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이 오비슨

덤프버전 :

로이 오비슨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로이 오비슨
ROY ORBISON
헌액 부문공연자 (Performers)
멤버(개인자격)
입성 연도1987년
후보자격 연도1986년
후보선정 연도1986년, 1987년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b69858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엘비스 프레슬리롤링 스톤스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제임스 브라운리틀 리처드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08년)
[ 펼치기 · 접기 ]

{{{-2 {{{#000,#ddd ※ 롤링 스톤이 2008년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15년 후 2023년 새해를 맞아 위대한 가수 리스트를 리뉴얼했다.
영미권에서 가수(Singer)는 보컬리스트를 뜻한다.}}} }}}
1위2위3위4위5위
아레사 프랭클린레이 찰스엘비스 프레슬리샘 쿡존 레논
6위7위8위9위10위
마빈 게이밥 딜런오티스 레딩스티비 원더제임스 브라운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펼치기 · 접기 ]

※2016년 영화/음악/TV를 주제로 다루는 컨시퀀스 잡지 스태프들이 '가장 위대한 가수 Top 100'을 선정했다.
1위2위3위4위5위
마이클 잭슨빌리 홀리데이프레디 머큐리아레사 프랭클린제임스 브라운
6위7위8위9위10위
휘트니 휴스턴로이 오비슨에이미 와인하우스로버트 플랜트비요크
1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보기: 사운드트랙, 힙합, 이모




[ 1위 – 60위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스티비 원더마이클 잭슨폴 매카트니
6위7위8위9위10위
어셔프린스로드 스튜어트드레이크마빈 게이
11위12위13위14위15위
필 콜린스빌리 조엘라이오넬 리치브루노 마스닐 다이아몬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케니 로저스브라이언 아담스조지 마이클바비 빈튼존 멜렌캠프
21위22위23위24위25위
처비 체커레이 찰스크리스 브라운리키 넬슨저스틴 팀버레이크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 앵카배리 매닐로넬리바비 다린R. 켈리
31위32위33위34위35위
제임스 브라운에미넴리처드 막스카니예 웨스트JAY-Z
36위37위38위39위40위
밥 시거닐 세다카저스틴 비버브루스 스프링스틴존 덴버
41위42위43위44위45위
50 센트플로 라이다앤디 깁로이 오비슨디온
46위47위48위49위50위
빌리 오션토미 제임스존 레논브룩 벤턴마이클 볼튼
51위52위53위54위55위
릴 웨인바비 브라운에드 시런루다크리스에릭 클랩튼
56위57위58위59위60위
쟈니 리버스글렌 캠벨릭 스프링필드T.I.더 위켄드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싱글, 여성(싱글)}}}




||
[ 펼치기 · 접기 ]

이름로이 오비슨
ROY ORBISON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2010년 1월 29일
위치1750 N. Vine Street





로이 오비슨
Roy Orbison
파일:Roy Orbison.jpg
본명로이 켈튼 오비슨
Roy Kelton Orbison
출생1936년 4월 23일
미국 텍사스 주 버논
사망1988년 12월 6일 (향년 52세)
미국 테네시 주 헨더슨빌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음악가
장르, , 컨트리, 로커빌리(초창기), 로큰롤
악기보컬, 기타, 하모니카
활동1953년 ~ 1988년
신장180cm
배우자클로데트 프레디 (1957~64년, 1965~66년)
바바라 오비슨 (1969년 ~ 1988년)
자녀로이 오비슨 주니어
웨슬리 오비슨
알렉스 오비슨
로이 드웨인 오비슨
안소니 킹 오비슨
종교기독교[1]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대표곡



1. 개요[편집]


파일:gettyimages-84887887-copy.jpg

미국가수. 로큰롤을 기반으로 한 음악 활동을 하였는데 일반적인 록과는 구별되는 서정적인 곡과 특유의 독보적인 목소리로 큰 인기를 끌었다. 그를 대표하는 별명은 'The Caruso of Rock'[2], 'The Big O'이다.


2. 생애[편집]


미국 텍사스 주에서 태어난 로이 오비슨은 고등학교 밴드에서 로커빌리와 컨트리 앤 웨스턴을 즐겨 불렀다. 1956년 선 레코드의 샘 필립스와 계약을 맺었으나, 대대적인 성공 가도는 1960년 초 모뉴먼트 레코드와 활동하면서 시작되었다. 1950년대1960년대 남성 로큰롤 가수들은 대부분 저항적인 남성성을 표출하였으나, 그와 달리 오비슨은 많은 곡에서 조용함, 자포자기함, 취약함을 전달했다. 그의 목소리는 바리톤에서 테너까지의 음역대를 지니고 있으며, 음악학자는 그가 3 혹은 4옥타브의 음역을 지니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연자로서 그는 격렬히 움직이기보다는 가만히 서서 노래했으며, 자신의 흑발과 짙은 선글라스와 어울리는 검은 복장은 개성과 더불어 미스터리한 속성을 부여했다.

잘나가던 인생에서 연이은 불행이 찾아오는데, 1966년에는 그의 첫번째 아내가 교통사고로 즉사했으며, 1968년에는 영국에서 투어도중 그의 집이 불타 두 아들이 죽었다는 비보를 듣게된다. 연이은 음반들의 상업적 실패와 어우러져 긴 암흑기를 보내게 된다. 8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금씩 재기의 발판이 마련되었고, 1988년엔 조지 해리슨 [3], 밥 딜런, 톰 페티, 제프 린과 슈퍼 밴드 트래블링 윌버리스를 공동 결성했다. 같은 해 마지막 솔로 음반이 된 《Mystery Girl》을[4] 녹음하고 얼마 있지 않은 12월에 갑작스런 심장마비로 타계했다. 향년 52세. 이미 그는 70년대 말에 오랜 흡연으로 인한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받는등 건강이 좋지 않았다. 앨범준비와 뮤직비디오 촬영, 프로모션 투어 등으로 지나치게 과로한 것이 죽음의 원인이었다. 오랜 고난에서 벗어나 이제 좀 다시 빛을 보려고 하니 죽은것. Mystery Girl이나 싱글인 You Got It이나 그가 죽은 뒤인 89년 1월에 발매되었다. 즉, 그는 이 앨범의 성공을 보지 못했다.

그의 노래 스타일은 독특하고 열정적인 보컬과 복잡한 곡 구조가 가미된 어두운 감성의 발라드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조합은 많은 평론가가 그의 음악을 가극 조로 표현하며 그를 "록계의 카루소" 또는 "더 빅 오(the Big O)"로 별칭 하게 하였다. 1960년과 1964년 사이 《빌보드 핫 100》 톱 40에 그의 22곡이 진입했으며 그중 〈Only the Lonely〉 (1960), 〈Crying〉 (1961), 〈In Dreams〉 (1963), 〈Oh, Pretty Woman〉 (1964)이 있다.

2022년 5월 22일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 방영됐다.


3. 대표곡[편집]


대표곡이라 할 수 있는〈Oh, Pretty Woman〉. 이 노래는 영화〈귀여운 여인〉의 OST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록 밴드 밴 헤일런이 하드 록 스타일로 커버하기도 했다.

이 외 데이빗 린치 블루 벨벳 사운드트랙으로 쓰인 In Dreams도 유명하다. 처음엔 쓰인 장면이 괴상해서 그리 협조적이진 않았지만, 컬트 영화로 인기를 얻는 동안 생각이 바뀌었고 1987년 재녹음 싱글 발매 당시 데이빗 린치에게 뮤직비디오 감독을 맡기기도 했다.

  • Ooby Dooby (1956)
  • Up Town (1959)
  • Only the Lonely (Know the Way I Feel) (1960)
  • Running Scared (1961)
  • Crying (1961)
  • Dream Baby (How Long Must I Dream) (1962)
  • In Dreams (1963)[5]
  • Mean Woman Blues (1963)
  • It's Over (1964)
  • Oh, Pretty Woman (1964)
  • You Got It (1989)



[1] Jim Sullivan, "Roy Orbison: 'My voice is a gift'", 「더 가디언」, 2013.12.4.[2] 락 음악계의 카루소[3] 오비슨은 비틀즈랑 같이 투어한 적이 있다. 당시 오비슨은 비틀매니아의 열기와 광고 세례에 압도된 상태라 다소 어색하고 주눅든 상태로 무대에 올랐는데, In Dreams 라이브가 워낙 대박이 터져서 나중엔 존과 폴이 재입장을 제지해야 할 정도였다고.[4] 이 앨범에서 나온 곡이 빌보드 핫 100에서 9위를 기록한 You Got It[5] 한국 영화 젊은 남자에서 중요한 OST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