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국광

덤프버전 :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 좌의정 ]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 우의정 ]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김국광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적개공신
[ 펼치기 · 접기 ]

1467년 8월 26일 세조에 의해 책록
정충출기포의적개공신 (1등)
강순김교남이박중선
어유소윤필상이숙기이준
조석문허종


정충포의적개공신 (2등)
구겸김관김국광김면
김백겸김순명맹석흠박식
배맹달손소심응어세공
오순손오자치윤말손이덕량
이서장이운로이종생이형손
장말손허유례류자광
정충적개공신 (3등)
민발선형오자경우공
이부이양생이종정종
정준차운혁최유림한계미
정숭로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송문림심회윤사흔
이정이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수류지
박거겸선형신정2신준
심한어유소오백창우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현
이훈정난종정숭조한보
한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조선 정승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정정공(丁靖公)
김국광
金國光
출생1415년 6월 27일[1]
(음력 태종 15년 5월 12일)
전라도#조선시대 광주목#
(現 광주광역시)
사망1480년 12월 21일[2] (향년 65세)
(음력 성종 11년 11월 11일)[3]
충청도#조선시대 이후 연산현
(現 충청남도 논산시)
봉호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시호정정(丁靖)
본관광산 김씨
관경(觀卿)
서석(瑞石)
부모부친 - 김철산(金鐵山)
모친 - 안동 김씨 김명리(金明理)의 딸
부인장수 황씨(長水黃氏) - 황보신(黃保身)[4]의 딸
자녀장남 - 김극뉴(金克忸, 1436 ~ 1496)
차남 - 김극니(金克怩)
3남 - 김극수(金克羞)
4남 - 김극괴(金克愧, 1466 ~ 1490)
장녀 - 이한(李悍)의 처
차녀 - 이혜(李譓)의 처
3녀 - 송여림(宋汝霖)의 처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조선의 관료, 정승이다.


2. 생애[편집]


1415년 전라도 광주목에서 태어났다. 1441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홍문관 교리로 있던 1455년, 세조의 즉위를 지지하면서 세조의 측근이 되었으며 좌익원종공신 3등에 올랐다. 1460년에는 신숙주, 최항 등과 함께 경국대전 편찬에 기여하였다. 1467년에는 병조판서로서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데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 2등에 올랐다. 예종 사후에는 성종의 즉위를 지지하며 좌리공신 1등에도 올랐다. 우의정좌의정을 지냈으나 동생 김정광과 사위 이한의 부정부패가 드러나면서 대간의 탄핵을 받았고 사직하였다. 이후에도 성종의 배려로 원상 자격으로 국정에 참여하였고 다시 우의정에 올랐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다시 사직하였다. 1480년 병환으로 사망하였다.


3. 여담[편집]


황희의 셋째아들 황보신의 사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2:21:13에 나무위키 김국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