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병현(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황상규
단원
강세우강인수고인덕곽재기
권정필권준김광추김기득
김방우김병현김상옥김상윤
김성숙김시현김익상김지섭
김철호나석주남정각박문희
박자혜박재혁박차정박희광
배동선배중세배치문서상락
송천흠신악신영삼신채호
신철휴오성륜변절유자명윤세주
윤치형이구연이병철이병희
이성우이수택이육사이종암
이태준정이소최수봉황옥불확실
최용덕한봉근한봉인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독립운동가. 박희광, 김광추와 함께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의용군 제5중대 3인조 암살단(친일파 토벌대)중 1인이다.

2. 생애[편집]


1924년 6월 1일에 윤영기의 안내로 중국 무순 방면의 고등계 첩자이며 무순조선인회 악질 친일파 정갑주(鄭甲周)와 그 가족을 현장에서 암살하며 사형 선고문을 붙이는 공을 세운다

1924년6월7일 봉천성 보민회 회장 최정규 암살을 시도하였으나, 최정규가 숨어 최정규 암살은 실패, 그의 장모 이씨는 현장에서 살해, 처 허균은 총상을 입혔다(처는 총상후 몇 일뒤 사망하였다.)

1924년 6월7일 김광추, 박희광과 함께 봉천 일본총영사관에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불발로 실패하였다.

저녁 금정관(金正館)에서 군자금을 삼백원을 받아 나오다 중국관헌에게 김병현, 박희광은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김광추는 달아나 조선인 집에 숨어서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몇 일뒤 일본 밀정의 밀고로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총격전 끝에 현장에서 순국하였다.[1]

김병현, 박희광의 체포 현장에서 증거물로 권총 세자루, 실탄 160발, 폭탄 한 개, 사형 선고문 여러장을 압수했으며, 체포된 박희광과 김병현은 중국관헌, 일본영사관으로 인도되었다가 관동청지방법원의 재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혹독한 고문을 당하면서도 조직과 조직원의 보호를 위해 비밀을 지켜냈다.

1943년까지 뤼순형무소에서 신채호, 이회영, 우덕순, 박희광 등과 함께 수감 생활을 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8:31:01에 나무위키 김병현(독립운동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김광추는 총격전을 벌이다 현장에서 순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