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예선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2023 Africa Cup of Nations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23
파일: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로고.png
【 포스터 더보기 】
대회기간2024년 1월 13일 ~ 2월 11일
개최국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본선 진출팀24개팀
대회 결과
우승--
준우승--
3위--
4위--
수상
골든볼-
골든부트-
골든글러브-
영플레이어상-
페어플레이상-
연표
이전 대회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
다음 대회2025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모로코)

1. 개요
2. 호스트 선정
3. 개최 도시
4. 마스코트
5. 주제가
6. 공인구
8. 본선 진출국
9. 조 편성
9.1. 시드 배정
9.2. 조 편성 결과
10. 대회 진행
10.1. 조별 라운드
10.2. 조 3위 간 서열
10.3. 결선 라운드
10.3.1. 16강
10.3.2. 8강
10.3.3. 준결승, 3위 결정전
10.3.4. 결승전
11. 우승
12. 최종 순위
14. 팀별 리뷰
15.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
16. 총평
17. 둘러 보기



1. 개요[편집]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인트로 영상

2024년 1월부터 2월 사이에 코트디부아르에서 열릴 예정인 34번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이다.

이전 대회에서 개최 날짜를 1월로 옮겼던 것을 다시 6월로 변경해 2023년 6월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폭우를 이유로 다시 1월로 변경되었다. # 따라서 직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대회 네이밍은 2023이지만 실제로는 2024년에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2. 호스트 선정[편집]


본래 코트디부아르는 2021년 대회를 유치해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2019년 대회를 앞두고 변수가 발생했는데, 바로 원래 이 대회 개최국이던 카메룬이 준비 미달로 인해 개최권을 박탈당한 것이다.

이에 결국 2019년 대회이집트에서 개최되었고, 대신 CAF는 2021년 대회의 개최권을 카메룬에게 넘겼다. 따라서 코트디부아르의 개최가 한 대회 밀려 2023년 대회를 주관하게 된 것이다.[1]


3. 개최 도시[편집]


도시경기장수용인원
아비장스타드 올랭피크 알라산 와타라 (Stade Olympique Alassane Ouattara)60,000명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Stade Félix Houphouët-Boigny)33,000명
부아케스타드 드 라 페 (Stade de la Paix)40,000명
야무수크로스타드 샤를 코낭 바니 (Stade Charles Konan Banny)20,000명
산페드로스타드 로랑 포쿠 (Stade Laurent Pokou)20,000명
코로고스타드 아마두 공 쿨리발리 (Stade Amadou Gon Coulibaly)20,000명


4. 마스코트[편집]


파일:fjokotk0t0loe6f0mwln.png
아크와바(Akwaba)
2023년 7월 8일 마스코트가 공개되었다.

이름은 아콰바(Akwaba)로 코트디부아르 민족 중 하나인 아칸족 언어로 '환영(welcome)'을 의미한다. 개최국 코트디부아르의 상징인 코끼리를 형상화했다.


5. 주제가[편집]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 공식 음악
{{{#fff Magic System}}} - {{{+1 Akwaba}}} (feat. Yemi Alade & Mohamed Ramadan)

주제가의 이름도 아콰바이며, 프랑스어, 영어, 아랍어로 가사가 이루어져 있다.


6. 공인구[편집]


공인구는 푸마에서 만든 CAF PUMA POUKOU이며 POUKOU(포쿠)는 코트디부아르의 전설적인 축구선수인 로랑 포쿠의 이름을 본뜬 것이다.


7.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예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본선 진출국[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 날짜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성적FIFA 랭킹[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개최국
예선 H조 2위
2019년 1월 30일25회2021우승
[CIV]
49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예선 A조 1위2023년 6월 18일20회2021우승
[NGA]
42위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예선 B조 1위2023년 3월 28일13회2021준우승
[BFA]
57위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예선 C조 1위2023년 9월 12일21회2021우승
[CMR]
46위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예선 D조 1위2023년 6월 14일26회2021우승
[EGY]
33위
파일:가나 국기.svg가나예선 E조 1위2023년 9월 7일24회2021우승
[GHA]
61위
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예선 F조 1위2023년 3월 27일20회2021우승
[ALG]
30위
파일:말리 국기.svg말리예선 G조 1위2023년 6월 18일13회2021준우승
[MLI]
51위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예선 H조 1위2023년 6월 17일18회2015우승
[ZAM]
84위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예선 I조 1위2023년 9월 9일20회2019우승
[COD]
67위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예선 J조 1위2023년 3월 28일21회2021우승
[TUN]
28위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예선 K조 1위2023년 3월 24일19회2021우승
[MAR]
13위
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예선 L조 1위2023년 3월 28일17회2021우승
[SEN]
20위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예선 A조 2위2023년 6월 18일4회2021조별리그
[GNB]
103위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카보베르데예선 B조 2위2023년 6월 18일4회20218강
[CPV]
73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예선 C조 2위2023년 9월 12일4회2019조별리그
[NAM]
115위
파일:기니 국기.svg기니예선 D조 2위2023년 6월 20일14회2021준우승
[GUI]
80위
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예선 E조 2위2023년 9월 7일9회20198강
[ANG]
117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예선 F조 2위2023년 9월 7일3회2019조별리그
[TAN]
121위
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예선 G조 2위2023년 9월 10일2회20218강
[GAM]
126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예선 I조 2위2023년 9월 9일3회2021조별리그
[MTN]
105위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예선 J조 2위2023년 6월 17일4회20214위
[EQG]
88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예선 K조 2위2023년 3월 28일11회2019우승
[RSA]
66위
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예선 L조 2위2023년 9월 9일5회2010조별리그
[MOZ]
111위

2015년 이래 9년 만에 첫 출전국이 하나도 없는 대회다.


8.1. 출전 선수 명단[편집]




9. 조 편성[편집]


2023년 10월 12일 19시(현지시각)에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네이션스컵 본선 조별리그 조 추첨이 진행된다.


9.1. 시드 배정[편집]


시드 배정은 2023년 9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했다.


9.2. 조 편성 결과[편집]




10. 대회 진행[편집]



조별리그에서 승점이 동률일 경우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조 3위간 서열 판정에서 승점이 동률일 경우에는 다른 조의 팀간 비교인 만큼 1~3번 없이 바로 4번부터 판단한다.

  1.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승점 (승자승)
  2.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골득실차
  3. 같은 승점인 팀간 경기에서의 상대 득점 수[3] (같은 승점인 팀에 대하여 1.에서 여기까지 반복하고, 이후에도 순위가 같다면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 대하여 다음 순서에 따른다.)
  4. 해당 팀의 조별 리그 경기 골득실차
  5. 해당 팀의 조별 리그 경기 득점 수
  6. 추첨


10.1. 조별 라운드[편집]



10.1.1. A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321092+77
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21031+27
3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310225-33
4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300327-50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1.2. B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카보베르데321073+47
2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30306603
3파일:가나 국기.svg가나302156-12
4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302147-32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1.3. C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330081+79
2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311156-14
3파일:기니 국기.svg기니311123-14
4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300327-50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1.4. D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321063+37
2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311134-14
3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310234-13
4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302134-12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1.5. E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말리 국기.svg말리31203125
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31114224
3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311114-34
4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02112-12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1.6. F조[편집]


순위팀명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32105147
2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30302203
3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302123-12
4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302114-32
16강 진출 | 순위 경합 | 탈락


10.2. 조 3위 간 서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C조파일:기니 국기.svg기니311123-14
2E조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311114-34
3D조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310234-13
4A조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310225-33
5B조파일:가나 국기.svg가나302156-12
6F조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302123-12
16강 진출 | 탈락

16강에 진출한 조 3위 팀들의 소속 조16강 대진
A조 1위B조 1위C조 1위D조 1위
A, B, C, DC조 3위D조 3위A조 3위B조 3위
A, B, C, EC조 3위A조 3위B조 3위E조 3위
A, B, C, FC조 3위A조 3위B조 3위F조 3위
A, B, D, ED조 3위A조 3위B조 3위E조 3위
A, B, D, FD조 3위A조 3위B조 3위F조 3위
A, B, E, FE조 3위A조 3위B조 3위F조 3위
A, C, D, EC조 3위D조 3위A조 3위E조 3위
A, C, D, FC조 3위D조 3위A조 3위F조 3위
A, C, E, FC조 3위A조 3위F조 3위E조 3위
A, D, E, FD조 3위A조 3위F조 3위E조 3위
B, C, D, EC조 3위D조 3위B조 3위E조 3위
B, C, D, FC조 3위D조 3위B조 3위F조 3위
B, C, E, FE조 3위C조 3위B조 3위F조 3위
B, D, E, FE조 3위D조 3위B조 3위F조 3위
C, D, E, FC조 3위D조 3위F조 3위E조 3위
회색 배경: 가능성이 사라진 경우의 수

10.3. 결선 라운드[편집]


16강8강준결승결승
38454952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1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9승자-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0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37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0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3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0
스타드 드 라 페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4148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1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0
(1)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0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44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0
(2)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250승자-
스타드 로랑 포쿠
스타드 샤를 코낭 바니
스타드 드 라 페
43465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1
(7)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3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1
(8)
스타드 로랑 포쿠
42파일:기니 국기.svg 기니1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0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1
스타드 올랭피크 알라산 와타라
스타드 올랭피크 알라산 와타라
4047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2파일:말리 국기.svg 말리1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1
스타드 아마두 공 쿨리발리
스타드 올랭피크 알라산 와타라
39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251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
(4)
49패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1
(5)
50패자-
스타드 샤를 코낭 바니
스타드 드 라 페
스타드 올랭피크 알라산 와타라
스타드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10.3.1. 16강[편집]




10.3.2. 8강[편집]




10.3.3. 준결승, 3위 결정전[편집]




10.3.4. 결승전[편집]




11. 우승[편집]



12.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7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7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73위
474위
5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카보베르데532083+5118강
6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531194+510
7파일:말리 국기.svg말리522153+28
8파일:기니 국기.svg기니521247-37
9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431092+71016강
10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421194+57
1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 421153+27
12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40407704
13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411246-24
14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411258-34
15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411217-64
16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410335-23
17파일:가나 국기.svg가나302156-12조별리그
18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302134-12
19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302123-12
20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302112-12
21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302147-32
22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302114-32
23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300327-50
24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300327-50


13. 기록[편집]



14. 팀별 리뷰[편집]




15.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팀 오브 토너먼트[편집]




16. 총평[편집]


조별리그만 보면, 역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넘어 "축구 국가 대항전 역사상" 가장 많은 이변이 터진 대회라 봐도 무방하다.

조별리그 A~F조 가운데 별다른 이변이 없이 톱시드가 1위를 그대로 가져가고 나머지 등수도 예상대로 흘러간 조는 C조와 F조 둘 뿐이다. 그나마 그 C조도 최종 순위는 시드대로 나왔어도 2시드 카메룬이 광탈 직전까지 갔다가 구사일생하는 등 경기 내용은 생각보다 치열했다.

D조의 알제리와 E조의 튀니지는 톱시드의 조 최하위 광탈이라는 대굴욕을 썼다. 그 과정에서 D조는 한 술 더떠 4시드 앙골라가 조 1위를 먹는 대이변을 일으켰고, E조 역시 4시드 나미비아가 튀니지를 제압하며 이변에 일조했다. A조 역시 3시드 적도 기니가 개최국 코트디부아르를 4:0으로 박살내는 충격을 안기며 조 선두를 차지했고, 코트디부아르는 그 여파로 조 3위로 밀렸다가 딱 16위로 간신히 16강에 오를 수 있었다. B조 역시 3시드 카보베르데가 2시드 가나를 잡은 것을 시작으로 선두로 16강에 오르는 사이 톱시드 이집트는 3무에 그쳤으며, 직전 월드컵에서 승리까지 따낸 2시드 가나가 2무 1패로 허무하게 탈락했다.

이 기세가 월드컵 예선까지 지속된다면, 예전 월드컵에 진출한 전적이 있는 국가들이 거의 다 떨어지고 그 자리를 첫 진출국들이 메꾼 2006 FIFA 월드컵 독일의 재림이 일어날 수도 있다.

한편 조별리그에서 무승부가 정말 많이 나왔는데, 정작 0:0 무승부는 조별리그 매치데이 마지막날에만 3경기가 나오고 그 앞의 무승부는 죄다 1:1 혹은 2:2[4]였던 점도 특이한 점이다. 무승부가 이렇게 많다보니 조별리그에서 3패 팀은 2팀이 나오고도 정작 흔히 보이는 1무 2패 팀이 없었으며, 탈락팀 가운데 무려 6팀이 2무 1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덕분에 이집트와 콩고민주공화국은 3무를 기록하고도 조 3위가 아닌 2위로 16강에 오르기도 했다. 또한 흔히 보이는 2승 1패로 조별리그를 마무리한 팀도 없었다.

토너먼트에서는 16강에 올라서자마자 이변을 일으킨 팀들이 대부분 정리되는 등 비교적 돌풍이 잠잠해지는 듯 했지만[5], 16강 마지막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지난 월드컵 4강 진출국인 모로코를 꺾는 대이변을 만들어내며 카타르 월드컵에 진출한 5팀 중 아무도 8강에 가지 못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는 등 여전히 이번 대회가 카오스 속임을 증명했다.

그래도 준결승 들어서는 FIFA 랭킹이 낮은 팀들이 모두 높은 팀에게 패해 탈락하며 어느 정도 이변이 정리되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대진을 살펴보면 콩고민주공화국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미 다른 팀을 상대로 대형 업셋을 일으키고 올라온 만큼 이변의 여진이 아직 남아있다 봐도 무리는 아니다. 이 팀들이 준결승에서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도 관건.

17. 둘러 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3:12:49에 나무위키 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코트디부아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로 인해 마찬가지로 본래 2023년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던 기니 역시 2025년 대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2022년 9월 기니의 대회 개최권이 박탈되었고, 모로코로 변경되었다.[2] 2023년 12월 FIFA 랭킹[CIV] 1992, 2015[NGA] 1980, 1994, 2013[BFA] 2013[CMR] 1984, 1988, 2000, 2002, 2017[EGY]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GHA] 1963, 1965, 1978, 1982[ALG] 1990, 2019[MLI] 1972[ZAM] 2012[COD] 1968, 1974[TUN] 2004[MAR] 1976[SEN] 2021[GNB] 2017, 2019, 2021[CPV] 2013[NAM] 1998, 2008, 2019[GUI] 1976[ANG] 2008, 2010[TAN] 1980, 2019[GAM] 2021[MTN] 2019, 2021[EQG] 2015[RSA] 1996[MOZ] 1986, 1996, 1998, 2010[3] 2번과 3번은 세 팀 이상 동률일 경우 의미가 있는 조항이다. 두 팀만 승점이 같고 무승부를 기록해서 승자승 역시 동률일 경우, 2번과 3번 역시나 동률이 되므로 의미가 없기에 바로 4번으로 넘어간다.[4] B조는 모든 무승부가 이 스코어이다.[5] 기껏해야 콩고민주공화국이 이집트를 승부차기 끝에 제압한 것과 최악의 성적으로 16강에 간 개최국 코트디부아르가 최고의 성적으로 16강에 간 디펜딩 챔피언 세네갈을 승부차기 끝에 제압한 정도가 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