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치관

덤프버전 :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 펼치기 · 접기 ]



구치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 좌의정 ]

문하좌시중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문하좌정승 → 좌정승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 우의정 ]

문하우시중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판의정부사 → 우의정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익공신
[ 펼치기 · 접기 ]

1455년 9월 5일 세조에 의해 책록
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 (1등)
권람신숙주윤사로이곤
한명회1한확이증2
수충경절좌익공신 (2등)
강맹경권반양정3윤암
이계린이계전이사철전균
정인지1정창손1, 4최항홍달손
윤형5
추충좌익공신 (3등)
구치관권공권자신6, 7박강
박원형성삼문6, 8원효연윤사윤
윤자운이극감9이극배이예장
이징석이휘6정수충조득림
조석문조효문최유한계미
한종손황수신황효원홍윤성10
김질11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58년 6월 29일 세조에 의해 책록
3 1466년 연회에서 세조에게 양위를 종용한 혐의로 인한 제명
4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3등에서 2등으로 책록
5 1455년 10월 22일 세조에 의해 책록
6 1456년 단종 복위 운동으로 인한 제명
7 1699년 숙종 때 복권
8 1691년 숙종 때 복권
9 1504년 아들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0 1455년 11월 12일 세조에 의해 책록
11 1456년 7월 3일 세조에 의해 책록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리공신
[ 펼치기 · 접기 ]

1471년 3월 2일 성종에 의해 책록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 (1등)
권감김국광신숙주윤자운
정현조조석문최항한명회1
홍윤성
순성명량경제좌리공신 (2등)
김질송문림심회윤사흔
이정이침정인지1정창손1
한계미한계희한백륜구치관
순성명량좌리공신 (3등)
강곤김겸광강희맹노사신
박중선서거정성봉조신승선
양성지윤계겸이극배이극증
이숭원임원준정효상한계순
한치형1홍응
순성좌리공신 (4등)
구문신김교김길통김수녕
김수온김순명류수류지
박거겸선형신정2신준
심한어유소오백창우공
윤필상1이극돈3이석형이수남
이숙기이승소이철견이현
이훈정난종정숭조한보
한의한치례한치의한치인
함우치허종황효원
1 1504년 갑자사화로 인한 제명, 1506년 중종 때 복권
2 1482년 성종의 인신을 위조해 남의 재산을 탈취한 혐의로 인한 제명
3 1504년 조카 이세좌와의 연좌로 인한 제명, 1511년 중종 때 복권










조선 영의정
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충렬공(忠烈公)
구치관
具致寬
출생1406년(태종 6)
전라도 능주#
사망1470년 10월 16일[1] (향년 63 ~ 64세)[2]
(음력 성종 1년 9월 13일)[3]
재임기간제29대 영의정
1466년 6월 9일[4] - 12월 5일[5]
(음력 세조 12년 4월 18일 - 10월 19일)
봉호능성부원군(綾城府院君)
시호충렬(忠烈)
본관능성 구씨
이율(而栗), 경률(景栗)
부모부친 - 구양(具楊)
모친 - 윤사영(尹思永)의 딸
부인청주 이씨 - 이중부(李仲扶)의 딸
자녀슬하 1남 4녀
장남 - 구경(具慶)
장녀 - 박휘(朴暉)의 처
차녀 - 권영손(權永孫)의 처
3녀 - 조선(趙選)의 처
4녀 - 류익후(柳益厚)의 처

1. 개요
2. 생애
3. 경력
4. 여담
5. 대중매체



1. 개요[편집]


조선영의정이다.


2. 생애[편집]


1429년 사마시(생원시)를 급제하고 1434년 문과 급제하여 벼슬 살이를 시작했으며, 세조의 오른팔 역할을 하며 신임받는 신하가 되었다. 세조 즉위 이후에 좌익좌리공신이 되어 능성군(綾城君)에 봉해졌다.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등의 중요한 직책을 거쳐 1466년 영의정이 되었다.

생애 중 가장 특기할만한 사건은 사육신 사건 당시 국문을 실질적으로 구치관이 담당했던 것이다. 당시 세조의 친국은 첫날 뿐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구치관이 담당했다. 하지만 육신전의 망령에 휘둘리는 사육신 일화에서는 구치관의 이름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악당으로서의 인지도마저 없다. 또 하지만 그의 행적이 해동명신록과 여지승람에 실렸다.

구치관 졸기에 따르면 세조의 정난 때 함길도에서 역당을 제거하고 세조를 주변에서 보필하게 되면서 큰 신임을 받게 되었고, 세조에게 문무를 겸비했다는 칭찬을 듣기도 했다. 그래서 족보에 출장입상(出將入相,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으로, 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을 이르는 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그를 평안도 절도사에 제수하고 나서는 "이제 나는 다시 서쪽을 돌아보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구치관이 있으니 굳이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신뢰를 표현한 것이다. 이후 구치관은 진서 대장군에 봉하여 토벌된 야인의 잔당을 막으라 했을 때에는, "능성은 나의 만리장성이다."라고 말하며 큰 신임을 보이기도 했다.

사후 순성 붕량 경제 좌리 공신 호를 추증받았으며, 정질(貞質)·정간(貞簡)·정소(貞昭) 등의 시호를 봉상시에서 논의했으나 "'능성은 평생 나라를 위하여 충성을 다하고 청백하게 조심하여 살았다. 지금 아뢴 바 시호는 실제에 부응하지 아니하니, 다시 의논해서 아뢰라.""라는 말에 충렬(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졸기에 따르면 구치관은 용모와 행동이 엄숙하고 확연하게 지키는 것이 있어서 이익과 세력에도 흔들리지 않고 몸가짐을 청백하고 검소하게 하였으며[6], 악을 미워하기를 원수같이 하였다. 전형 선발의 임무를 맡았으나 자기 집에 개인적으로 찾아오는 사람이 없었고, 뽑아 쓰기를 모두 공평하게 하였다. 혹 간청하는 자가 있으면, 관례상 옮길 사람도 도리어 옮겨주지 않았다. 생업(生業)을 돌보지 아니하여 죽던 날에는 집에 남은 재산이 없었다. 그러나 좋아하고 미워하는 것이 편벽되어 사람들이 자못 비난하였으며, 심지어는 거짓으로 행동하여 이름을 낚는다고 비방하는 자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종합해보면, 세조 대의 고위관료들 중 거의 유일하게 청렴하게 살았던 대신이었다. 당시 큰 뇌물 사건이 터졌을때, 고위급 대신들 중에서 연관되지 않은 유일한 한 명이 구치관이었다. 사실 이런 면모 때문에 졸기에도 보이듯 동료 대신들에게 '편벽한 위선자'라는 비난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열미리에 있다. 신도비에 새겨져 있는 글은 사가정 서거정이 지었으며 족보에 써져 있는 글은 사간 박효원이 지었다.[7]

구치관 졸기를 보면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으니 참고바람.


3. 경력[편집]


년도지위비고
1434년문과 급제
정9품 승문원정자관찬 서적의 교정 및 주요 제향 축문 관장
정9품 예문관검열왕의 측근으로 왕명 대필 등의 사무 관장
정8품 예문관대교사고 서적의 관리와 왕과 신하의 대화 기록 관장
정7품 승정원주서승정원일기 기록 등의 업무 관장
정6품 사헌부감찰관리의 비위 규찰
종5품 황해도사지역관리 비위 규찰
1455종2품 이조참판능성군 봉직
1457종2품 호조참판
1457평안도절도사
1462종1품 우찬성
1466정1품 영의정


4. 여담[편집]


조선 중후기 구씨로서 당상에 오른 대신들은 대부분 그의 후손이라 보면 된다. 근현대 인물인 후손 중에서는 정치인 구자옥, 화가 구본웅, 가수 구창모, 기업인 구현모 등이 있다. 방계 후손이지만 인조의 모후 인헌왕후가 그의 동생인 구치홍(具致洪)의 현손자 구사맹의 딸이다. 또한 범LG가가 구치홍의 후손이다.


5. 대중매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08:02에 나무위키 구치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율리우스력 10월 7일.[2] 연 나이 64세.[3] 세는나이 65세.[4] 율리우스력 5월 31일.[5] 율리우스력 11월 26일.[6] 그래서 족보에 청백리(淸白吏,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이 곧고 깨끗한 관리.)라고 기록되어 있다.[7] 출처: 《능성구씨족보》 구치관편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