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버트 F. 케네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아들이자 2024년 미국 대선 후보에 대한 내용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문서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번 문단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에드먼드 제닝스 랜돌프 윌리엄 브래드포드찰스 리레비 링컨 시니어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존 브레킨리지시저 어거스트 로드니윌리엄 핑크니리처드 러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윌리엄 워트존 M. 베리엔로저 토니벤자민 프랭클린 버틀러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펠릭스 그런디헨리 D. 길핀존 J. 크리텐던휴 S. 레가르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넬슨존 A. 메이슨네이던 클리포드아이작 투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리버디 존슨존 J. 크리텐던 케일럽 쿠싱제레미아 S. 블랙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에드윈 스탠튼에드워드 베이츠제임스 스피드헨리 스텐베리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윌리엄 M. 에버츠 에버니저 R. 호어 아모스 T. 아커만조지 헨리 윌리엄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에드워즈 피에르폰트알폰소 태프트찰스 데번스웨인 맥베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벤자민 H. 브레스터어거스트 갈랜드윌리엄 H. H. 밀러리처드 올니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저드슨 허몬조셉 맥케나존 W. 그릭스필랜더 C. 녹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윌리엄 헨리 무디찰스 보나파르트조지 W. 위커샴제임스 C. 맥레이놀즈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토마스 와트 그레고리A. 미첼 팔머해리 M. 도허티할런 F. 스톤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존 G. 서전트윌리엄 D. 미첼호머 스틸 커밍스프랭크 머피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로버트 H. 잭슨프랜시스 비들톰 C. 클라크J. 하워드 맥그래스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제임스 P. 맥그래너리허버트 브로넬 주니어윌리엄 P. 로저스로버트 F. 케네디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니콜라스 카젠바흐램지 클라크존 N. 미첼리처드 클라인딘스트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엘리엇 리처드슨윌리엄 B. 색스비에드워드 H. 레비그리핀 벨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벤자민 시빌레티윌리엄 프렌치 스미스에드윈 미스딕 손버그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윌리엄 바자넷 레노존 애쉬크로프트알베르토 곤잘레스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미셸 무케이지에릭 홀더로레타 린치제프 세션스
85대(직무대행)제86대제87대
매튜 휘태커윌리엄 바메릭 갈랜드




로버트 F. 케네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1777년1779년1781년
조지 워싱턴소장 호레이쇼 게이츠소장 앤서니 웨인사령관 헨리 리 3세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1787년1800년1805년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존 폴 존스대령 토머스 트럭스턴준장 에드워드 프레블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1814년, 1848년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소장 제이컵 브라운소장 윈필드 스콧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1815년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소장 알렉산더 마콤소장 앤드루 잭슨대령 찰스 스튜어트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1835년1846년, 1847년, 1848년1847년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소장 재커리 테일러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1863년1864년1866년1867년
프레더릭 로즈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코닐리어스 밴더빌트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1871년1873년1874년, 1904년1883년
조지 피보디조지 F. 로빈슨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존 혼 주니어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1890년1900년1902년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중위 프랭크 H. 뉴컴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1914년1915년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폴 H. 크라이봄 그 외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1929년1930년1936년
토머스 에디슨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소령 월터 리드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링컨 엘즈워스
1936년1938년1939년1940년
조지 코한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목사 프랜시스 퀸윌리엄 시넛
1942년1945년1946년
롤런드 바우처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준장 빌리 미첼
1949년1954년1955년1956년1958년
앨번 W. 바클리어빙 벌린조너스 소크 박사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1960년1961년1962년
로버트 고다드로버트 프로스트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밥 호프샘 레이번
1962년1968년1969년1973년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월트 디즈니윈스턴 처칠로베르토 클레멘테매리언 앤더슨
1978년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로버트 F. 케네디존 웨인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1980년1982년
미국 적십자케네스 테일러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베아트릭스 여왕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1983년
프레드 워링조 루이스루이스 라머레오 라이언대니 토머스
1984년1985년
해리 S. 트루먼레이디 버드 존슨엘리 비젤로이 윌킨스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1987년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에런 코플런드메리 래스커제시 오언스
1988년1990년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로런스 록펠러대장 매튜 B. 리지웨이대장 노먼 슈워츠코프대장 콜린 파월
1994년1996년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마더 테레사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리틀록 9인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찰스 M. 슐츠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2003년
대장 휴 셸턴토니 블레어재키 로빈슨도러시 하이트 박사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달라이 라마 14세바이런 넬슨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아웅 산 수 치콘스탄티노 브루미디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무함마드 유누스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2012년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라울 발렌베리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미국의 공군 에이스들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시몬 페레스모뉴먼츠 맨
2014년2015년2016년
제65 보병연대잭 니클라우스셀마 몽고메리 행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OSS
2017년2018년
밥 돌래리 도비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캐서린 존슨크리스틴 다든도로시 본메리 잭슨
2019년2020년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그렉 르몬드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제369 보병연대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파일:미국 상원 문장.svg 미국 연방 상원의원 (뉴욕주 클래스 1)
제86-88대
케네스 키팅
제89-90대
로버트 F. 케네디
제90-91대
찰스 구델[1]

[1] 전임자 로버트 F. 케네디 사망으로 넬슨 록펠러 뉴욕주지사가 대체 상원의원으로 임명.

미합중국 제89-90대 연방 상원의원
미합중국 제64대 법무장관
로버트 프랜시스 케네디
Robert Francis Kennedy
파일:robert f kennedy.jpg
출생1925년 11월 20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브루클라인
사망1968년 6월 6일 (향년 42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재임기간제64대 법무장관
1961년 1월 21일 ~ 1964년 9월 3일
서명
파일:로버트 케네디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조셉 P. 케네디 (1888~1969)
어머니 로즈 피츠제럴드 케네디 (1890~1995)
배우자에델 케네디 (1950년 결혼)[1]
형제자매형 조셉 케네디 주니어 (1915~1944)
존 F. 케네디 (1917~1963)[2]
동생 테드 케네디 (1932~2009)[3]
[ 그 외 형제자매 | 펼치기 · 접기 ]
누나 로즈마리 케네디 (1918~2005)
누나 캐슬린 케네디 (1920~1948)
누나 유니스 케네디 (1921~2009)
누나 패트리샤 케네디 (1924~2006)
여동생 진 케네디 (1928~2020)
자녀슬하 7남 4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캐슬린 케네디 타운젠드 (1951~)[1]
장남 조 케네디 2세 (1952~)[2]
차남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1954~)[3]
삼남 데이비드 케네디 (1955~1984)
차녀 메리 코트니 케네디 (1956~)
사남 마이클 케네디 (1958~1997)
삼녀 메리 케리 케네디 (1959~)
오남 크리스 케네디 (1963~)[4]
육남 매튜 맥스 케네디 (1965~)
칠남 더글러스 케네디 (1967~)
사녀 로리 케네디 (1968~)
[1] 매릴랜드 부지사 (1995~2003), 2002년 매릴랜드 주지사 선거 후보자[2] 미국 연방 하원의원 (1987~1999)[3] 반백신 운동가, 2024년 미국 대선 후보자[4] 2018년 일리노이 주지사 선거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자
그 외 가족조카 존 F. 케네디 주니어 (1960~1999)
손자 조 케네디 3세 (1980~)[4]
매부 사전트 슈라이버 (1915~2011)[5]
가문케네디 가문
학력하버드 대학교 (정치학 / A.B.)
버지니아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 / LL.B.)
신체175cm, O형
의원 선수1 (상원)
의원 대수89, 90[6]
지역구뉴욕주 클래스 1 (상원)
소속 정당

약칭RFK
별명바비 케네디 (Bobby Kennedy)
카멜롯 (Camelot)[7]
군사 경력
복무미합중국 해군
1944년 ~ 1946년
병과갑판병
최종 계급이등병 (Seaman apprentice)
참전제2차 세계대전

[1] 혼전 성은 에델 스케이컬로, 2023년 현재까지 장수하고 있다.[2] 미국 연방 상원의원 (1953~1961), 제35대 미국 대통령[3] 미국 연방 상원의원 (1961~2009), 1980년 미국 대선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자[4] 미국 연방 하원의원 (2013~2021), 2018년 매사추세츠 연방 상원의원 선거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자, 주아일랜드 미국 대사 (2022~)[5] 주프랑스 미국대사 (1968~1970), 1972년 미국 부통령 선거 후보[6] 제90대 의회 임기 도중 암살[7] 로버트 케네디 뿐 아니라 케네디 가문 전체를 지칭할 때도 종종 사용되는 표현이다.

파일:바비 케네디 공식 초상화.jpg
미국 법무부 공식 초상화
1. 개요
2. 경력
4. 평가
4.1. 베트남 전쟁에 대한 관점
5. 음모론
5.3. 암살 음모론
6. 1968년 대선에서 이길 수 있었을까?
7. 여담
8. 가족관계
9. 선거 이력
10. 소속 정당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JFK RFK EMK.jpg
형제들과 함께[1]
미국의 정치인. 미국의 제35대 대통령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동생이자 제64대 법무장관을 지낸 인물이다.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예비 선거에 참여하였다가 암살당한 것으로 잘 알려져있다.

1968년 대선에 나갔다면 당선되었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고, 이것이 과장된 신화라는 반박도 있지만 여러모로 1960년대 그 자체를 상징하는 정치가 중 하나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2] 오늘날에도 마릴린 먼로와의 스캔들, 지미 호파, 마피아와의 특이한 관계, 고대 그리스 영웅의 비극을 연상케 하는 극적인 인생 등으로 잘 기억되고 있는 인물이다.


2. 경력[편집]


  • 1952.12. 미국 상원 상설수사소위원회(위원장 조지프 매카시) 보좌관
  • 1956. 애들레이 E. 스티븐슨 대통령 선거 후보 보좌관
  • 1957. 미국 상원 노사부당선별위원회(위원장 존 매클레런) 보좌관
  • 1961.01. 제64대 미국 법무장관[3]
  • 1965.01. 미국 연방 상원의원 (뉴욕주 / 제89, 90대 의회)[4]
  • 1968.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예비선거 후보

3. 생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로버트 F. 케네디/생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25년 매사추세츠의 부유층 거주지에서 케네디 가문의 3남으로 태어났다. 1953년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이끄는 상원조사위원회의 보좌관이 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상원 노사관계부정위원회의 보좌관 겸 의사진행자로 활약하며 지미 호파를 비롯한 거대 노동조합 간부들의 비리와 마피아 유착 관계를 공격하며 유명세를 얻었다. 1961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밑에서 법무장관을 지내며 마피아와 노조의 비리를 척결하고 흑인 민권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이후 린든 B. 존슨 대통령과의 좋지 않은 관계 때문에 법무장관 직에서 사퇴하고 뉴욕주의 상원의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차기 대권주자로 분류되었다.

3.1. 대선 출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로버트 F. 케네디/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68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이 베트남 전쟁 여론 악화로 3선 불출마를 선언하자 1968년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고 예비선거에 출마했다. 로버트 케네디는 베트남 반전좌파 진영을 대표한 유진 매카시, 민주당 기득권 세력의 지지를 받은 휴버트 험프리에 맞서 유색인종과 도시 빈민층의 지지를 얻으며 출마했다. 그는 1968년 혁명으로 미국의 인종, 세대, 정치가 분열되어있음을 지적하며 자신이 당선되면 미국의 국론을 통합하겠다는 낙관주의 캠페인을 벌였다. 캘리포니아 프라이머리에서 승리한 직후 암살되었기 때문에 그가 1968년 대선에 출마했다면 이길 수 있었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다만 최근에는 로버트 케네디가 무조건적으로 1968년 대선에서 유리한 상황에 있지만은 않았다는 후속 정황이 계속 드러남에 따라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선 출마를 번복한 것은 당대 유진 매카시 지지자와 현대의 일부 극좌 내지 보수성향 역사가들에게 상당히 기회주의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8년 대선에서 진정으로 분열을 치유할 수 있는 사람은 로버트 케네디라고 여겨졌던 것이 사실이고, 암살은 그런 로버트 케네디의 숭고한 메시지가 신화가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3.2. 급작스러운 죽음[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68년 6월 4일 밤 캘리포니아 예비선거 승리를 확인한 로버트 케네디는 자정이 지난 직후 LA 앰배서더 호텔에서 지지자들을 격려하는 연설을 하고 호텔을 빠져나오던 도중, 팔레스타인 이민자 시르한 시르한에게 총격을 당했다. 사유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관계에서 이스라엘의 편을 들었다는 것. 시르한 시르한은 어릴 적 제1차 중동전쟁으로 가족과 집을 잃고 미국으로 이주한 난민으로 이스라엘을 극도로 증오하던 인물이었으며, 프로파일러들의 분석에 의하면 편집증 증세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총상을 입은 로버트 케네디는 즉각 위중 상태에 빠졌으며,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약 3시간 40분에 걸친 대수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회복하지 못하고 총격 26시간 후인 6월 6일 새벽 1시 44분 숨을 거두었다. 향년 42세.

4. 평가[편집]



4.1. 베트남 전쟁에 대한 관점[편집]



5. 음모론[편집]



5.1. 쿠바[편집]



5.2. 마릴린 먼로[편집]



5.3. 암살 음모론[편집]



6. 1968년 대선에서 이길 수 있었을까?[편집]



7. 여담[편집]


  • 스티븐 컬프[5]가 마릴린 먼로의 삶을 다룬 〈노마진과 마릴린〉(1996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배경으로 한 〈D-13〉(2001년)에서 두 차례 로버트 케네디 역으로 출연했다. 실제 나이에 비해 엄청난 동안외모를 가진 배우로 2000년, 영화 〈D-13〉을 찍을 당시 나이가 45세로 1968년에 42세로 죽은 로버트 케네디보다도 나이가 더 많았다. 심지어 같은 영화에서 JFK 역할을 한 배우 브루스 그린우드보다도 1살 나이가 많다. 실제 로버트 케네디와 형 JFK는 8살 차이였다.
파일:external/steven-culp.com/steven-culp-thirteen-days-still-01.jpg
  • 미국 TV 미니시리즈 〈케네디가( 家)〉(Kennedys. 2011년)에서는 배리 페퍼[6]가 로버트 역으로 출연했다. 화려하지만 스캔들, 잔병 치레에 시달리는 형과는 대조적으로 가정적이고 사생활도 깨끗하며, 나이와 경력으로 자신보다 한참 위인 FBI 국장 에드가 후버를 상대로도 주눅들지 않는 바람직한 정치인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형의 피살 후 형수인 재클린을 각별히 배려하는 모습도 나온다.[7]
파일:external/cache.reelz.com/78157.jpg
  • 올리버 스톤 감독의 1995년 영화 〈닉슨〉에서는 로버트 F. 케니디의 암살이 노골적으로 밥 호스킨스가 분한 존 에드거 후버의 음모로 묘사된다. 존 에드거 후버를 만난 리처드 닉슨이 로버트 F. 케네디가 있는 한 대통령 당선이 어렵다고 말하자 이에 후버는 "그럼 그 사람이 출마를 안 하면 되겠군요."이라고 말하고 이에 닉슨은 "그 사람이 왜 출마를 안 하겠소?"라면서 손사레를 치지만 결국...
  • 저메키스 감독의 〈포레스트 검프〉에서도 존 F. 케네디 암살과 함께 간단히 언급된다. "형제는 힘든가봐요."
  • 2006년 부시 집권기에 그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 〈바비〉가 개봉되었다. 에밀리오 에스테베즈가 감독을 맡았으며, 부시에 질려있던 많은 할리우드 스타들이 영화에 대거 출연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 2011년작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 〈J. 에드가〉에서도 등장한다. 자기보다 30살이나 더 많은 부하 FBI 국장 존 에드가 후버(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분)와 마주앉아 신경전을 벌인다.
  • 2019년작 마틴 스콜세지 감독 영화 〈아이리시맨〉에서 등장한다. 잭 휴스턴이 맡아 지미 호파(알 파치노 분)를 청문회에서 조사하는 역할로 연기했다.[8][9]
  • 〈워해머 40,000〉에서는 이오지마 전투당시 납치당해 카발의 일원이 된 데이먼 프라티니스라는 인물이 암살한 것으로 나온다.
  • 넷플릭스에서 케네디 대선 캠프 때부터 사망하기까지의 일생을 담은 4부작 다큐시리즈 <로버트, 우리가 사랑한 케네디>를 제작했다. 대체로 유익하다는 평.
  • The New Order: Last Days of Europe에서는 1964년 대통령 후보로 나온다. 진보적인 아젠다를 내세우면서 강력한 민권법, 사회보장제도와 국영의료법 제정 등을 추진한다. 하지만 민권법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분노 지수를 잘 조절하지 못하면 암살당하며 스트롬 서먼드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10]
  • 트라이얼 오브 더 시카고 7에서 로버트 케네디 암살 이후의 민주당 경선과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암살 직후의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영화.
  • 정계 유력인사들의 파티에 자주 초대 받았던 배우 리처드 버튼에 의하면 언론 담당이었던 피어 샐린저(Pierre Salinger)가 연 파티에서 20세기 최고의 발레리나 중 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마고 폰테인(Margot Fonteyn)을 침실로 헐레벌떡 데려가 급히 관계를 맺고 나왔다고 한다.

8. 가족관계[편집]


슬하에 7남 4녀를 두었다. 케네디가(家)중에서도 자식이 가장 많았던 걸로도 유명하다. 형제자매들중에서 자녀수로나 아들수로나 독보적으로 가장 많이 낳았다. 현재 남아있는 대부분의 케네디가(家)의 인물들은 절반 이상이 이 사람의 후손일 정도.[11] 의친왕 제롬 보나파르트[12] 그 중 막내 딸은 생년월일에도 나오듯이, 부친이 암살 당한 후에 태어난 유복녀다.

3남이름로버트 프랜시스 케네디 (Robert Francis Kennedy)
1925년 11월 20일 ~ 1968년 6월 6일
결혼이름에델 스카켈 케네디 (Ethel Skakel Kennedy)
1928년 4월 11일 ~ 현재
결혼1950년 6월 17일
자녀1녀이름캐슬린 하팅턴 케네디 타운센드 (Kathleen Hartington Kennedy Townsend)
1951년 7월 4일 ~ 현재
남편데이빗 리 타운센드 (David Lee Townsend)
1947년 ~ 현재
자녀1녀이름메건 앤 케네디 타운센드 (Meghan Anne Kennedy Townsend)
1977년 11월 7일 ~ 현재
슬하 2남 1녀
2녀이름매브 파헤이 케네디 타운센드 (Maeve Fahey Kennedy Townsend)
1979년 11월 1일 ~ 2020년 4월 2일
슬하 1남 1녀[13]
3녀이름로즈 캐서린 케네디 타운센드 (Rose Katherine Kennedy Townsend)
1983년 12월 17일 ~ 현재
4녀이름케리 소피아 케네디 타운센드 (Kerry Sophia Kennedy Townsend)
1991년 11월 30일 ~ 현재
1남이름조셉 패트릭 케네디 2세 (Joseph Patrick Kennedy II)
1952년 9월 24일 ~ 현재
전처셰일라 브루스터 라우치 (Shelia Brewster Rauch)
1949년 3월 22일 ~ 현재
자녀1남이름조셉 패트릭 케네디 3세 (Joseph Patrick Kennedy III)
1980년 10월 4일 ~ 현재
슬하 1남 1녀
2남이름매튜 라우치 케네디 (Matthew Rauch Kennedy)
1980년 10월 4일 ~ 현재
슬하 2녀
아내앤 엘리자베스 켈리 (Anne Elizabeth Kelly)
1957년 4월 3일 ~ 현재
2남이름로버트 프랜시스 케네디 주니어 (Robert Francis Kennedy Jr.)
1954년 1월 17일 ~ 현재
전처에밀리 루스 블랙 (Emily Ruth Black)
1957년 10월 15일 ~ 현재
자녀1남이름로버트 프랜시스 케네디 3세 (Robert Francis Kennedy III)
1984년 9월 2일 ~ 현재
1녀이름캐슬린 알렉산드라 케네디 (Kathleen Alexandra Kennedy)
1988년 4월 13일 ~ 현재
아내메리 캐슬린 리차드슨 (Mary Kathleen Richardson)
1959년 10월 4일 ~ 2012년 5월 16일
자녀2남이름존 코너 리차드슨 케네디 (John Conor Richardson Kennedy)
1994년 7월 24일 ~ 현재
2녀이름키라 레모인 케네디 (Kyra LeMoyne Kennedy)
1995년 ~ 현재
3남이름윌리엄 핀바 케네디 (William Finbar Kennedy)
1997년 ~ 현재
4남이름에이든 카오맨 비에케스 케네디 (Aidan Caohman Vieques Kennedy)
2001년 ~ 현재
아내셰릴 루스 하인스 (Cheryl Ruth Hines)
1965년 9월 21일 ~ 현재
3남이름데이빗 앤서니 케네디 (David Anthony Kennedy)
1955년 6월 15일 ~ 1984년 4월 25일
2녀이름메리 코트니 케네디-힐 (Mary Courtney Kennedy-Hill)
1956년 9월 9일 ~ 현재
전남편제프리 로버트 루헤 (Jeffery Robert Ruhe)
1952년 ~ 현재
전남편폴 마이클 힐 (Paul Michael Hill)
1954년 8월 13일 ~ 현재
자녀1녀이름시얼샤 로이진 힐 (Saoirse Roisin Hill)
1997년 5월 22일 ~ 2019년 8월 1일
4남이름마이클 레모인 케네디 (Michael LeMoyne Kennedy)
1958년 2월 27일 ~ 1997년 12월 31일
아내빅토리아 데니스 기포드 (Victoria Denise Gifford)
자녀1남이름마이클 레모인 케네디 주니어 (Michael LeMoyne Kennedy Jr.)
1983년 1월 9일 ~ 현재
슬하 2남 1녀
1녀이름카일 프랜시스 케네디 (Kyle Francis Kennedy)
1984년 7월 6일 ~ 현재
슬하 2남
2녀이름로리 기포드 케네디 (Rory Gifford Kennedy)
1987년 11월 14일 ~ 현재
슬하 1남
3녀이름메리 케리 케네디 (Mary Kerry Kennedy)
1959년 9월 8일 ~ 현재
전남편앤드루 쿠오모[14] (Andrew Mark Cuomo)
1957년 12월 6일 ~ 현재
자녀1녀이름카라 에델 케네디-쿠오모 (Kara Ethel Kennedy-Cuomo)
1995년 1월 11일 ~ 현재
2녀이름머라이어 마틸다 케네디-쿠오모 (Mariah Matilda Kennedy-Cuomo)
1995년 1월 11일 ~ 현재
3녀이름미카엘라 안드레아 케네디-쿠오모 (Michaela Andrea Kennedy-Cuomo)
1997년 8월 26일 ~ 현재
5남이름크리스트퍼 조지 케네디 (Christopher George Kennedy)
1963년 7월 4일 ~ 현재
아내셰일라 싱클리어-버너 (Sheila Sinclair-Berner)
1962년 12월 4일 ~ 현재
자녀1녀이름캐서린 버너 케네디 (Katherine Berner Kennedy)
1990년 ~ 현재
1남이름크리스토퍼 조지 케네디 주니어 (Christopher George Kennedy Jr.)
1992년 ~ 현재
2녀이름사라 루이즈 케네디 (Sara Louise Kennedy)
1994년 ~ 현재
3녀이름클레어 로즈 케네디 (Clare Rose Kennedy)
1998년 ~ 현재
6남이름매튜 맥스웰 테일러 케네디 (Matthew Maxwell Taylor Kennedy)
1965년 1월 11일 ~ 현재
아내빅토리아 앤 스트라우스 (Victoria Anne Strauss)
1964년 2월 10일 ~ 현재
자녀1남이름매튜 맥스웰 테일러 케네디 주니어 (Matthew Maxwell Taylor Kennedy Jr.)
1993년 9월 18일 ~ 현재
1녀이름캐롤라인 섬머 로즈 케네디 (Caroline Summer Rose Kennedy)
1994년 12월 29일 ~ 현재
2녀이름노아 이사벨라 로즈 케네디 (Noah Isabella Rose Kennedy)
1998년 7월 9일 ~ 현재
7남이름더글라스 해리먼 케네디 (Douglas Harriman Kennedy)
1967년 3월 24일 ~ 현재
아내몰리 엘리자베스 스타크 (Molly Elizabeth Stark)
자녀1녀이름라일리 엘리자베스 케네디 (Riley Elizabeth Kennedy)
1998년 8월 ~ 현재
2녀이름메리 맥콜리 케네디 (Mary McCauley Kennedy)
2001년 8월 ~ 현재
3녀이름로웬 프랜시스 케네디 (Rowen Frances Kennedy)
2004년 2월 ~ 현재
1남이름조지 스카켈 케네디 (George Skakel Kennedy)
2007년 4월 ~ 현재
2남이름다니엘 보루 케네디 (Daniel Boru Kennedy)
2012년 1월 ~ 현재
4녀이름로리 엘리자베스 캐서린 케네디 (Rory Elizabeth Katherine Kennedy)
1968년 12월 12일 ~ 현재
남편마크 다니엘 베일리 (Mark Daniel Bailey)
1968년 11월 25일 ~ 현재
자녀1녀이름조지아 엘리자베스 케네디-베일리 (Georgia Elizabeth Kennedy-Bailey)
2002년 ~ 현재
2녀이름브리짓 캐서린 케네디-베일리 (Bridgit Katherine Kennedy-Bailey)
2004년 ~ 현재
1남이름제커리 코클랜드 케네디-베일리 (Zachary Corkland Kennedy-Bailey)
2007년 ~ 현재


9.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4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뉴욕

3,823,749 (53.47%)당선 (1위)초선


10.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52 - 1968정계 입문
사망


11.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일생생애 (1968년 미국 대선 · 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
가족아버지 조셉 패트릭 케네디 · 배우자 에델 케네디 · 장남 조 케네디 2세 · 차남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 남동생 존 F. 케네디 · 테드 케네디 · 손자 조 케네디 3세 · 조카 존 F. 케네디 주니어
역대 선거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민주당 예비선거)
관련 인물존 F. 케네디 · 마릴린 먼로 · 지미 호파 · 마틴 루터 킹 · 조지프 매카시 · 존 에드거 후버 · 린든 B. 존슨 · 테드 케네디 · 랄프 야버러 · 조지 맥거번 · 에이브 리비코프 · 밴스 하트케 · 케네스 오도넬 · 아서 슐레진저 · 니콜라스 카젠바흐 · 아치볼드 콕스 · 샘 지앙카나 · 카를로스 마르셀로 · 휴버트 험프리 · 유진 매카시
사건사고로버트 F. 케네디 암살 사건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파일:존F케네디-투명.svg존 F. 케네디
관련 문서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0:02:56에 나무위키 로버트 F. 케네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운데가 로버트 케네디, 왼쪽은 존 F. 케네디, 오른쪽은 테드 케네디이다. 테드 케네디의 자서전인 "케네디가의 형제들"의 표지 사진으로도 쓰였다.[2] 1990년대에 "196~70년대의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 여론조사에서 로버트 케네디 암살 사건은 닐 암스트롱의 달 착륙, 존 F. 케네디의 장례식 다음인 3위로 기록되었다.[3] ~1964.09. (상원의원 출마를 위해 사직)[4] ~1968.06. (암살)[5] 위기의 주부들 시즌 1에서 브리 반 드 캠프의 남편, 웨스트 윙에서 미국 하원의장 등으로 출연한 바 있다.[6] 전쟁 영화 〈위 워 솔저스〉에서 종군기자 조 갤로웨이로 출연했다. 그보다도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다니엘 잭슨 이병 역으로 나왔었다. 본 작품으로 2011년 에미상 미니시리즈 부문 남우주연상을 받았다.[7] 극중에서 재클린 역으로는 과거 탐 크루즈의 부인이었던 케이티 홈즈가 출연했다.[8] 로버트가 1953년 조셉 매카시의 법률 고문으로 재직했던 시기에 실제로 있었던 사건이다. 매카시즘에 대해 안다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로버트의 이후 정치 행보와는 다수 상반되는 경력이라 이 경력 때문에 진보 성향의 일부 청년층은 그를 다소 불신하기도 했다.[9]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로버트, 우리가 사랑한 케네디'에서는 로버트가 정치권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계기가 된 사건으로 묘사된다. 이후 뉴욕 상원의원 선거에 출마해 유세 과정에서 컬럼비아 대학교를 방문한 로버트에게 한 대학생이 이와 관련된 질문을 하자 '의견 차이로 인해 6개월 만에 그만뒀고, 매카시즘에 반대한다'고 해명한다.[10] 스트롬 서먼드는 최악의 대통령 자리를 두고 프랜시스 파커 요키와 경쟁하는 수준이며, 민권법을 폐지한다.[11] 큰 형 조셉은 2차대전 참전 중에 전사하여 후손이 없었고, 작은 형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아들이 후손없이 사망했고, 살아남은 딸 1명만이 후손을 남겼다. 때문에 '케네디'라는 성을 물려준 사람은 본인과 남동생 뿐이다.[12] 두 사람 모두 생전 각자의 가문에서 수장이 되지는 못했으나 이들의 후손이 가문의 수장이 되었다.[13] 2020년 4월 2일 카누 침몰 사고로 막내아들 기디언 맥킨과 함께 사망했다.[14] 전 뉴욕 주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