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포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시 강남구 개포동에 있는 수인·분당선 분당선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개포동역 문서
개포동역번 문단을
개포동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개포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Gaepo
한자開浦
간체자开浦
가나開浦(ケポ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방터길 7-11
(舊 풍정리 189-5)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영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운영 기관
경북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개업일
경북선 (1차)1928년 11월 1일
~1944년 10월 1일
경북선 (2차)1966년 1월 27일
무궁화호1998년 10월 1일
철도거리표
경북선
개 포

파일:attachment/개포역/Example.jpg
개포역

파일:20170318_144309.jpg
승강장에서 바라본 개포역
1. 개요
2. 역사
3. 역 정보
3.1. 시간표
3.2. 경북선 셔틀화
4. 연계 교통
4.1. 농어촌버스
5. 승강장
6. 일평균 이용객
7. 기타



1. 개요[편집]


경북선철도역.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방터길 7-11 (풍정리)[1] 소재.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했었다.


2. 역사[편집]


1928년 11월 1일: 배치간이역 영업 개시
1940년 5월 16일: 화물 취급 개시
1944년 10월 1일: 경북선 축소로 인한 폐역
1965년 10월 13일: 현 역사 준공
1966년 1월 27일: 경북선 재개통으로 인한 보통역 영업 재개
1976년 7월 10일: 일반화물 취급 중지
1991년 9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1977년 10월 1일: 공군 전용선 개통
1999년 3월 2일: 개포 TMO 폐지
2002년 11월 1일: 개포시설관리반 신축
2015년 12월 15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
2019년 9월 30일: 노후 시설 및 승강장 개량

3. 역 정보[편집]


개포면에 위치한 유일한 역이지만 면소재지와 거리가 있다보니[2] 여객수요는 적다. 그럼에도 이 역이 한 때 보통역 지위를 유지하고 열차 정차수도 더 적은 주제에 자기보다 이용률이 더 높은 용궁역을 휘하에 둔 적도 있었던 이유는 근처에 대한민국 공군 제16전투비행단(예천공항)이 위치해있기 때문이다. 1977년 10월 1일에 이 역에서 분기해 나가는 공군부대 전용선이 개통되고 이후로 군부대로 들어가는 유류 및 화물들을 수송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그 적은 여객 수요의 대부분도 휴가를 나가고 복귀하는 공군 장병들이기도 하다.

2015년 12월 15일자로 보통역(운전간이역)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또한 1명 근무지정역에서 해제되었고, 동시에 무인역이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점촌역의 관리를 받고 있다.

분당선 개포동역은 이 역과의 역명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개포역이 되었다.

무인역이므로 열차에 승차 후 차내승차권을 발권해야 한다. 대신 차내승차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승차권 대신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역 구내에 3퍼밀의 구배가 있다.

3.1. 시간표[편집]


개포역 열차시간표 (2022년 11월 7일 기준)
상행 (영주 방면)
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
무궁화호#180110:3610:37영주
무궁화호#180313:1413:15영주
무궁화호#180516:1916:20영주
무궁화호#180720:1420:15영주
무궁화호#180921:4421:45영주
하행 (김천 방면)
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
무궁화호#180206:3906:40김천
무궁화호#180409:1009:11김천
무궁화호#180611:4611:47김천
무궁화호#180814:5314:54김천
무궁화호#181017:2817:29김천


3.2. 경북선 셔틀화[편집]


2019년 1월 1일 이전에는 하루에 각 편도 3회 씩 경부선을 경유하는 영주-부산 무궁화호 열차, 주말에는 경부선을 경유하는 강릉-부산 무궁화호가 1회 추가되어 다녔었고, 목적지가 점촌, 상주, 구미, 대구, 동대구, 경산, 부산인 경우에는 수요가 있었다.

2019년 1월 1일 자로 시간표 개정 후, 경북선이 셔틀노선화 되면서 일일 각 편도 3회 운행하던 영주~부산 무궁화호가 전면 폐지되고, 영주~김천 간으로 단축되었다. 그래도 그나마 일일 각 편도 3회만 운행하던 무궁화호가 5회 운행으로 바뀌고, 2021년 1월 4일까지 주말에 한해 부산~강릉 무궁화호(왕복 주 2회)가 다녔다.

그런데 주말열차인 강릉-부산 무궁화호도 2020년에 와서 동해역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단축되었고, 2021년 1월 5일에는 동해~부산 무궁화호 마저도 폐지되어 예천역에서 구미, 동대구, 경산, 부산으로 직통 열차편을 이용하기 어려워졌다.

대구로 가려면 건너편의 예천터미널에서 동대구행과 북대구행을 이용할 수 있으며, 부산으로 갈 경우에는 경북선 열차를 타고 김천역에서 환승하든지, 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동대구안동터미널까지 가서 환승해야 한다.


4. 연계 교통[편집]



4.1. 농어촌버스[편집]


개포방터입암리(700256)
* 예천 방면
농어촌
덕계

입암리(700257)
* 점촌 방면
농어촌
덕계
동송


5. 승강장[편집]


예천
12
용궁


6.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비고
2004년7명
2005년5명
2006년5명
2007년5명
2008년5명
2009년6명
2010년8명
2011년11명
2012년18명
2013년18명
2014년16명
2015년15명
2016년16명
2017년18명
2018년18명
2019년18명
2020년15명
2021년8명[3]
출처
철도통계연보




7. 기타[편집]


군 비행장이 망하거나 이전한다면 그런 일은 없겠지만 순식간에 폐역 신세가 될 것이다.

역무원이 근무하던 보통역 시절에는 밤에 역무실을 제외한 모든 시설의 전등을 꺼뒀기 때문에 으스스한 느낌이 들었다고 한다. 물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지금은 그런 거 없다.

경북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 경북선(1944년 폐선) : - - - - -
취소선:폐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5:39:31에 나무위키 개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풍정리 189-5번지[2] 역에서 서쪽으로 1~2번지만 지나면 바로 용궁면이 나온다. 이 역에서 용궁면과 개포면 두 면소재지와의 거리는 거의 비슷하다.[3] 신해운대역 인근 수로 박스 공사로 인한 운행중단 기간은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