - 광흥창역 -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역평일 9~12


3. 폐선된 노선[편집]


  • 705 : 북가좌동 ↔ 창신동(건대입구역으로 연장 및 721번으로 변경)
  • 7614 : 북가좌동 ↔ 신월동(2005년 7월 15일 폐선)


4. 주 면허 번호[편집]


  • 서울 7072##호 ~ 73##[9]
  • 서울 744112호 ~ 4188[10]
  • 서울 752760호 ~ 2769[11]


5. 보유차종[편집]



5.1. 현재 보유차종[편집]



5.1.1. 현대자동차[편집]



5.1.2. 에디슨모터스[편집]



5.1.3. 자일대우버스[편집]



5.1.4. 비야디 자동차[편집]




5.2. 과거 보유차종[편집]



5.2.1. 자일대우버스[편집]



5.2.2. 현대자동차[편집]



5.2.3. 쌍용자동차[편집]




6. 지배구조[편집]


2021년 12월 기준
주주명지분율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진희64.98%대표이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기타35.02%



7.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도선여객정평운수
강동구서울승합
강북구동아운수선일교통삼양교통
영신여객한성운수
강서구공항버스김포교통영인운수
정평운수다모아자동차
관악구관악교통보성운수한남여객운수
광진구신흥운수
구로구군포교통보성운수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범일운수보영운수신인운수
노원구삼화상운진아교통태릉교통
한성여객흥안운수
도봉구서울교통네트웍아진교통
마포구다모아자동차유성운수
서대문구서부운수신촌교통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대흥교통삼성여객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태진운수대원교통대원여객
성북구대진여객도원교통동성교통
상진운수성원여객
송파구남성버스동성교통대성운수
서울버스송파상운진화운수
한국brt한서교통
양천구관악교통도원교통세풍운수
신길교통양천운수중부운수
은평구보광교통신수교통선진운수
원버스유성운수제일여객
종로구동해운수
중랑구경성여객대원교통메트로버스
보광운수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동작구영등포구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범일운수보영운수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동해운수서울매일버스선진운수
신촌교통제일여객신수교통
부천시신길교통
안양시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군포교통대원여객우신버스
성남시남성버스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대원여객제일여객
파주시신수교통제일여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09 16:50:38에 나무위키 서부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47:35에 나무위키 서부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노선은 39-1번(이문동 ↔ 서울역)이고, 당시 서부운수서 유일무이한 아웃 서대문구 노선이었다. 1983년 도시형버스 134번(훗날 간선버스 705번, 현 721번)에 통폐합되었다.[2] 북가좌동 - 월곡동 구간을 운행했다가 문제의 교통소외 지역(KIST 뒤쪽) 커버를 위해 133-1번을 분리, 이후 지역순환 442번으로 변경했고 여러 우여곡절을 겪어 2014년 현재 흥안운수1226번이 되었다.[3] 자세한 연혁은 271번 및 721번 항목 참조하자. 여담으로 271번을 운영하는 경성여객도 서부운수와 마찬가지로 서울승합에서 분리된 업체이다. 뿌리가 같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물어뜯고 싸우는 여러모로 아이러니한 상황이였던 셈. 오늘날에도 271, 721번 양 노선 기사를 유심히 살피면 개편 이전의 유산 때문인지, 서로 분노에 차오른 표정으로 기싸움하는 자세로 째려보면서 교행하는 모습을 가끔씩 볼 수가 있었다. 물론 2020년대 들어오면서 개편 이전부터 근무한 고참 기사들이 정년 퇴사한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분노의 교행은 많이 줄은 편이다.[4] 현대, 대우 혼용했을 시절에도 자일대우버스 비중이 높았다.[5] 2대 출고, 7018번 투입. 7018번은 거리가 길지 않아 일렉시티를 배정했다.[6] 2004년 대개편 때 자사에서 보유한 현대버스의 전조등 테두리 부분까지 모두 칠해버린 것은 유명한 얘기였으며 2010년대 초반 연식 NEW BS106들도 타 차종 부품들로 마개조를 시켜놓았다.[7] 특히 7018번이 그러하다.[8] 주로 새벽에 회송한다.[공동배차] 유성운수, 신촌교통와 공동배차.[9] 서대문구 면허의 시내버스 회사들 증차 번호[10] 본 회사 주 면허, 서울승합과 공유. 이는 서울승합 서부영업소가 분리해서 나온 흔적이다. 일부는 송파상운현대교통에도 있다.[11] 본 회사 증차 면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