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련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단어에 대한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목련(동음이의어) 문서
목련(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목련(동음이의어)# 부분을
, 흔히 목련으로 알려져 있는 꽃나무에 대한 내용은 백목련 문서
백목련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백목련#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 펼치기 · 접기 ]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장미백합국화안개꽃프리지아
6위7위8위9위10위
튤립개나리코스모스벚꽃진달래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장미벚꽃안개꽃국화튤립
6위7위8위9위10위
개나리프리지아코스모스진달래무궁화
11위12위13위14위15위
백합라일락수국철쭉해바라기
16위17위
아까시나무목련
같이 보기: 한국인이 좋아하는 꽃,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좋아하는 산, 좋아하는 음식



목련
 Mokryeon[1]
파일:한라산 목련 1.jpg
학명 Magnolia kobus
DC. 1817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목련군(Magnoliids)
목련목(Magnoliales)
목련과(Magnoliaceae)
목련속(Magnolia)
목련(M. kobus)

1. 개요
2. 상세
3. 목련속
3.1. 고대 식물
3.2. 설화
4. 미디어 믹스에서
5. 언어별 명칭
6. 여담



1. 개요[편집]


목련(, Mokryeon)은 한국(제주도)과 일본에 자생하는 Magnolia kobus를 가리킨다. 흔히 국내에서는 중국 원산의 백목련(Magnolia denudata)을 '목련'이라고 부르는데, 엄밀히 말하면 둘은 같은 속 다른 종이다.


2. 상세[편집]


파일:목련1.jpg

높이 10m 정도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희귀종이다. 일본에서는 생각보다 흔한데, 꽃봉오리가 주먹처럼 생겼다고 해서 '코부시'(コブシ)라고 부른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으며, 잎은 넓은 달걀모양으로 끝이 급히 뾰족해진다. 꽃은 양성꽃으로서 3~4월 중순부터 잎이 나오기 전에 피는데, 6개의 하얀 꽃잎이 힘이 없이 축 늘어지고 꽃의 밑부분에 어린잎 1개가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열매는 울룩불룩한 원통형으로 곧거나 구부러지고, 9~10월에 열매가 익으면 터지면서 종자가 나오는데, 종자는 타원형으로 빨갛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흔히 '목련'이라 부르는 꽃나무는 백목련으로, 백목련은 6장의 꽃잎과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3장의 꽃받침을 갖고 있고, 꽃잎에 힘이 있어서 꽃모양이 잘 잡혀 있으며, 꽃의 밑부분에는 어린잎이 달려 있지 않다. 백목련 외에, 목련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꽃잎이 2배 더 많은 별목련, 자줏빛 꽃의 자목련과 일본 원산의 일본목련, 한국 자생종인 함박꽃나무 등이 있다.

꽃이 개화하기 전 꽃봉오리를 따서 목련차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3. 목련속[편집]


한국에서 '목련'이라고 함은 M. kobus 한 종을 가리킨다. 그러나 광의의 의미로 목련을 말할 때는 목련속(Magnolia)에 속하는 약 300여종을 총칭하는 말이다.[2]

  • 한국에 자생하는 목련속 식물

  • 외국에 들여온 목련속 식물
    • 백목련 (M. denudata): 우리가 흔히 '목련'이라고 알고 있는 나무는 대부분 백목련이다.
    • 별목련 (M. stellata): 꽃잎에 힘이 없는 것은 목련과 비슷하나, 꽃잎이 12 -18개로 훨씬 많다.
    • 자목련 (M. liliiflora): 목련은 대부분 교목인데, 자목련은 유독 관목이다. 자주색 꽃이 핀다.
    • 일본목련 (M. obovata)
    • 중국목련 (M. officinalis): 이 나무의 껍질을 한약재 '후박(厚朴)'으로 쓴다.
    • 버지니아목련 (M. virginiana): 미국 동부 지역에 자생하는 목련. 모든 속씨식물(현화식물)의 모식종이다.
    • 태산목 (M. grandiflora): 미국 남동부 원산의 목련, 한국에서도 남부지방에서 심어 기른다.
    • 초령목 (M. compressa)

본래 목련과 식물은 많은 속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워낙 오래 전에 출현한 종이고, 그에따라 여러 지질학적 사건을 겪었기 때문에, 외형상으로 많이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DNA조사 결과로 목련속 하나로 통일되었다. 그러나 중국 학계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3.1. 고대 식물[편집]


파일:external/aa75449ec8133dc261b2535878c96900373e32a94db09a4225fff3c6481e1a0a.jpg
백악기 후기에 서식한 트로오돈공룡들 옆의 목련
목련속(Magnolia)의 나무는 백악기 때부터 현대에까지 살아남은 가장 오래된 꽃 식물 중 하나이다. 즉, 최초의 꽃 중 하나이며, 이 꽃이 아직까지도 살아남아 우리들이 볼 수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미나리아재비목이라고 생각되어왔으나, 21세기 들어 분자생물학 기술이 발달되면서 목련과 그와 비슷한 계통의 식물들이 다른 쌍떡잎식물들과는 전혀 다른 원시적인 속씨식물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서 목련군(Magnoliid)라는 독립적인 군으로 독립되었다.[3] 목련이 출현한 시기는 벌과 나비가 출현하기 전이다. 그래서 꿀샘이 없고 대신 꽃가루를 먹는 딱정벌레 등을 유인하며, 때문인지 목련군에는 유달리 향이 강하고 멀리 퍼지는 꽃이 피는 나무가 많다.


3.2. 설화[편집]


백목련자목련에 관해서 전해져내려오는 설화가 있는데, 옥황상제가 딸을 시집보내기 위해 사윗감을 물색하고 있었으나 공주는 옥황상제가 골라준 사윗감들은 거들떠보지 않았다. 그녀는 사납다고 알려진 북쪽 바다의 신만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공주는 기회를 엿보아 몰래 궁을 빠져나와 북쪽 바다의 신이 사는 궁으로 갔으나 안타깝게도 북쪽 바다의 신은 유부남이었고, 충격을 받은 공주는 바다에 몸을 던져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소식을 알게 된 북쪽 바다의 신은 그녀의 죽음을 슬퍼하면서 자신의 아내에게 독약을 먹인 다음 (...) 두 여자의 장례를 성대히 치러준 뒤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고 한다. 이후, 두 여인의 무덤에서 목련이 자라났는데 공주의 무덤에서는 백목련이, 북쪽 바다의 신의 아내의 무덤에서는 자목련이 피어났다고 한다.

꽃말은 '숭고한 정신', '고귀함', '우애', '자연애'.


4. 미디어 믹스에서[편집]


  • 목련화: 목련을 찬양한 가곡으로 조영식 작사, 김동진이 작곡했다. 해당 작사자는 경희대학교 설립자이고, 경희대의 교화도 목련이다. 많은 성악가들이 이 노래를 불렀지만 경희대 교수로 재직한 성악가 엄정행이 부른 것이 널리 알려졌다.

  • 목련꽃 필 때면: 가수 최성수의 노래이다. 그의 모친이 작고할 적에 목련꽃을 보고 작곡한 노래라고 한다.


5.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기타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목련(), 목란(木)
한자(목련), 木(목란)
그리스어μαγνόλια(magnolía)
네덜란드어, 노르만어, 라틴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magnolia
독일어Magnolie, Magnolien
러시아어магно́лия(magnólija)
마인어magnolia, pokok magnolia, bunga magnolia
베트남어ngọc lan(), chi Mộc lan
아랍어مغنولية(maghnulia)
에스페란토magnolio
영어magnolia(매그놀리아)
일본어木蓮(もくれん(mokuren), モクレン(mokuren), 辛夷(こぶし(kobushi)(Magnolia kobus), コブシ(kobushi)(Magnolia kobus)
중국어玉蘭/玉兰(yùlán), /玉兰花(yùlánhuā), 木蘭/木兰(mùlán), 木蘭花/木兰花(mùlánhuā), 日本辛夷(rìběn xīnyí)(Magnolia kobus) (표준중국어)
木蘭/木兰(muk6 laan4, 묵란/목란)[1](광동어)
玉蘭花/玉兰花(gio̍k-lân-hue)(민남어)
튀르키예어manolya
페르시아어ماگنولیا
포르투갈어magnolia, magnólia
히브리어מגנוליה
네팔어कनकचम्पा(kanakachampa)
노르웨이어magnolia, magnoliaslekten, snømagnolia(Magnolia kobus)
라트비아어magnolijas
루마니아어magnolia, magnolie
리투아니아어magnolija
마리어магноли(magnoly)(서부)
마케도니아어магно́лија(magnólija)
말라가시어magnôlia
말라얄람어മഗ്നോലിയ(magnoliya)
몰타어magnolja
몽골어замбага(zambaga), замбага цэцэг (zambaga ceceg)
미얀마어စံကားဝါ(camka:wa)
바시키르어, 불가리아어, 카자흐어магнолия(magnoliya)
벨라루스어магнолія(mahnoliya)
볼라퓌크magnol
세르보크로아트어магнолија/magnolija
소르브어lilijowc(상소르브어)
스웨덴어magnolia, magnoliasläktet, japansk magnolia(Magnolia kobus)
슬로바키아어magnólia
아르메니아어մագնոլիա(magnolia)
아일랜드어magnóilia
아제르바이잔어maqnoliya
에스토니아어magnoolia
오크어manhòlia
우즈베크어magnoliya
우크라이나어магнолія(mahnoliya), магнолія японська(mahnoliya yaponsʹka
)(Magnolia kobus)
조지아어მაგნოლია(magnolia)
체코어magnólie, šácholan, šácholan japonský(Magnolia kobus)
카슈브어magnoliô
카탈루냐어magnòlia
칼미크어замбһа((d)zambgha)
크메르어ម៉ាក់ណូលា(meak nau lea)
태국어แมกโนเลีย(mæk no leīy)
펀자브어میگنولیا(서부)
폴란드어magnolia japońska(Magnolia kobus)
프리지아어magnoolien(북프리지아어)
핀란드어magnolia, magnoliankukka, magnoliat, japaninmagnolia(Magnolia kobus)
필리핀어magnolya
헝가리어liliomfa, Japán liliomfa(Magnolia kobus)

[1]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한글 '묵'과 '목'의 중간값으로 '모욱'을 빠르게 읽으면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속명 혹은 서구권에서 부르는 이름은 매그놀리아(Magnolia)인데 이는 18세기 프랑스 식물학자인 피에르 마뇰[4]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식 발음은 매그놀리아지만 프랑스어식 발음은 마뇰리아(/maɲoλa/)이다.


6. 여담[편집]


  • 한라산은 국내 유일의 목련(M. kobus) 자생지이다. 국내 최고령인 300년 된 목련도 여기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5 21:02:56에 나무위키 목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정식 명칭.[2] 한국에서 자생하는 목련속에 속하는 식물에는 M. kobusM. sieboldii 두 종만 있으며, 나머지는 전부 재배식물이다.[3] 여담으로 다른 일반적인 쌍떡잎식물들은 '쌍떡잎식물군(Eudicot)'으로 부른다.[4] 라틴어식은 마그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