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FIFA 월드컵/조 추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




파일:2026 FIFA 월드컵 로고(다크모드).svg
2026 FIFA 월드컵 조 추첨식
FIFA World Cup 26™ Final Draw
일시2025년 미정 ?시
(한국시각: 2025년 미정 ?시)[1]
장소미정
영어장소이름
추첨대상본선에 진출한 총 ?개 팀
[ 연맹별 분류 ]
AFC: ?개 팀[진출확정] + ?개 팀[대륙간PO]
CAF: ?개 팀[진출확정] + ?개 팀[대륙간PO]
CONCACAF: ?개 팀[진출확정H] + ?개 팀[대륙간PO]
CONMEBOL: ?개 팀[진출확정] + ?개 팀[대륙간PO]
OFC: ?개 팀[진출확정] + ?개 팀[대륙간PO]
UEFA: ?개 팀[진출확정]

[진출확정] A B C D E [대륙간PO] A B C D E [진출확정H] 개최국 대표팀 포함 본선 진출 ?개 팀.
추첨방식4개 팀 12개 조 각각 배정
[ 세부 방식 ]
┗ 추첨 당일 기준 최근 FIFA 랭킹 기준으로, 4개 포트에 각 12개 팀씩 배정
┗ '팀 이름 쪽지가 담긴 공'을 고른 후, '조 순번 쪽지가 담긴 공'을 골라 배정[예시1]
┗ 같은 연맹 소속 팀끼리는 조 배정 제한이 있음[예시2]
(UEFA: 최대 2팀, 나머지는 같은 조 배정 불가)

[예시1] 가령 포트3 C조까지 배정된 상황에서, D조 추첨 중 추첨자가 포트3 바구니에서 'KOREA REPUBLIC' 쪽지가 담긴 공을 골랐고, 이후 D조 바구니에서 'D2' 쪽지가 담긴 공을 고른다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D조의 2번째 팀으로서, D1 팀과 D조의 첫번째 경기를 치르게 된다.[예시2] 가령 E조에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포트1, E1)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포트2, E4)에 배정된 상황에서, 포트3에서 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뽑히더라도 세 팀 모두 UEFA 소속 팀인 이상 폴란드 대표팀은 E조에는 배정될 수 없고 UEFA 소속 팀이 2팀에 도달하지 않은 다른 조에 속하게 된다. 여기서 가능한 시나리오로, E조의 팀 추첨은 건너뛰고 F조 바구니에서 'F3' 쪽지를 뽑아 폴란드 대표팀은 F조에 배정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전체
진행자
파일:국기.svg 미정 (직업명)
추첨
진행자
파일:국기.svg 미정 (직업명)
추첨자파일:국기.svg 미정 (직업명)
생중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KBS 1TV 로고.svg
캐스터
미정
해설
미정
파일:MBC 로고.svg
캐스터
미정
해설
미정
파일:SBS 로고.svg
캐스터
미정
해설
미정
결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번째 팀

파일:국기.svg 미정파일:국기.svg 미정파일:국기.svg 미정
1. 개요
2. 세부사항
3. 추첨 방식
4. 추첨식
4.1. 추첨 결과
4.1.1. A조
4.1.2. B조
4.1.3. C조
4.1.4. D조
4.1.5. E조
4.1.6. F조
4.1.7. G조
4.1.8. H조
4.1.9. I조
4.1.10. J조
4.1.11. K조
4.1.12. L조
5. 관련 내용
6. 논란
7. 여담
8. 관련 내용



1. 개요[편집]


2026년에 개최될 예정된 2026 FIFA 월드컵의 조 추첨 내용을 다루는 문서. 번호 배정은 2025년 10월자 피파랭킹 기준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추첨식은 2025년 11월~12월 경 열릴 예정이다.


2. 세부사항[편집]


당초 2022년까지 계획으로는 16조 x 3개팀 조별 라운드(팀당 2게임)를 기반으로 한 2026년 월드컵 48개국 본선 스케줄이 FIFA Reporting으로 공개되었다. #사진 #pdf 140쪽 일부 변동[2]이 있을 수 있으나, 3개국이 같은 날에 개막전을 전부 개최하기로 함에 따라 캐나다는 A1, 멕시코는 E1, 미국은 I1으로 조편성 내용이 공개, 확정되었다. 그러다가 3개팀 조별 라운드 방식으로는 최종전을 동시에 치를 수 없기에 팀 사이 담합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자, FIFA는 2022년 말부터 기존안을 폐기하는 논의를 시작했다.

2023년 3월 15일, FIFA는 2026년 월드컵도 종전과 같이 네 팀을 한 조에 묶는 방식을 고수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따라서 본선 48개국 체제에서 구성될 조는 총 12개가 되며, 각 조 1위-2위 24개 팀이 32강에 직행하고 조 3위 12개팀 가운데 상위 8개팀이 32강에 진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총 경기 수는 40경기가 더 늘어나지만 FIFA는 대회 기간을 기존과 비슷하게 편성하겠다고 밝혀 빡빡한 일정에 따른 선수 혹사가 우려된다.[3] 일각에서는 조 3위도 토너먼트에 갈 수 있고 경기 수가 많아지므로 FIFA가 결국 중계권료와 흥행 도모에 초점을 두었다고 비평한다.


3. 추첨 방식[편집]




4. 추첨식[편집]


순번1포트2포트3포트4포트
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2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4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5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6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7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8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9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10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11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12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파일:국기.svg
국가
?위
※ 노란색은 월드컵 개최국, 호박색은 탑시드 국가대표팀들을 의미하며, 캐나다는 A조, 멕시코는 E조, 미국은 I조에 자동 배정됨.
※ 회색은 유럽 및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에 진출한 국가대표팀들을 의미함.


4.1. 추첨 결과[편집]



4.1.1. A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A1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위)
조별리그[4]8강[5]
A2파일:국기.svg
국가
(-위)
--
A3파일:국기.svg
국가
(-위)
--
A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2. B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B1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위)
조별리그[6]조별리그[7]
B2파일:국기.svg
국가
(-위)
--
B3파일:국기.svg
국가
(-위)
--
B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3. C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C1파일:국기.svg
국가
(-위)
--
C2파일:국기.svg
국가
(-위)
--
C3파일:국기.svg
국가
(-위)
--
C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4. D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D1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위)
16강[8]3위[9]
D2파일:국기.svg
국가
(-위)
--
D3파일:국기.svg
국가
(-위)
--
D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5. E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E1파일:국기.svg
국가
(-위)
--
E2파일:국기.svg
국가
(-위)
--
E3파일:국기.svg
국가
(-위)
--
E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6. F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F1파일:국기.svg
국가
(-위)
--
F2파일:국기.svg
국가
(-위)
--
F3파일:국기.svg
국가
(-위)
--
F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7. G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G1파일:국기.svg
국가
(-위)
--
G2파일:국기.svg
국가
(-위)
--
G3파일:국기.svg
국가
(-위)
--
G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8. H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H1파일:국기.svg
국가
(-위)
--
H2파일:국기.svg
국가
(-위)
--
H3파일:국기.svg
국가
(-위)
--
H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9. I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I1파일:국기.svg
국가
(-위)
--
I2파일:국기.svg
국가
(-위)
--
I3파일:국기.svg
국가
(-위)
--
I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10. J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J1파일:국기.svg
국가
(-위)
--
J2파일:국기.svg
국가
(-위)
--
J3파일:국기.svg
국가
(-위)
--
J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11. K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K1파일:국기.svg
국가
(-위)
--
K2파일:국기.svg
국가
(-위)
--
K3파일:국기.svg
국가
(-위)
--
K4파일:국기.svg
국가
(-위)
--


4.1.12. L조[편집]


번호국가전 대회
성적
역대 최고
성적
비고
L1파일:국기.svg
국가
(-위)
--
L2파일:국기.svg
국가
(-위)
--
L3파일:국기.svg
국가
(-위)
--
L4파일:국기.svg
국가
(-위)
--


5. 관련 내용[편집]





6. 논란[편집]





7. 여담[편집]





8. 관련 내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0:19:54에 나무위키 2026 FIFA 월드컵/조 추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5년 11월 말 또는 12월 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2] 캐나다 본선 개최 도시가 당초 3개 도시에서 2개 도시로 축소[3] 예로 결승전 및 3/4위 결정전 진출팀은 종전의 최대 7경기(조별리그 3 + 토너먼트 4)에서 총 8경기(토너먼트 +1)로 늘어나게 된다.[4] 32개국 중 22위[5] 1970, 1986[6] 32개국 중 31위[7] 1986, 24위[8] 32개국 중 14위[9]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