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나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프리카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E1126 10%,#FDC116 10%,#FDC116 90%,#006B3F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가나|[[파일:가나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가나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Ghana Armed Forces
1. 개요
2. 육군
3. 해군
4. 공군
5.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AF_%E2%80%93_Ghana_Armed_Forces.png

가나의 군대는 1957년에 창설되었다. 가나군의 기원은 영국 식민지 시절의 가나 식민지 연대가 모태다. 창설 초기에는 단순한 국경수비대 수준이었으나, 1957년에 대통령 친위대라는 형태로 개편된다. 1957년에 재편성을 시작하면서 출발하게 되다가 1959년에 제대로 된 정규군으로 재편된다. 그러다가 1960년 대통령 근위연대(President's Own Guard Regiment)(POGR)와 같은 친위조직 만들어지면서 가나군과 지휘체계가 양분되는 경우가 생겼고 여러가지 쿠데타에 동원되었다.

현재는 육-해-공 3군체계에 있으며 1960년에 창설된 대통령 근위연대 역시 별개조직에서 육군으로 통합되어 있다. 모병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병력은 13,500명 정도다.

과거에는 쿠데타에 동원되는 일이 잦았지만 90년대에 군정이 민간에 정권을 이양함으로써, 문민통제가 지켜지고 있다.

또한, 가나군은 평화유지군 활동에 적극적인 아프리카 군대 중 하나다.

  • MONUC (콩고 민주 공화국) - 464명
  • UNMIL (라이베리아) - 852명
  • UNAMSIL (시에라리온) - 782명
  • UNIFIL (레바논) - 651명

의 규모를 파병하여 활동 중이다.

영국의 영향으로 계급체계가 영국군과 동일한 편이다.


2. 육군[편집]


파일:가나 국기.svg 현대 가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나군 (1957~현재)
Ghana Armed Forces
경전차M3R
장갑차차륜장갑차라텔 20, 라텔 90, 피라냐 I, WZ-523, EE-9, VBTP-MR 과라니, 센티넬
차량소형코브라, MXT-MV
다연장로켓PHL-81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508183058.jpg

가나 육군은 최고 단위 편제가 영국의 식민지배의 영향과 규모 탓에 여단이 최상위 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대대 편제가 주 제대라고 할수 있다. 육군은 5,700여명으로 구성되어있다. 공산권 국가와의 교류도 강했던 탓에 러시아제 장비가 다수 운영되었다.[1] 그러다가 냉전이후 서방제 장비들이 대거 수입되면서 혼용운영되고 있는 모습이 강하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508183058_3.jpg

주 제대는 당연하게 보병이며 기계화전력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편이다. 특수전력으로는 공수연대를 제외하고 64보병연대를 운영하며 특수전 전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통령 근위연대(POGR)의 경우 65년에 가나군에 완전히 편입되었으며 규모는 1,200명 정도다.

3. 해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Ghana_1964-1966.svg.png

해군도 1957년 해안경비대에서 출발하여 1959년에 정식으로 해군으로 편제되게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임무는 연안에서의 어업감시통제/해적소탕과 같은 연안해군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전투함선들도 연안전투함 이상의 함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10616183616.jpg

창설 초기에는 미국 해안경비대의 Balsam급 함선 2척으로 운영되었다가 2001년에 퇴역했다. 그뒤에 연안 순찰정등을 운영하다가 2011년에 한국에서 참수리급 고속정을 퇴역하면서 넘겨받아 운영중이며, 그외에도 순찰정을 독일에서 주문하여 운영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defenceweb.co.za/GNS_Garinga_400x300.jpg

위 (미싱링크)이미지는 Snake급 코르벳 함정. 2012년까지 중국에서 Type 037 대잠고속정 4척을 주문하여 Snake급 코르벳 함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4. 공군[편집]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가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가나군 (1957~현재)
Ghana Armed Forces
회전익기다목적 헬기SA-319BR, Mi-2R, 벨 212R, Z-9, Mi-17/171, 벨 412SP
공격헬기Mi-35
경공격기EMB 314 슈퍼 투카노
정찰기DA42M
수송기포커 F27R, 포커 F28-3000R, 세스나 172R, C-295
훈련기L-39ZOR, MB-326F/KD(G)R, MB-339AR, K-8, {L-39NG}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Ghanaian_air_force_special_forces_team.jpg

창설직후 특이하게 이스라엘 공군의 자문을 받은 적이 있다. 여타 아프리카 국가들의 공군답게 전력자체는 빈약하긴 하다. 총 3개의 비행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 전력도 주로 수송기 위주의 비행기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투기 전력은 없다.

예전에 샘 오취리가 가나에는 비행기가 없는데 낙하산 300여개를 구매하여 황당했다는 내용이 방송되어 인터넷에서도 짤방이 되는 등 화제가된 적 있으나, 사실이 아니며 가나에는 공수작전이 가능한 수송기가 소수나마 있다.

가나군의 항공기는

DA42 정찰기 2대
C-295 수송기 2대
F27 수송기 1대
K-8(JL-8) 경공격기/훈련기 4대
Mi-17 수송헬기 6~7대
Bell 412 다목적헬기 1대
A109 다목적헬기 2대
Z-9 다목적헬기 4대 추정.

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22:31:54에 나무위키 가나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도 북한중국 그리고 러시아와의 군사교류가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