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우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황상규
단원
강세우강인수고인덕곽재기
권정필권준김광추김기득
김방우김병현김상옥김상윤
김성숙김시현김익상김지섭
김철호나석주남정각박문희
박자혜박재혁박차정박희광
배동선배중세배치문서상락
송천흠신악신영삼신채호
신철휴오성륜변절유자명윤세주
윤치형이구연이병철이병희
이성우이수택이육사이종암
이태준정이소최수봉황옥불확실
최용덕한봉근한봉인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강세우
姜世宇
파일:강세우.jpg
출생
1901년
사망1920년대 이후
학력신흥무관학교 (졸업)
소속의열단

1. 개요
2. 일생



1. 개요[편집]


파일:의열단 단체 사진.png
서대문형무소 수형기록카드에 남아있는 의열단 창립 초기 단원들의 사진.[1]
대한민국독립운동가. 의열단 조직에 힘썼던 인물 중 한명이다.


2. 일생[편집]


그는 의열단 창단 당시 주요 단원 13명 중 한 사람이였다.[2]

1920년 4월 의열단 단장 김원봉 등과 함께 완제 폭탄 13개, 권총 2정 등을 곡물로 위장하여 2차에 걸쳐 안동현 경유 국내로 밀송하였다. 그리고 거사 실행 전에 현지답사와 격문 인쇄, 소요 경비 염출을 위한 시간이 필요해 거사 전까지 무기를 밀양과 진영에 나눠 보관토록 했다. 6월 16일에 폭탄 은닉 사실이 일제 경찰에 발각됨으로써 중도 실패한 뒤 관련자 20명이 체포되고 말았는데, 이때 그는 김상윤, 서상락, 한봉근과 함께 유일하게 검거망을 뚫고 탈출했다.

이후 정확한 행적은 불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7:28:59에 나무위키 강세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른쪽 선 사람부터 김원봉, 곽재기, 강세우, 김기득, 이성우. 앉아있는 사람은 정이소다. 우측 하단에 따로 붙은 사진은 김익상이다.[2] 김원봉, 윤세주, 이성우, 곽경, 강세우, 이종암, 한봉근, 한봉인, 김상윤, 신철휴, 배동선, 서상락, 권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