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 몬트리올 올림픽/축구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976 몬트리올 올림픽



--

파일:1976 몬트리올 올림픽 로고.svg
올림픽 축구
파일:1976 몬트리올 올림픽 픽토그램.png
대회기간1976년 7월 18일 ~ 7월 31일
본선 진출국16개국 → 13개국
우승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준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3위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득점왕파일:폴란드 국기.svg 안드제이 샤르마흐 | 6골
이전·이후 대회
1972년
뮌헨
1976년
몬트리올
1980년
모스크바

1. 개요
2. 경기장
3. 본선 진출국
4. 조 편성
4.1. 조 편성 결과
5. 선수 명단
6. 대회 진행
7. 최종 순위
8. 여담


1. 개요[편집]


1976 몬트리올 올림픽축구 종목에 대하여 서술하는 문서.

올림픽 역사상 마지막으로 대회 직전 기권팀이 나와 16개국 본선 진출 체제를 맞추지 못하고 진행한 대회로 기록된다. 올림픽 개막 직전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친선 럭비경기를 가진 뉴질랜드에 대해 아프리카 국가들이 뉴질랜드의 올림픽 참가 자격 박탈을 요구했으나[1] 묵살되면서 아프리카 26개국이 모두 몬트리올 올림픽 불참을 선언하고 대회를 보이콧한 것인데, 자연스럽게 올림픽 축구 본선에 오른 아프리카 3개국 모두 대회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일어난 일이다.


2. 경기장[편집]



3.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북중미
(CONCACAF)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개최국1장첫 진출--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1976 CONCACAF 프레-올림픽 토너먼트[2]우승2장
3장
6회19724위
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준우승2회19688강
파일:쿠바 국기.svg쿠바3위[3]첫 진출--
유럽
(UEFA)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전 대회 우승국1장6회1972금메달
파일:소련 국기.svg소련1976 몬트리올 올림픽
유럽 지역예선
최종예선 1조 1위4장4회1972금메달
파일:동독 국기.svg동독최종예선 2조 1위3회1972동메달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최종예선 3조 1위5회1968은메달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최종예선 4조 1위9회19684위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76 CONMEBOL 프레-올림픽
토너먼트 브라질
우승2장
1장
6회19724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준우승2회1928금메달
아프리카
(CAF)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1976 몬트리올 올림픽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종예선 승자[4]3장2회1968조별
파일:가나 국기.svg가나4회19728강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첫 진출--
아시아 (AFC)
오세아니아 (OFC)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이란1976 몬트리올 올림픽
아시아 - 오세아니아 지역예선
1조 1위3장2회1964조별
파일:북한 국기.svg북한2조 1위첫 진출--
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3조 1위2회19688강
  • 아프리카 3팀이 모두 대회 직전 보이콧을 선언하고 불참했다. 이유는 상술된 것과 같이 인종차별에 미온적인 대응을 한 IOC에 대한 항의 때문. 조 추첨은 물론 대회 직전 캐나다에 입국까지 해서 대회를 준비하던 선수단은 대회에 뛰지도 못한 채 곧바로 귀국길에 올랐고, 대회는 13팀으로 파행 운영되었다.
  • 아프리카 팀들의 보이콧 말고도 우루과이가 기권을 한 사건도 있었다. 우루과이는 남미 예선에서 준우승을 했고, 1928년 금메달을 딴 이후 48년만에 다시 올림픽 무대에 복귀할 수 있게 되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출전권을 반납했다. 이후 대회 조직위가 남미 예선 3위인 아르헨티나에게 출전권을 양도하려 했으나, 아르헨티나도 대타 진출을 거부했고, 당시 6개국이 참여했던 남미 예선에서 4위 이하를 본선에 내보내기에는 명분이 안맞았다. 때문에 희한하게도 남미의 진출권은 북중미에게로 넘어가 북중미 예선 3위를 차지했던 쿠바가 우루과이의 티켓을 얻어 대신 본선에 진출했다. 쿠바 축구 역사상 올림픽 첫 본선행이었다.

4. 조 편성[편집]



4.1. 조 편성 결과[편집]



5. 선수 명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1976 몬트리올 올림픽/축구/참가팀 정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대회 진행[편집]



6.1. 조별리그[편집]



6.1.1. A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1021+13
2파일:동독 국기.svg동독11010+13
3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00213-2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보이콧
결선 진출 | 탈락 | 기권


6.1.2. B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21093+65
2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0303303
3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02147-32
4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02125-32
결선 진출 | 탈락


6.1.3. C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11032+13
2파일:이란 국기.svg이란1013302
3파일:쿠바 국기.svg쿠바01101-11
-파일:가나 국기.svg가나보이콧
결선 진출 | 탈락 | 기권


6.1.4. D조[편집]


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소련 국기.svg소련20051+44
2파일:북한 국기.svg북한10134-12
3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00225-30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보이콧
결선 진출 | 탈락 | 기권


6.2. 토너먼트[편집]





6.2.1.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1976 몬트리올 올림픽/축구/결선 토너먼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최종 순위[편집]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첫번째 우승


8. 여담[편집]


  • 대회가 13팀으로 파행운영되었다. 앞서 서술한 아프리카 팀들의 보이콧 동참 때문인데, 이게 대회 직전에 일어난 일이라 대체 팀을 구하지 못하고 그대로 아프리카 3팀을 제외한 채 대회를 치러야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B조를 제외한 나머지 세 조의 팀들은 한 경기를 덜 치르고 가는 체력적인 이득을 봤다. 실제 홀로 4팀으로 조별리그가 진행됐던 B조에서 8강에 진출한 프랑스, 이스라엘은 체력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모두 8강에서 대패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23:43에 나무위키 1976 몬트리올 올림픽/축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그 악명높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국제 사회에서 추방된 상태였다. 뉴질랜드가 그런 남아공과 친선경기를 가졌으니 아프리카 국가들이 불만이 많았다.[2] 개최국 없이 홈앤드 어웨이 조별 풀리그로 진행되었다.[3] 기권한 우루과이의 대타로 출전[4] 당시만 해도 아프리카 예선은 완전 토너먼트 방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