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cation Breakdown

덤프버전 : (♥ 0)

||



Communication Breakdown
싱글 발매일파일:미국 국기.svg 1969년 3월 10일
싱글 A면Good Times Bad Times
앨범 발매일파일:영국 국기.svg 1969년 3월 22일
수록 앨범
스튜디오올림픽
장르하드 록, 프로토 메탈, 프로토 펑크
작사/작곡지미 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연주자
[ 펼치기 · 접기 ]
리드 보컬
리드 기타, 백킹 보컬
베이스 기타, 백킹 보컬
드럼
프로듀서지미 페이지
러닝 타임2:43
레이블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
[ 싱글 커버 ]

서독 싱글 커버


1. 개요
2. 상세
3. 가사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69년 라이브1970년 라이브
영국의 하드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역사적인 첫 싱글 곡이다.


2. 상세[편집]


이 곡은 음악적 영향력이 어마어마한 레드 제플린 커리어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곡들 중 하나인데, Led Zeppelin IIParanoid가 등장하기 이전에 You Really Got Me, Purple Haze, Sunshine of Your Love, Helter Skelter, Good Times Bad Times와 함께 메탈 음악에 영향을 준 곡으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Good Times Bad Times는 어려운 리프 때문에 라이브에서 공연하지 않았으나, 이 곡은 1968년 북미 투어부터 꾸준히 라이브를 하다가 어려운 보컬[1] 때문인지 활동 중반부터는 라이브에서 공연하지 않았다.[2]

또한 지미 페이지는 이 곡에서 쓰리코드로 기타를 치며 곡을 주도하는데, 이는 펑크 록 기타 주법에 영향을 끼쳤기에 프로토 펑크 록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라몬즈의 기타리스트 '조니 라몬'의 다운피킹 일변도의 연주스타일은 이 곡을 참조한 것이다.[3]

3. 가사[편집]



Communication Breakdown

Hey, girl, stop what you're doing
이봐, 아가씨, 하던 일 멈춰
Hey, girl, you'll drive me to ruin
이봐, 아가씨, 넌 나를 파멸로 몰고 갈 거야
I don't know what it is that I like about you, but I like it a lot
내가 네 어떤 점을 좋아하는 지는 모르겠지만, 난 그게 아주 좋아
Won't you let me hold you, let me feel your loving touch
내가 널 안게 해 줘, 너의 사랑스러운 감촉을 느낄 수 있게 해 줘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t's always the same
늘 마찬가지야
I'm having a nervous breakdown
난 신경 쇠약에 걸렸어
Drive me insane
나를 미치게 해
Hey, babe, I got something I think you ought to know
자기야, 네가 알아야 할 것이 있어
Hey, babe, I wanna tell you that I love you so
자기야, 내가 널 너무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어
I wanna hold you in my arms, yeah
난 널 내 품에 안고 싶어
I'm never gonna let you go, cause I like your charms
난 널 절대로 보내지 않을거야, 왜냐면 네 매력이 좋으니까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t's always the same
늘 마찬가지야
I'm having a nervous breakdown
난 신경 쇠약에 걸렸어
Drive me insane
나를 미치게 해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t's always the same
늘 마찬가지야
I'm having a nervous breakdown
난 신경 쇠약에 걸렸어
Drive me insane Yeah
나를 미치게 해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 want you to love me all night)
(날 밤새 사랑해주길 바래)
(I want you to love me all night)
(날 밤새 사랑해주길 바래)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Whoa, ah, a whoa oh)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 want you to love me)
(나를 사랑해주길 원해)
(I want you to love)
(사랑해 줘)
Communication breakdown
연락 불통
(I want you to love, yeah)
(나를 사랑해주길 원해)
(I want you to love)
(사랑해 줘)

파일:레드 제플린 로고.png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2 18:14:36에 나무위키 Communication Breakdown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최고음이 3옥타브 솔(G5)이며 거의 대부분을 2옥타브 후반에서 3옥타브 초반에서 논다. 그래서 전성기 시절에도 음원과 똑같이 라이브를 했던 적은 없다.[2] 다만 셋리스트에 다시 포함됐던 적도 있는데, 1979년 넵워스 라이브를 예로 들 수 있다.[3] 이 연주스타일은 메탈리카제임스 헷필드를 비롯한 스래시 메탈 기타리스트들이 물려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