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제목의 동화에 대한 내용은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문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번 문단을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의 주요 예능 프로그램 편성표
[ 펼치기 · 접기 ]

대국민 미술작가 오디션 화100(파일:MBN 로고.svg / 17:00)
(파일:KBS 2TV 로고.svg / 16:45 18:15)
(파일:MBN 로고.svg / 17:00 18:20)
복면가왕(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18:05)
런닝맨(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18:15)
19시 ~
21시 ~
톡파원 25시(파일:JTBC 로고.svg / 20:50)
개는 훌륭하다(파일:KBS 2TV 로고.svg / 20:55)
불타는 장미단(파일:MBN 로고.svg / 21:10)
탐정들의 영업비밀{{{#!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30)
연애남매(파일:JTBC 로고.svg / 20:50)
전현무계획{{{#!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MBN 로고.svg / 21:10)
선 넘은 패밀리{{{#!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 21:30)
아는 형님(파일:JTBC 로고.svg / 20:50)
22시 ~
조선의 사랑꾼{{{#!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줄 서는 식당2(파일:tvN 로고.svg / 22:10)
아빠하고 나하고{{{#!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유명가수와 길거리 심사단{{{#!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JTBC 로고.svg / 22:10)
고딩엄빠 4(파일:MBN 로고.svg 파일:K STAR.png / 22:20)
나는 SOLO(파일:SBS Plus 로고.svg 파일:ENA 로고.svg / 22:30)
더 시즌즈(파일:KBS 2TV 로고.svg / 22:00)
미스터 로또(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22:00)
더 와일드{{{#!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MBN 로고.svg / 22:30)
개그콘서트(파일:KBS 2TV 로고.svg / 22:15)
23시 ~
구독왕{{{#!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ENA 로고.svg / 23:00)
속풀이쇼 동치미(파일:MBN 로고.svg / 23:00)
전지적 참견 시점(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23:10)
빛 나는 SOLO(파일:SBS 로고.svg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24:30)
가방 속의 인생 스토리 - 토크백{{{#!html<span style="font-size:11px">(}}}파일:MBN 로고.svg / 23:00)
▶ 50-55분경에 방영이 시작되는 프로그램은 다음 시간대로 간주하여 분류함.
▶ 같은 시간대에 시작하는 프로그램의 경우는 프로그램명의 가나다 순으로 정렬함(일요일 16시~ 같은 경우처럼 2개의 프로그램 존재시 앞선 프로그램 우선시).
▶ 틀의 과도한 확장을 방지하고자 아래의 항목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은 위 편성표에서 제외함.

[ 제외 항목과 프로그램 보기 ]
▶ 주요 방송사(지상파, 종편, tvN, ENA)를 제외한 케이블 채널 중 개별 문서가 없는 예능.
▶ 단순 정보 전달, 연예 가십 보도, 강연, 시사 토론
▶ 위 표에 기록된 시간대 이외의 시간에 편성된 예능
음악 방송 중 음악 차트쇼 등 단순 공연 프로그램은 별개의 틀로 분류.

* 문서가 존재하는 제외 프로그램 목록
* 월: 프리한 19(tvN SHOW / 21:50)
* 화: 엄지의 제왕(MBN / 20:10), 벌거벗은 세계사(tvN / 20:40)
* 수: 벌거벗은 한국사(tvN STORY / 20:20)
* 금: 이십세기 힛트쏭(KBS joy / 20:30)
* 토: 영화가 좋다(KBS2 / 10:10), 접속! 무비월드(SBS / 11:00), 노래하는 대한민국(TV CHOSUN / 12:40), 차트를 달리는 남자(KBS joy / 14:30)
* 일: 신비한 TV 서프라이즈(MBC / 10:40), 출발! 비디오여행(MBC / 12:05), 이제 만나러 갑니다(채널A / 23:00)
[ 방영 예정 ]
* KBS: MA1, 하이엔드 소금쟁이
* MBC: 송스틸러
* SBS: 틈만 나면,
* JTBC: 크레이지 슈퍼 코리안, 이혼숙려캠프: 새로고침, 걸스 온 파이어, 세상에 이런 사람이(가제), 엄마, 나랑 단둘이 여행 갈래?(가제), 끝사랑(가제), 전업자녀 탈출기, 마이 네임 이즈 가브리엘
* MBN: 한 번쯤 이혼할 결심
* 채널A: 줄여주는 비서들
* tvN: 서진이네 2
* 엠넷: I-LAND2
* ENA: 하입보이스카웃, 찐팬구역, 눈떠보니 OOO, 대학가요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KBS 2TV 로고.svg 예능 프로그램

[ 펼치기 · 접기 ]

파일:개는 훌륭하다_로고.png
20:30
파일:슈돌 현 로고 (투명배경).png
20:30
파일:옥문아2.png
20:30, UHD
파일:살림하는 남자들 시즌 2 화이트 로고.png
21:45
파일:홍김동전 로고.png
20:30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파일:뮤직뱅크 로고 화이트 2019.png
17:15
파일:신상출시 편스토랑 로고 2022.svg[[파일:신상출시 편스토랑 화이트 로고 2022.svg
20:30
파일:골든걸스로고2.png
22:00
파일:더시즌즈 악뮤 로고.png
23:20
파일:영화가 좋다 신로고.png
10:10
파일:불후의 명곡 로고 2022.svg
18:10
파일: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로고.png
16:45
파일:1박 2일 로고.svg
18:15
파일:개그콘서트2 로고(투명배경).png
22:25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뮤직뱅크만 중간광고 제외




파일:해피선데이 로고.png
1부 시간대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1]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파일:KBS 2TV 로고.svg 일요일 프로그램
이전ON AIR다음
15:25~16:4516:45~18:1518:15~20:00
KBS 2TV 주말 드라마 재방송파일: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로고.png파일:1박 2일 로고.svg
[1] 첫 방송 때부터 해피선데이 1부 코너였다.

KBS 2TV 예능 프로그램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파일: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로고.png
시청 등급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방송사KBS 2TV
방송 시간일요일 오후 4시 45분 ~ 6시 15분
방송 기간2019년 4월 28일 ~
ON AIR

제작진연출안상은, 권재오, 문승원, 배수경, 김재민, 김재형, 신희섭, 백승미, 최믿음, 김지우, 이효정, 이선영, 한성수, 심진영, 김연주, 공민우, 김대용, 안수진, 김면지, 조아라, 조유나, 김민지, 최연식
작가심은하, 김효정, 허세연, 박다은, 문제희, 박태희, 이현정, 김지윤, 이정현, 최정은
진행전현무, 김숙, 김희철[1]
출연진역대 출연 보스 목록 참고[2]
재방송 채널KBS 2TV, KBS joy, KBS Kids, KBS drama
스트리밍wavve | 쿠팡플레이 | 왓챠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1. 개요
2. 역대 출연자
2.1. 현재 관찰자 MC
2.2. 하차한 관찰자 MC
3. 역대 출연 보스
4. 시청률 및 방영 목록
4.1. 2019년
4.2. 2020년
4.3. 2021년
4.4. 2022년
4.5. 2023년
5. 수상 경력
6. 여담
7. 비판 및 논란
8.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1. 개요[편집]


2019년 4월 28일부터 첫 방송된[3] 예능 프로그램으로, 2019년 2월 5일2월 6일 저녁 6시 40분에 설특집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편성되었다. 그러다가 1박 2일 멤버였던 정준영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해당 코너가 사실상 종영되면서 해피선데이 1부 코너였던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1박 2일이 방영되었던 시간대로 갔으며, 한동안 드라마 재방송을 방영하다가 이 프로그램이 편성되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해피선데이의 코너가 아닌 별개의 프로그램이다.[4] #

프로그램 내용은 일할 맛 나는 일터를 만들기 위한 대한민국 보스들의 자발적 자아성찰 프로그램. 대한민국 각계각층의 최정상 보스들과 직원들의 일터와 일상 관찰을 통해 그들의 관계를 살펴보고 과연 보스들이 직장에서 어떤 보스인지, 보스들의 갑갑함을 밝힐 수 있다. 스튜디오에서 관찰자가 관찰대상자의 비디오를 보다가 관찰대상자의 행동이 심하다고 판단하면 각 자리 책상 가운데에 있는 ""이라고 쓰여 있는 박스의 버튼을 누를 수 있다. 김숙이 유튜브서 희화화 발언을 해 논란이 가열 되었다.

MBC 전지적 참견 시점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유사 프로그램이라는 지적을 받는다. # 전지적 참견 시점이 연예인과 매니저의 갑을 관계에서 연예인의 일상을 폭로하고 성찰하게 만드는 기획 의도를 가진 프로그램이라면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는 유명인과 직원의 갑을 관계에서 유명인의 일상을 폭로하고 성찰하게 만드는 기획 의도를 가진 프로그램이다.[5]

2. 역대 출연자[편집]



2.1. 현재 관찰자 MC[편집]


  • 김숙 - 파일럿부터 정규편성까지 유일하게 출연하는 출연진이다.




2.2. 하차한 관찰자 MC[편집]


  • 김수미 - [파일럿]

  • 양세형 - [파일럿]



3. 역대 출연 보스[편집]




  • 박원순 [파일럿] [6] - 서울특별시장
  • 김준호 [파일럿] - 코미디언
  • 이연복 - 중식 요리사
  • 타이거JK - 필굿뮤직 대표
  • 원희룡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최현석 - 양식 요리사
  • 박술녀 - 한복 디자이너
  • 심영순 - 요리 연구가
  • 김소연 - 에스팀 대표
  • 헤이지니 - 유튜버
  • 오중석 - 사진 작가
  • 솔라 - 가수
  • 임성빈 - 인테리어 디자이너
  • 송훈 - 이탈리아 요리 전문가
  • 김기태 - 영암군 민속 씨름단 감독
  • 정재용 [7] - KBS 스포츠국장
  • 남자 펜싱 국가대표 - 펜싱선수 [8]
  • 양치승 - 헬스 트레이너
  • 토니 안 - 티엔 엔터테이먼트 대표[9]
  • 톰 호지슨 [10] - 외국 시나리오 작가
  • 김문정 - 뮤지컬 음악감독
  • 백지선 - 대한민국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감독
  • 황재근 - 패션 디자이너
  • 존 리 - 금융인
  • 현주엽 - 전 농구감독, 방송인
  • 허니제이 - 안무가
  • 최은호 - 일반회사 대표
  • 여에스더 - 약품 회사 대표
  • 김호중 - 성악가
  • 이특 & 신동 - 사업가
  • 정영준 - 메타코미디 대표
  • 장윤정 - 트롯 가수
  • 구자철 - 2022 카타르 월드컵 KBS 해설위원
  • 김주원 - 발레리나
  • 김우리 - 쇼셜 미디어 커머스 대표
  • 정호영 - 일식 요리사
  • 김병현 - 요식 사업가, 전 야구선수
  • 허재 - 방송인
  • 김형래 [11] - 승무원
  • 정지선 [12] - 중식 요리사
  • 이은결 - 일루셔니스트
  • 상해기 - 먹방 크리에이터[13]
  • 김종민 - 가수
  • 히밥 - 먹방 크리에이터
  • 김수미 - 배우
  • 성지인 - 모두의 지인 대표
  • 라이머 - 브랜뉴뮤직 대표
  • 김헌성 - 호텔 대표


4. 시청률 및 방영 목록[편집]


  • 닐슨코리아 기준, 볼드체는 최고 시청률


4.1. 2019년[편집]


EP.방영 날짜시청률출연진
파일럿2019년 2월 5일3.0%/8.1%박원순, 이연복, 김준호
2019년 2월 6일3.8%/6.6%박원순, 이연복, 김준호
특집2019년 4월 24일2.0%박원순, 이연복
12019년 4월 28일3.9%/5.7%현주엽, 심영순, 이연복
22019년 5월 5일3.0%/4.1%현주엽, 심영순, 이연복
32019년 5월 12일4.3%/5.1%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42019년 5월 19일3.4%/5.8%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52019년 5월 26일3.6%/6.1%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62019년 6월 2일3.2%/4.3%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72019년 6월 9일3.9%/6.1%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82019년 6월 16일3.1%/5.2%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92019년 6월 23일4.6%/6.1%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102019년 6월 30일4.2%/6.7%타이거JK, 현주엽, 심영순
112019년 7월 7일4.7%/7.1%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22019년 7월 14일4.2%/7.4%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32019년 7월 21일미집계/6.6%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42019년 7월 28일4.4%/7.5%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52019년 8월 4일4.1%/6.1%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62019년 8월 11일4.1%/7.1%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72019년 8월 18일5.6%/7.8%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82019년 8월 25일미집계/7.1%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192019년 9월 1일4.8%/7.9%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202019년 9월 8일4.7%/7.0%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212019년 9월 15일5.6%/7.9%심영순, 현주엽
222019년 9월 22일6.5%/8.4%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232019년 9월 29일4.7%/7.0%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242019년 10월 6일4.6%/7.8%원희룡, 심영순, 현주엽
252019년 10월 13일4.4%/6.9%김소연, 심영순, 현주엽
262019년 10월 20일4.9%/7.7%김소연, 심영순, 현주엽
272019년 10월 27일5.2%/6.3%김소연, 심영순, 현주엽
282019년 11월 3일5.0%/8.0%김소연, 심영순, 양치승
292019년 11월 10일5.4%/8.1%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02019년 11월 17일6.5%/9.4%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12019년 11월 24일7.0%/10.4%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22019년 12월 1일6.9%/10.1%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32019년 12월 8일7.0%/11.2%심영순, 양치승, 김소연
342019년 12월 15일5.4%/9.3%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52019년 12월 22일5.7%/9.5%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362019년 12월 29일6.4%/11.0%최현석, 양치승, 김소연


4.2. 2020년[편집]


EP.방영 날짜시청률출연진게스트
372020년 1월 5일6.9%/10.9%김소연, 박술녀, 양치승
382020년 1월 12일5.7%/9.7%김소연, 박술녀, 양치승
392020년 1월 19일5.9%/10.3%김소연, 양치승
402020년 1월 26일5.6%/7.6%여경래, 심영순, 양치승
412020년 2월 2일6.0%/9.3%송은이, 김소연, 양치승
422020년 2월 9일6.7%/10.3%박술녀, 김소연, 양치승
432020년 2월 16일6.6%/9.3%박술녀, 양치승, 이연복
442020년 2월 23일6.1%/9.2%김소연, 이연복, 양치승
452020년 3월 1일6.7%/9.6%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462020년 3월 8일5.7%/10.0%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472020년 3월 15일5.7%/8.4%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482020년 3월 22일5.5%/9.3%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492020년 3월 29일5.4%/9.4%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02020년 4월 5일5.2 %/7.9%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12020년 4월 12일5.3 %/8.5%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22020년 4월 19일6.2 %/9.9%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32020년 4월 26일4.6 %/6.9%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42020년 5월 3일5.0%/7.5%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552020년 5월 10일5.4%/7.3%현주엽, 양승동[14], 양치승1주년 특집
562020년 5월 17일4.7%/7.8%헤이지니, 김소연, 현주엽
572020년 5월 24일6.3%/8.5%양치승, 김소연, 현주엽&심영순한혜연(김소연), 강혁(현주엽)
582020년 5월 31일5.9%/8.4%현주엽&심영순, 양치승, 김소연마흔파이브[15](양치승)
592020년 6월 7일4.9%/7.8%헤이지니, 김소연, 현주엽안정환(현주엽), 뚜아뚜지(헤이지니)
602020년 6월 14일6.2%/8.0%현주엽&심영순, 양치승안정환(현주엽), 마흔파이브(양치승)
612020년 6월 21일5.1%/9.6%현주엽, 헤이지니, 양치승전현무(현주엽), 김숙(헤이지니), 마흔파이브(양치승)
622020년 6월 28일5.6%/8.7%현주엽, 김소연, 양치승안정환(현주엽), 지춘희(김소연), 마흔파이브, 최은주(양치승)
632020년 7월 5일6.5%/9.3%양치승, 김소연, 현주엽마흔파이브(양치승), 지춘희(김소연), 도티(현주엽)
642020년 7월 12일6.9%/10.5%심영순&양치승, 현주엽, 양치승도티(현주엽), 황석정(양치승)
652020년 7월 19일6.2%/8.2%심영순&양치승, 송훈, 현주엽도티(현주엽)
662020년 7월 26일4.8%/6.7%양치승&오중석, 현주엽, 송훈도티, 수빙수(현주엽)
672020년 8월 2일6.2%/8.5%양치승&오중석, 송훈, 현주엽김성경, 황석정(양치승)
682020년 8월 9일5.8%/8.3%현주엽, 송훈, 양치승홍석천, 황석정(양치승)
692020년 8월 16일4.9%/8.2%송훈, 오중석, 현주엽장동민(송훈), 이정재(오중석), 전현무(현주엽)
702020년 8월 23일5.5%/8.1%
712020년 8월 30일6.2%/9.1%
722020년 9월 6일7.5%/11.0%
732020년 9월 13일%/ %
742020년 9월 20일%/ %
752020년 9월 27일%/ %
762020년 10월 4일%/ %
772020년 10월 11일%/ %
782020년 10월 18일%/ %
792020년 10월 25일%/ %
802020년 11월 1일%/ %솔라
812020년 11월 8일%/ %솔라
822020년 11월 15일%/ %솔라
832020년 11월 22일%/ %솔라
842020년 11월 29일%/ %솔라
852020년 12월 6일%/ %솔라


4.3. 2021년[편집]


EP.방영 날짜시청률출연진게스트
1072021년 5월 9일%/ %박술녀, 김문정, 양치승 & 솔라
1112021년 6월 6일6.7%양치승, 김문정, 토니 안, 현주엽
1152021년 7월 4일5.9%양치승 & 솔라, 토니 안, 김문정마마무 문별
1162021년 7월 11일6.2%양치승, 김문정, 현주엽, 토니 안솔라
1172021년 7월 18일6.0%양치승, 현주엽, 정재용박찬호, 이영표, 조원희
1182021년 8월 8일7.1%양치승 & 솔라, 현주엽 & 허재구본길, 김정환, 김준호, 오상욱, 최병철, 여홍철, 한유미
1192021년 8월 15일6.0%현주엽 & 허재, 양치승 & 솔라구본길, 김정환, 김준호, 오상욱, 최병철
1202021년 8월 22일7.2%정호영, 현주엽 & 허재, 토니 안, 양치승
1212021년 8월 29일7.2%김병현, 양치승, 정호영박하나
1222021년 9월 5일6.9%김병현, 양치승, 정호영박하나, 박광재
1232021년 9월 12일토니 안, 현주엽 & 허재김정태
1242021년 9월 19일토니 안, 현주엽 & 허재, 김병현솔라
1252021년 9월 26일정호영, 톰 호치슨, 현주엽 & 솔라
1262021년 10월 3일4.9%현주엽, 톰 호치슨, 김병현
1272021년 10월 10일5.6%현주엽, 톰 호치슨, 김병현
1282021년 10월 17일5.7%현주엽, 톰 호치슨, 김병현
1292021년 10월 24일6.2%김병현, 김문정, 정호영최준석
1302021년 10월 31일5.6%김병현, 김문정, 정호영
1312021년 11월 14일5.7%김병현, 김문정, 정호영
1322021년 11월 21일6.0%김병현, 김문정, 정호영
1332021년 11월 28일7.3%김병현, 백지선, 정호영
1342021년 12월 5일6.4%김병현, 백지선, 정호영
1352021년 12월 12일7.5%김병현, 황재근, 정호영허재, 이용대
1362021년 12월 19일5.9%김병현, 황재근, 정호영허재
1372021년 12월 26일6.9%김병현, 황재근, 정호영


4.4. 2022년[편집]


EP.방영 날짜시청률출연진게스트
1382022년 1월 2일6.6%김병현, 황재근, 정호영
1392022년 1월 9일7.7%김병현, 황재근, 정호영
1402022년 1월 16일7.8%김병현, 황재근, 정호영
1412022년 1월 23일7.0%황재근, 존리, 정호영
1422022년 1월 30일4.8%김병현, 토니안, 김기태, 김문정, 송훈, 헤이지니, 김소연, 양치승, 오중석, 박술녀, 심영순[16]
1432022년 2월 6일10.3%김병현, 김기태, 양치승, 정호영[17], 황재근
1442022년 2월 20일[18]8.9%김병현, 존리, 정호영
1452022년 2월 27일6.0%김병현, 김용건, 정호영
1462022년 3월 6일6.2%김병현, 허니제이, 정호영
1472022년 3월 13일7.5%김병현, 허니제이, 정호영
1482022년 3월 20일6.8%김병현, 허니제이, 정호영
1492022년 3월 27일5.8%김병현, 최은호, 정호영
1502022년 4월 3일5.4%김병현, 허니제이, 정호영
1512022년 4월 10일4.4%김병현, 최은호, 정호영
1522022년 4월 17일4.6%김병현, 최은호, 정호영
1532022년 4월 24일4.6%김병현, 최은호, 정호영
1542022년 5월 1일5.6%정호영,김병현,장윤정
1552022년 5월 8일5.9%정호영,김병현,장윤정
1562022년 5월 15일6.6%정호영,김병현,장윤정
1572022년 5월 22일6.2%정호영,장윤정
1582022년 5월 29일6.6%정호영,김병현,장윤정
1592022년 6월 5일6.5%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장규리
1602022년 6월 12일6.1%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장규리
1612022년 6월 19일6.5%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장규리
1622022년 6월 26일6.0%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
1632022년 7월 3일6.2%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
1642022년 7월 10일5.9%김병현 여에스더 장윤정
1652022년 7월 17일6.6%김병현 여에스더 김호중
1662022년 7월 24일7.2%김병현 여에스더 김호중
1672022년 7월 31일8.1%정호영 여에스더 김호중
1682022년 8월 7일6.1%정호영 여에스더 김호중
1692022년 8월 14일5.0%정호영 김병현 이특&신동
1702022년 8월 21일5.8%정호영 이특&신동 장윤정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12022년 8월 28일6.7%정호영 정영준 장윤정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22022년 9월 4일6.4%정호영 정영준 장윤정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32022년 9월 11일5.5%정영준 김형래 장윤정 이진혁[19]김형래 회사의 스튜오디스들,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42022년 9월 18일5.7%정영준 김형래 장윤정김형래 회사의 스튜오디스들,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52022년 9월 25일5.5%허재 장윤정 김형래김형래 회사의 스튜오디스들,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62022년 10월 2일6.0%허재 장윤정 김형래김형래 회사의 스튜오디스들,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72022년 10월 9일6.0%허재 장윤정 김형래김형래 회사의 스튜오디스들,사단법인 장윤정패밀리-꼰대즈 프로젝트 지원자들
1782022년 10월 16일5.7%허재 정영준 양치승&김기태장삐쭈를 비롯한 정영준 보스회사의 직원들
1792022년 10월 23일6.2%장윤정 허재 김병헌
1802022년 11월 6일[20]5.3%장윤정 허재 김형래
1812022년 11월 13일6.6%구자철 허재 김형래
1822022년 11월 20일5.5%구자철 허재 김형래
1832022년 11월 27일6.4%김주원 김형래 허재
1842022년 12월 4일6.1%김주원 김형래 허재
1852022년 12월 11일6.0%김우리 김형래 허재
1862022년 12월 18일6.5%김우리 김형래 허재
1872022년 12월 25일6.2%김형래 허재 양치승 & 김기태


4.5. 2023년[편집]


EP.방영 날짜시청률출연진스페셜 MC비고
1882023년 1월 1일5.8%김우리 허재 김형래 & 정호영
1892023년 1월 8일6.9%김우리 허재 김형래 & 정호영
1902023년 1월 15일6.7%허재 정지선 정호영김태균
1912023년 1월 22일4.0%허재 정지선 정호영
1922023년 1월 29일7.8%김기태 이은결 정지선은하
1932023년 2월 5일6.5%김기태 이은결 정지선
1942023년 2월 12일6.6%김기태 권상혁 정지선
1952023년 2월 19일5.3%김기태 권상혁 정지선
1962023년 2월 26일5.3%김기태 이은결 정지선
1972023년 3월 5일5.9%김기태 김병현 정지선신소율
1982023년 3월 12일6.9%권상혁 정지선 김병현
1992023년 3월 19일5.8%권상혁 김병현차태현
2002023년 3월 26일6.7%김병현 정지선차태현, 이연복
2012023년 4월 2일4.9%비키정 정지선 이은결
2022023년 4월 9일5.2%이은결 비키정 정지선이지혜, 서인영
2032023년 4월 16일5.8%이은결 정지선 김병현이지혜
2042023년 4월 23일6.7%김병현&김숙 정지선&이연복 김수미윤정수
2052023년 4월 30일4.0%이은결 김수미 정지선&이연복
2062023년 5월 7일5.7%이은결 김문정 김병헌강승윤박군, 이대형
2072023년 5월 14일4.4%김문정 현정화 김병헌
2082023년 5월 21일5.5%현정화 이연복&김병헌 정호영박세미
2092023년 5월 28일6.3%정지선 정호영 김병헌
2102023년 6월 4일5.8%김연자 정호영 김병헌장영란
2112023년 6월 11일5.0%김연자 정호영 김병헌
2122023년 6월 18일5.4%정지선 정호영 김병헌이천수
2132023년 6월 25일5.1%추성훈 정호영 김병헌
2142023년 7월 2일5.7%정지선 성지인 추성훈황광희
2152023년 7월 9일5.5%정지선 성지인 추성훈
2162023년 7월 16일8.3%정지선 성지인 김종민은지원코요태
2172023년 7월 23일6.2%정호영 김종민 추성훈
2182023년 7월 30일5.9%코요태 이연복미미
2192023년 8월 6일6.2%이연복 정지선 추성훈&정호영효정
2202023년 8월 13일5.1%추성훈 라이머쇼리
2212023년 8월 20일5.2%추성훈 라이머 정지선
2222023년 8월 27일4.6%추성훈 성지인 정지선김응수
2232023년 9월 3일5.4%추성훈 성지인 이연복
2242023년 9월 10일5.8%김수미 추성훈 이연복김응수[21], 유이[22]
2252023년 9월 17일5.2%성지인 히밥 추성훈유이[23]
2262023년 10월 8일[24]5.2%추성훈 히밥 정지선
2272023년 10월 15일4.7%추성훈 정지선&히밥 김병헌
2282023년 10월 22일4.8%추성훈 라이머 정지선&히밥김성규
2292023년 10월 29일4.8%성지인 김헌성 추성훈김성규[25], 주상욱[26]
2302023년 11월 5일6.4%정지선 이연복 김헌성주상욱
2312023년 11월 12일5.5%정지선 추성훈 이연복
2322023년 11월 19일5.4%장민호 추성훈 정호영김수미
2332023년 11월 26일6.2%장민호 정지선 김수미
2342023년 12월 3일%장민호,추성훈,김수미

5. 수상 경력[편집]


날짜시상식명수상 부문수상자
2019년
12월 21일KBS 연예대상쇼.오락 부문 신인상심영순
핫이슈 예능인상양치승
2020년
12월 24일KBS 연예대상리얼리티 부문 베스트 엔터테이너상양치승
리얼리티 부문 최우수상현주엽
대상김숙
2021년
12월 25일KBS 연예대상핫이슈 예능인상정호영
올해의 예능인상김숙, 전현무
리얼리티 부문 베스트 엔터테이너상김병현
쇼·버라이어티 부문 베스트 엔터테이너상솔라
리얼리티 부문 최우수상허재
2022년
12월 24일KBS 연예대상베스트 아이콘상꼰대즈[27]
프로듀서 특별상허재
리얼리티 부문 우수상김병현
올해의 예능인상김숙, 전현무


6. 여담[편집]


  • 오프닝은 지누션의 말해줘의 일부분을 사용하였다.
  • 2019년 현역에서 은퇴했던 하승진이 유튜버로 전향한 후 한국농구가 망해가고 있는 이유에 대한 얘기를 했었다. 그리고 1주일 후의 방영분에서 현주엽이 그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서 질타를 받고 있다.
  • 21화에서는 태풍 링링 북상으로 원희룡 당시 제주지사가 스튜디오에 직접 오지는 못하였으며, 제주도청에서 상황을 지켜봤다.
  • 키즈웍스 헤이지니가 방송에 합류한 이후 심영순 MC가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욕심(?)을 드러내자 그 인연으로 헤이지니 채널에 출연하기도 했다. 4월 26일 방송분에서 심영순 MC가 키즈웍스에 방문하여 찬조출연한 에피소드를 다루기도 했다.
  • 상사와 직원간의 관계를 보여주는게 이 프로그램의 핵심인데 먹방이 많이 나오고, 회사 홍보가 더 많이 되고 있다. 현주엽의 LG 감독 시절 관중이 폭발적으로 늘고 선수들의 인기가 일반인들도 알정도로 상승했다. 결국 일종의 PPL인 셈이다.[28]
  • (공식홈페이지 서술기준) 현재 출연진이 전현무, 김숙, 현주엽이라고만 나올 정도로, 2022년 하반기 기준으로 공식 출연자 일부인 김병헌, 장윤정, 허재는 출연자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있다.장윤정,김병헌의 의문의 1패... 그러다가 2022년 11월 드디어 출연진 정보가 업데이트 되었다.

7. 비판 및 논란[편집]


  • 2023년 9월 3일 방송분에 한 유튜버가 면접관 역할을 하고 다른 면접자의 복장이 청바지를 입고 왔다며, 타박을 하는 모습을 보고, 대다수의 국민들이 아직도 면접 복장을 지적하는 세상이 있나 라는게 대다수의 중론이다. 정작 본인은 면접관의 복장을 어울리지 않게 입고왔는지 무릎에 이불을 덮어놓고 있고, 그 옆에 앉아있는 남자출연자는 반바지를 입고 왔다. 변호사나 직장 공채면접도 아니고, 상당히 깔끔하게 입고온 면접자를 나무라는 모습을 보고 비판적인 여론이 있다.

  • 기본적으로 예능이고 연출이 가미되었지만 가끔 직장인들이 보기 불편할 정도의 갑질이 나오는 장면들이 있다. 그리고 그 갑질에 대한 개선은 고사하고 그 갑질을 의도적으로 예능화 시킨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 대표적으로, 최현석 셰프가 직원에게 생색내고 뒤끝있게 부리는 장면이라던가, 현주엽이 LG 감독 훈련할 때 한 것이 대표적이다. 현주엽은 말그대로 구시대적인 방식으로 훈련을 시켜서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었다.[29]

  • 2020년 1월 19일 방영분에서 양치승이 직원들을 데리고 고급 떡볶이 집을 방문한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해당 회차에서 필라테스 강사인 동은 원장의 행동이 불편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무한 리필 집도 아니고 계란 하나에 1000원이나 할 만큼 음식값이 비싼데다가 자신이 계산하거나 한명당 하나씩 먹는 것도 아닌데도 동은 원장은 떡볶이가 나오자마자 떡을 모조리 가져가 떡꼬치로 먹는 민폐스러운 태도를 보였다. 심지어 다른 사람들은 야채와 라면사리만 건져 먹게 했다. 여기에 자신이 먹고 있는 떡들이 꽂힌 젓가락을 그대로 다른 사람들도 먹는 떡볶이 냄비에 담구는 비위생적인 행동을 여주기도 했다. 네티즌들은 도대체 밥상머리 교육을 어떻게 받았길래 저리 남을 생각 못하고 이기적으로 구냐는 비판의 입장을 보였다. 게다가 이 회차를 제외해도 양치승의 개인 카드를 가지고 멋대로 한우를 한 가득 산 것부터 해서 고기집에 가면 자기 혼자서 고기를 전부 먹어[30] 다른 사람들은 채소나 김치만 먹게 하거나 회전초밥집에선 흰살 생선만 골라 먹는 등 타인을 전혀 배려하지 못하는 이기적인 식습관을 계속 보여주는데다가 심지어 돈은 한푼도 내지 않았다고 한다.[31] 물론 양치승과 현주엽도 많이 먹긴 하지만, 이들은 동은원장처럼 자기가 좋아하는 맛있는 중요부위를 전부 골라 먹어 다른 사람들은 아예 못 먹게 한 적은 없다. 더군다나 저 두 사람은 음식값을 내는 사람들이다.

  • 2020년 7월 상반기 방송분에서 현주엽이 도티와 샌드박스 직원들에게 보여준 태도가 상당히 무례하고 불편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2020년 7월 5일 방송회차에서 현주엽은 도티와 식사자리를 가졌는데 현주엽은 크리에이터로 전향할 계획이었음에도 생각해둔 채널이 있냐는 도티의 질문에 생각 해본 적이 없다는 답변을 했고 유튜브 초심자인 현주엽을 위해 도티가 자세히 설명해주는 와중에 현주엽이 주문은 안 하시냐며 도티의 말을 끊기도 했다. 이어 등심과 안심으로 2인분씩 시키면 되냐는 도티의 질문에 회사 매출이 600억인데 더 시켜야 하지 않겠냐는 의사를 내비쳤고 이후 사실상 도티가 계산하는 자리임에도 멋대로 14인분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후 도티가 일 이야기를 계속 하자 현주엽은 음식 나왔는데 말이 참 많다며 도티에게 말 시키지 말라는 말을 했다. 그다음주 방송인 14일차 방송에서도 서로 초면인 샌드박스 입사 5개월 차인 김두형 PD에게 "군대는 다녀오셨어요? 약간 스타일이 좀... 고문관"이란 무례한 언행을 날렸고 또한 전공과 나이를 물으며 김두형 PD의 경력이 많지 않단 사실에 믿음직스럽지 못하단 눈빛으로 한달안에 관두실 것이란 폭언을 날렸다. 도티가 감각과 센스 그리고 재능을 모두 겸비한 직원이라 경험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며 김두형 PD 편을 들어주자 현주엽은 "그게 없어보여서"라며 김두형 PD를 폄하해 도티의 말문을 막히게 했다. 2020년 7월 19일날 방송회차에서 현주엽의 크리에이터 방송일을 위해 처음 제작한 영상을 시청할때 도티가 현주엽에게 스튜디오 촬영은 이번이 처음이니 결과물을 보고 앞으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상의해보자는 말을 하자 현주엽은 샌드박스에서 가장 좋은 건 과자가 있다는 것이라며 도티의 말을 무시했고, 도티가 현주엽을 위해 간식을 통째로 대령했음에도 오히려 현주엽은 자신이 원하는 과자가 없단 이유로 화를 냈다. 이러한 행동에 김숙은 회사에서 저러면 안된다며 일침을 날렸고 전현무도 자릿세 받으러 온 깡패 같다며 현주엽을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또한 영상 제작중 샌드박스의 신입 PD가 현주엽에게 자기 소개를 부탁하자 현주엽은 "했다 치고"라고 말하며 무성의한 태도를 보였고 이날 진행된 먹방[32]도 그저 먹기만 하는 모습만 나와 상당히 재미도 없고 감동도 없었다.

  • 박원순 당시 서울특별시장이 출연한 방영분에서 보인 각종 꼰대스러운 행동과 자신의 지위이용갑질에 해당할 수 있는 행보[33]를 보여 한동안 논란거리가 되었다.[34] 그 후 2020년 7월에 자신의 여비서를 성추행 하고 고소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난 뒤, 자살로 삶을 마감해버리는 바람에 이 출연분이 좋지 않은 쪽으로 재조명받기도 했다. 당연하겠지만 박원순 출연분은 통편집되어 재방송으로도 시청하지 못한다.



8.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8:00:18에 나무위키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79회부터 합류[2] 매 회차마다 출연하는 보스가 조금씩 달라진다.[3] 설 특집 파일럿 방송 당시 2019년 3월 말에 뵙겠다는 종료 자막과 프로그램 출연자들의 언급이 있었으나, 원래 파일럿 프로그램이 정식 프로그램으로 승격되기가 희박하고, 되었다 하더라도 예정된 날이나 달에 되기에는 쉽지 않다.[4] 해피선데이 역시 2019년 4월 28일부터 슈퍼맨이 돌아왔다 단독 편성으로 변경했고, 그와 함께 해선과 슈돌은 사실상 별개의 프로그램이 되면서 해피선데이 자체도 종영되었다. 또한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1박 2일의 잠정 종영 이후 공식 홈페이지가 따로 생겼다.[5] KBS의 오래된 수법대로 MBC의 주말 예능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요일만 바꿔서 편성하였다. 토요일의 무한도전과 유사한 일요일의 1박2일, 일요일의 나는 가수다와 유사한 토요일의 불후의 명곡처럼 토요일의 전지적 참견 시점과 유사한 일요일의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가 되었다. (물론 아빠! 어디가?와 유사한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동일한 일요일로 편성하는 뻔뻔함을 보여준 적도 있다.) 심지어 관찰하는 MC까지도 전현무는 동일하게 기용했고 송은이 대신 단짝인 김숙을 기용했다.[파일럿] A B C D 1회부터 3회까지 출연후 정규편성으로 하차하였다.[6] 이후 드러난 그의 실체를 보자면 파일럿에서 드러났던 모습이 그나마 다듬어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차후에 다른 의미로 사당귀의 기획의도를 가장 잘 살려낸 인물 중 한 명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다.[7] KBS 스포츠국장이며, 2020 도쿄 올림픽 특집으로 특별출연[8] 김정환, 구본길, 김준호, 오상욱[9] 출연 당시 한정. 현재는 운영했던 소속사를 정리한 상태다.[10] 뮤지컬 감독[11] 에어서울 캐빈서비스부문 부문장, 26년차 승무원이자 에어서울 창립멤버[12] 이연복 셰프의 제자[13] 방송에서는 본명 권상혁으로 소개됨[14] KBS 사장. 1주년 특집으로 출연.[15] 허경환, 김지호, 김원효, 박영진, 박성광[16] 보스총회 특집[17] 보스총회 특집[18] 2월 13일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 편성으로 결방[19] 스페셜MC[20] 10월 30일은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결방.[21] 추성훈, 이연복 파트 출연[22] 김수미 파트 출연[23] 히밥, 추성훈 파트 출연[24] 9월 24일, 10월 1일은 아시안 게임 중계로 결방[25] 성지인 파트 출연[26] 김헌성, 추성훈 파트 출연[27] 허재, 김정태, 정호영, 김병현, 이대형, 유희관, 곽범[28] 사실 그냥 일반 상사가 아닌 사실상 CEO의 준하는 위치에 사람들이 나와 직원과 관계를 다루다보니 대놓고 PPL일 수밖에 없다. 오히려 이 프로그램의 핵심을 지키면서 PPL도 안하는 방법은 있을 수가 없다.[29] 현 트렌드에 프로감독은 언행과 행동에서 선수단에게 신뢰를 잃는 순간 바로 경질이 되는 현실이다. 예전이야 뭐 노력,근성론을 강조하며 군기가 심한게 당연시 했다 할지언정 현재는 SNS 및 커뮤니티 등등 선수들의 근황등을 속속히 알 수 있는 상황에서 구시대적인 방식으로 프로 팀을 이끌면 성적으로서 증명하지 못하게 될시 선수단,프론트, 팬들에게 모두 외면당하게 된다. 현주엽 또한 현 트렌드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등한시하고 구시대적인 방식을 고집하다가 성적부진으로 인하여 감독직을 내려놓았다. 종목은 다르지만 2007년 SK 감독으로 부임하여 한국시리즈 3회 우승, 1회 준우승을 기록하여 2000년대 후반 SK왕조시기를 만든 김성근이 팬들의 염원으로 한화 감독으로 부임하였을 때 시간이 지나도 성적이 향상은커녕 팀의 미래까지 보이지 않을 구시대적인 운영 및 혹사로 팀 시스템을 망가뜨린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경질되었지만, 현주엽 못지 않게 선수들에게 손찌검 및 군기논란으로 인성문제로 많이 거론되는 두산의 김태형 감독은 2015년 두산 감독 부임 아래 강력한 카리스마와 팀 운영으로 KBO리그 최초로 7연속 한국시리즈 진출의 매우 좋은 성과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감독으로서 활약하고 있다.[30] 심지어 자신이 굽는 것도 아니다.[31] 양치승 말로는 그동안 동은원장은 얻어먹기만 했지, 대신 계산해주거나 더치페이를 해준 적이 없다고 한다.[32] 회, 마카롱[33] 박 시장의 수많은 비서들 중에서 박 시장은 남비서 한 명의 가족 모임에 무단으로 참가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34] 특히 현직 장관&차관&도지사&시장 등 높으신 분들이 방송에 출연할 때는, 방송국에서 손수 현직 장관&차관&도지사&시장 등이 사소한 일로 논란이 되는 것을 막으려고 부정적인 면은 무조건 편집을 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편집을 하였는데도 이렇게 결과물이 나온거라면, 박 시장 시절에 갑질 문제와 공무원들의 자살이 왜 많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