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인

덤프버전 : (♥ 0)

히브리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셈족
[ 펼치기 · 접기 ]

셈족동셈족†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북서셈족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아랍인(아프리카계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예멘인(아크담족)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남셈족사바인†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셈어파 지역비아랍인 계열 독립국가들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아랍 계열 독립국가들파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다수 거주국가 포함)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
언어셈어파
사상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카르타고 신화))





{{{+1 {{{#fff 이스라엘 왕국 · 유다 왕국 {{{#fff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colbgcolor=#0038b8><colcolor=#fff> 역사 ||출애굽기 | 바빌론 유수 ||
|| 정치 ||이스라엘 왕국/역대 국왕 | 유다 왕국/역대 국왕 ||
|| 종족 ||히브리인(12지파) ||
|| 행정구역 ||예루살렘 | 헤브론 | 사마리아 ||
|| 문화 ||히브리어 | 고대 히브리 문자 | 예루살렘 성전 ||
|| 종교 ||야훼 신앙(원시 유대교) | 메소포타미아 신화 ||
|| 지리 ||가나안 ||




히브리어עִבְרִים
ʿivrím
아람어ܥܸܒ݂ܪ̈ܵܝܹܐ
(ʿiḇrāyē)
고전 그리스어Ἑβραίοι
(Hebraíoi)[1]
라틴어Hebraeī
영어Hebrews

1. 개요
2. 성경에 따른 기원
3. 아브라함 성서에 나오는 인물
4. 후대 민족


1. 개요[편집]


고대에 가나안 지방에 살았던 민족. 이름은 셈의 증손자이자 아브라함의 6대조인 에벨(עֵבֶר)에서 유래했다.[2] '이스라엘인(Israelites)'이라고도 한다. 사마리아사마리아인들과 유대유대인들 그리고 팔레스타인팔레스타인인들이 히브리인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고)


2. 성경에 따른 기원[편집]





성경에 따르면 히브리인들은 야곱의 자손이라 전해진다. 그래서 야곱의 새 이름 '이스라엘'에서 유래하여 '이스라엘인(Israelites)'으로도 불리게 되었다. 12지파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집트에서 12지파가 나올 때 같이 핍박받는 사람들, 즉 노예로 같이 고생하던 사람들도 같이 나왔는데 그때 동족이 아닌 사람들까지 합쳐서 히브리인이 되었다. 솔로몬 사후 9지파와 베냐민 지파 일부는 이스라엘 왕국사마리아인이, 나머지 유다 지파 및 시므온 지파와 베냐민 지파 일부는 유다 왕국유대인이 되었다. 원래 '이스라엘인'이라는 명칭은 북쪽 이스라엘 왕국의 주민들만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남쪽 유다 왕국의 주민들도 '이스라엘인'이라 불리게 된 것은 바빌론 유수 이후에나 와서이다. (참고)

'히브리인'이라는 단어는 12지파 모두를 아우르는 말이지만 로마 시대 이후엔 유대인만을 뜻하는 단어로 쓰이기도 하였다.


3. 아브라함 성서에 나오는 인물[편집]


당연히 대다수가 히브리인이다. 유대인 인물들에 대해서는 유대인 문서 참고.


4. 후대 민족[편집]


  • 사마리아인
  • 유대인
  • 12지파
  • 팔레스타인인[3]

[1] 현대 그리스어로는 Εβραίοι(Evraíoi).[2] 에벨의 히브리어 표기인 에베르(עֵבֶר / ʿéver)에서 히브리어 표기를 약간 고치면 곧 히브리인을 뜻하는 이브리(עִבְרִי / ʿivrí)·이브림(עִבְרִים / ʿivrím)이 된다.[3] 다비드 벤구리온, 츠비 미시나이는 팔레스타인인이 아랍화가 된 히브리인의 후손이라고 정의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21:05에 나무위키 히브리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