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루비즈네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특별시
세바스토폴
자치공화국
문서가 있는
도시
· 노보볼린스크 · 노보흐로디프카 · 니코폴 · · 드니프로 · 드루즈키우카 · 로조바 · · 루츠크 · · 르비우 · 리만 · · 리우네 · · · · · 무카체보 · 미콜라이우 · 바라시 · · · · 발라클리야 · · 베리슬라우 · 보리스필 · 보우찬스크 · 볼흐라드 · 부차 · 부흘레다르 · 비시호로드 · 빈니차 · 빌라체르크바 ·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 · · · · · 쇼스트카 · 수미 · 스니후리우카 · · · · 슬라부티치 · 슬라뱐스크 · 시베르스크 · · 아우디이우카 · · · · 오데사 · 오흐티르카 · · 우만 · 우주호로드 · 이르핀 · 이바노프란키우스크 · 이지움 · 이즈마일 · 자포리자 · · 조우티보디 · · 즈메린카 · 지토미르 · 체르니우치 · 체르니히우 · 체르카시 · 추후이우 · · · 카미야네치포딜스키 · 카미얀스케 · · · 코노토프 · 코벨 · 코스토필 · 코스탼티니우카 · 쿠라호베 · 쿠퍈스크 · 크라마토르스크 · 크레멘추크 · · 크로피우니츠키 · 크리비리흐 · 키이우 · 킬리야 · 테르노필 · 테르니우카 · 토레츠크 · 파울로흐라드 · 페르보마이스크 · · 포크로우스크 · · · 폴타바 · 프리피야트 · 하르키우 · · 헤르손 · · 호스토멜 · 후스트 · 흐멜니츠키
빨강 표기
: 전체 또는 일부 지역은 러시아가 점령 중인 상태.
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 지도 보기 ]
파일:Ukraine_adm_location_map.svg




Rubizhne
Рубежное | Рубі́жне
루베즈노예 | 루비즈네
파일:루비즈네.png파일:루비즈네휘장.png
시기시장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실효지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행정구역
파일:러시아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루베즈노예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루한스크주 루비즈네
면적33.76㎢
인구56,066명[1]
시간대UTC+2 (서머타임)

1. 개요
2. 역사
3. 경제
4. 민족
5.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루비즈네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의 도시로, 리시찬스크세베로도네츠크 옆에 위치해있다.


2. 역사[편집]


1895년 마을이 설립되었고, 1904년 기차역이 들어서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1934년 도시로 승격되었다.

돈바스 전쟁 당시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이곳을 4월에 점령하였다가, 7월 21일에 우크라이나군이 탈환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가장 폭격을 많이 당한 도시 중 하나였다. 4월 9일 이곳에 위치한 4톤짜리 질산 탱크가 러시아군에 의해 폭격을 당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4월 21일 러시아가 점령하였음을 발표하였고, 4월 25일 체첸 공화국 대통령 람잔 카디로프가 해방 선언을 하였다. 이후 2014년 반마이단 시위를 주도한 세르게이 호르토프(Сергей Хортов)가 시장으로 임명되었다.

9월 들어 우크라이나군의 공세로 인해 이곳에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것이 확인되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크레민나리시찬스크가 11월 중순까지 러시아군의 점령 하에 있어 사실상 가짜뉴스로 판명되었다.


3. 경제[편집]


화학, 제약 공장이 이곳에 많이 설립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최대의 심장약 제조 공장이 이곳에 들어서 있었다.


4. 민족[편집]


민족 구성은 우크라이나인 66.3%,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31.3%, 벨라루스인 0.7%, 기타 1.7%이다.


5. 출신 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1:25:41에 나무위키 루비즈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1] 2021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