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분데스리가/2022-23 시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 분데스리가/역대 시즌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 분데스리가 시즌
2021–222022–232023–24
1. 개요
2. 승격과 강등
2.1. 2. 분데스리가로 강등 & 분데스리가로 승격
2.2. 3. 리가로 강등 & 2. 분데스리가로 승격
2.3. 승격 플레이오프 (헤르타 BSC vs 함부르크 SV)
3. 참가 클럽
3.1. 클럽별 홈구장
3.2. 클럽별 감독
3.2.1. 감독 경질/사임 기록
3.3. 클럽별 주장
4. 클럽 순위
5. 기록
5.1. 개인 기록
5.1.1. 득점 순위
5.2. 클럽 기록
6. 2. 분데스리가 참가 팀들의 다른 대회 성적


1. 개요[편집]


2. 분데스리가 2022-23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로 인해 리그는 11월 11일~11월 13일 (17라운드)에 중단되어 11주의 휴식기를 가지고, 현지시각 2023년 1월 27일[1]에 재개된다.

2. 승격과 강등[편집]



2.1. 2. 분데스리가로 강등 & 분데스리가로 승격[편집]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
순위순위
17위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빌레펠트
1위파일:FC 샬케 04 로고.svg
샬케 04
18위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그로이터 퓌르트
2위파일:SV 베르더 브레멘 로고.svg
브레멘



2.2. 3. 리가로 강등 & 2. 분데스리가로 승격[편집]



2.3. 승격 플레이오프 (헤르타 BSC vs 함부르크 SV)[편집]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021-22 2.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 1차전
2021.05.20 03:30(UTC+9)
올림피아슈타디온 베를린 (베를린)
주심 : 함 오스머스
관중: 75,500명
파일:헤르타 BSC 로고.svg0 : 1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헤르타 BSC함부르크 SV
-파일:득점 아이콘.svgL. 레이스 57'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021-22 2.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 2차전
2021.05.24 03:30(UTC+9)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 (함부르크)
주심 : 데니스 아이테킨
관중: 57,000명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0 : 2파일:헤르타 BSC 로고.svg
함부르크 SV헤르타 BSC
-파일:득점 아이콘.svgD. 보야타 4'
M. 플라텐하르트 63'

2.4. 강등 플레이오프 (SG 디나모 드레스덴 vs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편집]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021-22 2. 분데스리가 강등 플레이오프 1차전
2021.05.21 03:30(UTC+9)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카이저슬라우테른)
주심 : Dr. 펠릭스 브리히
관중: 46,179명
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0 : 0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SG 디나모 드레스덴
-파일:득점 아이콘.svg-

파일:2. 분데스리가 로고.svg
2021-22 2. 분데스리가 강등 플레이오프 2차전
2021.05.25 03:30(UTC+9)
루돌프 하르비히 슈타디온 (드레스덴)
주심 : 다니엘 지베르트
관중: 30,530명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0 : 2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SG 디나모 드레스덴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파일:득점 아이콘.svgD. 한슬리크 59'
P. 헤르허 90+2'

3. 참가 클럽[편집]






3.1. 클럽별 홈구장[편집]





3.2. 클럽별 감독[편집]






3.2.1. 감독 경질/사임 기록[편집]



3.3. 클럽별 주장[편집]






4. 클럽 순위[편집]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svg
순위표 (2022-23)
최종 순위
순위구단경기득실 차승점
1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34191056736+3167
2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3420775036+1467
3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3420687045+2566
4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34177106043+1758
5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34161085539+1658
6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34167116844+2455
7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34137145653+346
8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341210125861-346
9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341112114748-145
10파일:하노버 96 로고.svg34128145055-544
11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34127154855-743
12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341011134750-341
13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34125173248-1641
14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34109153249-1739
15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3499164259-1736
16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3497185062-1234
17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3487193458-2431
18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3477203563-2828
* 순위 방식: 승점 > 득실차 > 다득점 > 승자승 > 동률팀 간의 원정 다득점 > 원정 다득점 > PO
* 2021-22 2. 분데스리가 우승 & 분데스리가 승격
* 2022-23 분데스리가 승격
* 2022-23 분데스리가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
* 2022-23 2. 분데스리가 잔류
* 2022-23 2. 분데스리가 & 3. 리가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2022-23 3. 리가 강등



5. 기록[편집]



5.1. 개인 기록[편집]



5.1.1. 득점 순위[편집]



5.2. 클럽 기록[편집]



6. 2. 분데스리가 참가 팀들의 다른 대회 성적[편집]



6.1. DFB-포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DFB-포칼/2022-23 시즌#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DFB-포칼 로고.svg
DFB-포칼 2022-23 시즌
순위64강32강16강8강4강결승
1파일:1. FC 뉘른베르크 로고.svg
2 : 01 : 0
2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3 : 02 : 1
3파일:SV 잔트하우젠 로고.svg
4 : 02 : 2
(8 : 7 i.E.)
4파일:SC 파더보른 07 로고.svg
10 : 02 : 2
(5 : 4 i.E.)
5파일:포르투나 뒤셀도르프 로고.svg
4 : 13 : 0
6파일:1. FC 하이덴하임 1846 로고.svg
2 : 00 : 232강 탈락
7파일:SSV 얀 레겐스부르크 로고.svg
2 : 2
(4 : 3 i.E.)
0 : 332강 탈락
8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3 : 1
(n. V.)
0 : 432강 탈락
9파일:FC 장크트파울리 로고.svg
4 : 31 : 2
(n. V.)
32강 탈락
10파일:하노버 96 로고.svg
3 : 00 : 232강 탈락
11파일: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로고.svg
7 : 10 : 632강 탈락
12파일: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로고.svg
4 : 4
(6 : 5 i.E.)
1 : 232강 탈락
13파일:카를스루어 SC 로고.svg
8 : 02 : 2
(7 : 8 i.E.)
32강 탈락
14파일:1. FC 마그데부르크 로고.svg
0 : 464강 탈락
15파일: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로고.svg
1 : 2
(n. V.)
64강 탈락
16파일:FC 한자 로스토크 로고.svg
0 : 164강 탈락
17파일:SpVgg 그로이터 퓌르트 로고.svg
0 : 264강 탈락
18파일:홀슈타인 킬 로고.svg
0 : 0
(5 : 3 i.E.)
64강 탈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00:13:33에 나무위키 2. 분데스리가/2022-23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 시각 1월 28일 새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