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0년 재보궐선거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1대
2020년 4월 15일
제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3년 하반기
2023년 10월 11일
2024년 1월
2024년 1월 3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601961 · 1965 · 1968 · 1969 · 1970 · 1971 · 1977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 2023( · ) · 2024(1월 · · ) · 2025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1. 개요
2. 4월 3일
2.1. 지역별 선거 결과
2.1.1. 대구직할시 서구 갑
2.1.2.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3. 11월 9일
3.1. 지역별 선거 결과
3.1.1.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공직선거법 규정에 따라 1990년중에 치러진 재보궐선거다. 2000년 2월 이전까지는 재보궐선거의 일정이 정례화 되지 않아 지역마다 선거일이 모두 달랐다.[1]


2. 4월 3일[편집]


1990년 4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무소속
1석
1석
제13대 국회의원

1990년 4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국회의원
대구직할시 서구 갑 정호용
(무소속)
12.12 군사반란 주동 혐의로 의원직 사직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김완태(민주자유당)
1990년 1월 사망

  • 당선자
    • 대구직할시 서구 갑 문희갑 (민주자유당)
    •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 허탁 (민주당)


민주자유당3당 합당 이후 치른 첫 선거이지만, 텃밭인 대구에서도 겨우 과반을 넘기고 농촌인 충북 진천·음성에서 꼬마민주당[2]에게 의석을 내주는 등 참패한 선거이다.

2.1. 지역별 선거 결과[편집]



2.1.1. 대구직할시 서구 갑[편집]


서구 갑
내당1동, 내당2동, 내당3동, 내당4동, 비산4동,
평리2동, 평리4동, 평리5동, 상이동, 중리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문희갑(文熹甲)
41,970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1.55%
당선
2
김현근(金顯根)
5,19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50%
낙선
3
백승홍(白承弘)
34,242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2.50%
낙선
4
정호용(鄭鎬溶)
-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선거인 수
132,364
투표율
63.95%
투표 수
84,644
무효표 수
3,233
이 선거는 2021년 4·7 재보궐선거 만큼이나 전국적으로 이목을 끈 재보궐선거였다.

현역 국회의원이던 정호용3당 합당 과정에서 김영삼김종필의 요구에 따라서 노태우 당시 대통령의 부탁에 의하여 사퇴하고, 이 과정에서 노태우에게 보궐선거 공천을 약속받는다.[3]

그러나 민주자유당은 정호용이 아닌 문희갑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을 공천하고, 정호용은 자신의 명예회복을 위하여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무소속 출마엔 부인의 권유가 있었다고.

선거전은 팽팽한 접전으로 흘러갔으며, 당시 민주자유당3당 합당 이후 치러지는 첫 선거라 현역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에게 동책을 맡도록 하고 안기부 등을 통하여 정호용을 미행까지 하며 압박했으며##, 결국 이를 견디다 못한 정호용의 부인이 자살 기도까지 하자# 결국 정호용은 후보등록까지 마감했음에도 끝내 사퇴하고 만다.

그렇지만 정호용의 사퇴 이후 정호용의 지지층이 모두 문희갑 후보에게 간 것은 아니었다. 무소속[4] 백승홍 후보는 당초 정호용과 문희갑 후보의 경쟁으로 인한 어부지리 효과를 노리다 정호용의 사퇴에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정호용 지지층을 흡수하려고 시도했고#, 결국 선거 결과 문희갑 후보는 텃밭인 대구에서 출마하였음에도[5] 51.5%의 득표율로 겨우 과반을 넘겼으며 당시 백승홍 후보는 42.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비록 낙선했지만 2005년 재보궐선거에서 이강철열린우리당 소속으로 44.1%의 득표율을 기록하기 이전까지 대구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정호용의 사퇴로 인하여 남은 선거자금이 후일 문희갑의 대구광역시장 임기 말에 발생한 비자금 파동의 원인이라는 분석도 있다.#


2.1.2. 충청북도 진천군·음성군[편집]


진천군·음성군
진천군 일원, 음성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민태구(閔泰求)
31,17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5.44%
낙선
2
허탁(許沰)
37,441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56%
당선

선거인 수
89,987
투표율
78.2%
투표 수
70,356
무효표 수
1,737

무소속 허탁 후보가 농촌지역에 여당의 텃밭이라는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고 당선되었다. 이후 허탁 의원은 그 해 6월에 창당한 민주당에 합류한다.

3. 11월 9일[편집]


1990년 11월 재보궐선거/국회의원 선거 결과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석
제13대 국회의원

1990년 11월 재보궐선거 지역구
국회의원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서경원(평화민주당)
국가보안법 위반·비자금 수수 관련 혐의로 의원직 상실

  • 당선자
    •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 이수인(평화민주당)

3.1. 지역별 선거 결과[편집]



3.1.1. 전라남도 함평군·영광군[편집]


함평군·영광군
함평군 일원, 영광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조기상(曺淇相)
16,412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22.41%
낙선
2
이수인(李壽仁)
55,787
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75.38%
당선
3
김기수(金起秀)
-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
노금노(魯金盧)
1,60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9%
낙선

선거인 수
104,352
투표율
73.80%
투표 수
77,013
무효표 수
1,019

이수인 후보가 외지(경상북도) 출신이라는 불리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김대중 총재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지역구와 아무런 연고가 없는 외지인을 공천한 데에는 지역감정 해소를 위해서라는 당총재 DJ의 의중에 따른 것이었다. 당 안팎에서 반발이 상당했다고 한다. 이는 김대중 자서전에도 언급된다.



[1] 그래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문서에 기재되지 않은 2000년 이전 재보선 결과도 상당하다. 지역별로 날짜가 전부 달라 목록을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전의 지역별 재보선 결과를 자세히 알고 싶다면 중앙선관위 자료를 참고하길 바람. # [2] 당시에는 정식 창당 이전이었으므로 무소속으로 출마.[3] 이게 무슨 소리냐 하겠지만, 당시에는 속칭 맹형규법으로 불리는 법안이 시행되기 이전이라 본인이 재보궐선거의 원인을 제공해도 본인이 재출마하는 것이 가능했다.[4] 이후 민주당에 합류.[5] 다만 지금과는 달리 당시의 서구는 젊은 층들의 비중이 높았고 야권 지지층도 적지 않았던 곳이다. 13대 총선에서는 정호용이 과반으로 승리하였지만 12대 총선에서는 중구·서구 선거구에서 신한민주당유성환 후보가 1위로 당선되는데 크게 기여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