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2-23시즌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 문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번 문단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 부분을
, V-리그 출범 이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파일:PinkSpiders_Logo.png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FFFFFF 관련 문서}}}]]}}}
||



파일:PinkSpiders_Logo.png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1][2]
Incheon Heungkuk Life Insurance PinkSpiders
창단1963년(61주년)[3] / 1971년 8월 2일(52주년)
프로출범2005년 2월 15일(19주년)
구단명 변천포항 태광산업 여자배구단 (1971~1991)
포항 흥국생명 여자배구단 (1991~2005)
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5~2009)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9~)
연고지 변천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2005~2009)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2009~)
홈 구장포항체육관 (1991~2005)
유관순체육관 (2005~2009)
인천도원체육관 (2009~2013)
계양체육관 (2013~2021)
삼산월드체육관 (2021~)
클럽하우스흥국생명 연수원
모기업파일:흥국생명로고.png
구단주임형준
단장김여일
감독권순찬
주장김미연
키트 스폰서파일:아식스 로고.svg
홈페이지파일:PinkSpiders_Logo.pn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
챔피언결정전 우승 (4회)
2005-06, 2006-07, 2008-09, 2018-19
정규리그 1위 (5회)
2005-06, 2006-07, 2007-08, 2016-17, 2018-19
KOVO컵 우승 (1회)
2010
{{{#FFFFFF [[배구/한국 세미프로|{{{#ffffff 대통령배-슈퍼리그}}}]] }}} (0회)
-[5]

1. 개요
2. 상세
2.1. 역대 로고와 엠블럼
2.2. 역대 마스코트
3. 역사
3.1. 창단부터 실업시절까지
4. 선수단
5. 응원단
6. 역대 성적
7. 역대 스쿼드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역대 외국인 선수
11. 역대 수상
12. 역대 등번호
13. 역대 트리플 크라운
14. 역대 유니폼
15. 역대 홈구장
16. 비판 및 사건사고
17. 이모저모
18. 둘러보기
1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V-리그의 여자 프로배구팀. 연고지는 인천광역시, 홈구장은 부평구 삼산동에 위치한 인천삼산월드체육관.

모기업은 태광그룹흥국생명, 구단주는 박춘원.

대통령배-슈퍼리그 시절 중위권을 유지하던 팀이었으나 프로출범 이후 황연주김연경을 중심으로 3번의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하며 리그의 신흥 강호로 우뚝섰다. 이후 한동안 암흑기를 거치다 2019년 4번째 우승에 성공, 총 4개의 별을 달았다.

2. 상세[편집]


팀의 마스코트는 분홍색 타란툴라 거미로, 블로킹을 잘 잡아내는 선수를 일컫는 '거미손'에서 유래했다.[6]

핑크스파이더스는 "분홍색 거미"를 뜻하며 부드럽고 유연하면서도 유비무환의 자세로 끊임없이 준비하고 노력하는 팀을 의미한다. 소재가 된 열대/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타란튤라(Tarantula)"라는 거미는 과학적 분석력과 빠른 결단력으로 어떤 돌발 상황에도 순간적인 판단력을 통해 재빨리 행동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 출처

팀 약칭은 흥국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이기도 하다. 그 외의 별명은 보험, 코털생명 등이 있으며 멸칭으로는 망국, 망국생명, 조작생명, 오픈생명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때는 대부분 이라 부른다. 현대건설의 '현건'이나 기업은행의 '기은', 그리고 도로공사의 '도공'처럼 앞자들만 따서 이 팀도 '흥생'이라는 약칭을 쓸 법도 하지만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본 V.리그의 자매구단은 JT 마블러스이다.[7]

2.1. 역대 로고와 엠블럼[편집]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엠블럼 변천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05).png
파일: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09).png
파일:PinkSpiders_Logo.png
2005~2009년2009~2013년2013년~현재

2.2. 역대 마스코트[편집]


파일:20131021101937.gif
창단부터 2009년까지 사용한 타란튤라

파일:흥국생명_타란튤라 거미.gif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한 타란튤라
위의 핑크색 타란튤라 거미는 프로배구 출범 이후부터 구단 엠블렘에 존재했으나, 2007-08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유니폼에까지 등장하기 시작했다. 위치는 주로 바지의 뒷면(...) 시즌마다 그 위치가 조금씩 바뀌긴 했으나 꾸준히 존재감을 알렸다. 2013년부턴 캐릭터라기보단 단순화된 작은 거미 아이콘으로 변경되더니, 2018년부턴 아예 그 자취를 감췄다. [18-19시즌]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_핑커.png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_핑키.png
2020년 공개된 핑커핑키

3. 역사[편집]



3.1. 창단부터 실업시절까지[편집]


파일:535214_81144_3608.jpg
1966년 전국대회에서 우승한 동일방직 여자배구단[8]

흥국생명의 공식 창단은 1971년 태광산업 여자배구단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지만, 실제로는 전신팀이라 할 수 있는 동양방직 남녀배구단[9]이 창단한 1963년으로 볼 수 있다. 태광산업은 1971년 인천에 있다가 해체하는 동일방직 여자배구단을 그대로 인수해 창단했기 때문에 동양방직-동일방직 여자배구단까지 역사를 치면 여자 배구 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팀들 중 하나이다.[10] 1991년에 흥국생명이 구단 운영을 하기 시작하여 흥국생명 여자배구단으로 명칭을 바꾸게 된다.

여자배구팀 중에 오래된 팀이라는 것과는 관계없이 2005년 V-리그가 출범하기 전까지 존재감이 없는 구단이었다. 대통령배-슈퍼리그에서 가장 좋았던 성적이 1994 시즌 3위일 정도. 다만 효성이나 후지필름처럼 참가의 의의를 둔 팀 정도까진 아니였던게, 전국체육대회나 종별선수권대회에서 간간히 뜬금 우승을 할 정도의 전력은 유지했었다. 참고로 과거 실업시절 전국체전에 출전할 때는 과거 태광산업의 본사가 부산광역시에 있었다는 이유로[11] 부산광역시 대표로 출전했었다.

어쨌든 모기업 태광그룹이 넉넉치는 않지만 꾸준하게 지원을 했고, 몇 번의 해체설이 나도는 가운데서도 IMF를 지나서도 현재까지 별 탈 없이 구단을 운영했다. 1990년대 후반에 그리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이 팀의 간판 남순옥(센터), 정은선(레프트), 황명화(센터), 강미선(세터)[12], 양숙경(레프트-라이트), 구기란(리베로)이 가끔 국가대표로 뽑히기도 했다.[13] 그리고 인터넷 초창기인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에 인터넷 카페를 중심으로 한 팬클럽이 가장 활성화된 팀이기도 했다. 그렇게 실업시대가 흘러갔다.


3.2. V-리그 출범 이후[편집]


파일:image_stream.jpg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V-리그 출범 이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문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번 문단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선수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e5007f><tablewidth=100%><width=20%>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fff,#191919>
감독
아본단자
코치
김대경 · 최지완 · 박건휘 · 파룩
스태프
여재기 · 이택규 · 이주현 · 이상화 · 정경훈 · 김태희 · 고윤성 · 이반 ||
|| 아웃사이드 히터 ||1 김다은 · 10 김연경 · 12 정윤주 · 16 양태원 · 17 레이나 · 19 김미연
C
||
|| 아포짓 스파이커 ||13 옐레나 · 14 박현주 ||
|| 미들 블로커 ||4 이주아 · 6 변지수 · 7 김나희 · 11 김수지 · 15 김채연 ||
|| 세터 ||3 박혜진 · 9 박은서 · 18 김다솔 · 21 서채현 · 23 이원정 ||
|| 리베로 ||2 홍다비 · 5 김해란 · 8 도수빈 · 20 박수연 ||
||<-2><bgcolor=#ffffff,#1f2023> 타 V-리그 여자부 구단 명단 ||




5. 응원단[편집]


2021-22 시즌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응원단
응원단장 이범형[14]
장내 아나운서김종덕
치어리더 김새별, 김송은, 김연정, 김유나, 박세아, 박소영, 박재령, 서유림, 이소림, 이미래, 이연진, 이지원, 홍재연

6.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연도순위/팀숫자포스트시즌경기수승점
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55/55위30313
05-061/5우승281711
06-071/5우승24204
07-081/5준우승28244
08-093/5우승281612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09-104/54위28820
10-113/5준우승241311
11-125/65위30131741
12-135/65위3062422
13-146/66위3072319
14-154/64위30151545
15-163/63위30181248
16-171/6준우승30201059
17-186/66위3082226
18-191/6우승3021962
19-203/63위[15]27141348
20-212/6준우승30191156
21-226/76위[16]3092128

7. 역대 스쿼드[편집]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역대 스쿼드
2005-06시즌

번호국적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진혜지레프트183cm1982년 6월 6일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수정세터172cm1984년 2월 14일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라이트177cm1986년 8월 13일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효진센터178cm1985년 1월 12일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구기란리베로170cm1977년 3월 10일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민정센터183cm1985년 8월 12일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현정레프트177cm1986년 12월 20일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레프트192cm1988년 2월 26일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수현레프트176cm1983년 6월 8일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영주세터176cm1980년 9월 24일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태솔센터180cm1986년 4월 12일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여림센터181cm1986년 7월 27일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난연레프트165cm1986년 9월 26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현주 | 김철용

2006-07시즌

번호국적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연주라이트177cm1986년 8월 13일
6파일:미국 국기.svg케이티 윌킨스레프트193cm1982년 5월 10일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구기란리베로170cm1977년 3월 10일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전민정센터183cm1985년 8월 12일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현정레프트177cm1986년 12월 20일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레프트192cm1988년 2월 26일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윤수현레프트176cm1983년 6월 8일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영주세터176cm1980년 9월 24일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태솔센터180cm1986년 4월 12일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상희리베로171cm1988년 4월 17일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효진센터178cm1985년 1월 12일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난연레프트165cm1986년 9월 26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현주

2018-19시즌

번호국적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연경레프트176cm1994년 3월 9일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은서세터174cm2000년 9월 4일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주아센터185cm2000년 8월 21일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리베로168cm1984년 3월 16일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은빈리베로169cm2000년 11월 1일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나희센터180cm1989년 2월 17일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도수빈리베로166cm1998년 6월 21일
11파일:폴란드 국기.svg베레니카 톰시아라이트189cm1988년 3월 18일
12파일:대한민국 국기.svg공윤희레프트179cm1995년 3월 12일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센터190cm1981년 6월 4일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송화세터177cm1993년 3월 12일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채연센터184cm1999년 12월 11일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한비레프트177cm1996년 10월 28일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재영레프트178cm1996년 10월 15일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다솔세터172cm1997년 4월 14일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미연레프트177cm1993년 3월 5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2019-20시즌

번호국적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다은라이트180cm2001년 1월 25일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유안레프트178cm2000년 7월 6일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연경레프트176cm1994년 3월 9일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주아센터185cm2000년 8월 21일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해란리베로168cm1984년 3월 16일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은빈리베로169cm2000년 11월 1일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나희센터180cm1989년 2월 17일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도수빈리베로166cm1998년 6월 21일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은서세터174cm2000년 9월 4일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현주레프트176cm2001년 6월 25일
12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루시아 프레스코라이트195cm1991년 5월 1일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센터190cm1981년 6월 4일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송화세터177cm1993년 3월 12일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채연센터184cm1999년 12월 11일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한비레프트177cm1996년 10월 28일
17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재영레프트178cm1996년 10월 15일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다솔세터172cm1997년 4월 14일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미연레프트177cm1993년 3월 5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2020-21시즌

번호국적이름포지션신장생년월일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다은라이트180cm2001년 1월 25일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현무린레프트167cm2001년 5월 29일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혜진세터177cm2002년 4월 15일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주아센터185cm2000년 8월 21일
5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상미리베로166cm1994년 4월 27일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은빈리베로169cm2000년 11월 1일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나희센터180cm1989년 2월 17일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도수빈리베로166cm1998년 6월 21일
9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은서세터174cm2000년 9월 4일
10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연경레프트192cm1988년 2월 26일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세영센터190cm1981년 6월 4일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현주레프트176cm2001년 6월 25일
15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채연센터184cm1999년 12월 11일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한비레프트177cm1996년 10월 28일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다솔세터172cm1997년 4월 14일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미연레프트177cm1993년 3월 5일
20파일:브라질 국기.svg브루나 모라이스라이트192cm1999년 9월 13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8. 역대 감독[편집]


파일:PinkSpiders_Logo.png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역대 감독|{{{#ffffff 역대 감독}}}]]}}}
{{{-3 {{{#ffffff
(V-리그 출범 이후, 천안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황현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6)
김철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황현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8)
이승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어창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5대6대7대8대
감독 대행
반다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

반다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2011)
차해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감독 대행
신동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류화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9대10대11대
박미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22)
권순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감독 대행
이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감독 대행
김대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아본단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 :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순번 이름 재임 기간 비고
1대박승수1971년 ~ 1973년
2대백대명1973년
3대전호관1973년 ~ 1976년
4대오재월1976년 ~ 1979년
5대석학수1979년 ~ 1980년
6대송세영1980년 ~ 1983년
7대이동련1983년 ~ 1986년
8대김형실1986년 ~ 1989년
9대조배호1989년 ~ 1992년
10대이임1992년 ~ 2000년
대행정용하2000년 ~ 2001년[17]
11대이정철2001년 ~ 2003년
12대황현주2003년 ~ 2006년05-06 시즌 중 경질[18]
13대김철용2006년V1
05-06 시즌 중 선임, 06-07 시즌 시작 전 경질[19]
14대황현주2006년 ~ 2008년V2
08-09 시즌 중 경질[20]
15대이승현2009년08-09 시즌 중 사임[21]
16대어창선2009년 ~ 2010년V3
08-09 시즌 대행 후 선임, 09-10 시즌 중 사임[22]
17대반다이라 마모루2010년 ~ 2011년구단 최초 외국인 감독[23]
09-10 시즌 대행 후 선임, 10-11 시즌 후 사임
18대차해원2011년 ~ 2013년12-13 시즌 중 계약 해지
대행신동연2012년 - 2013년시즌 중 감독 입원으로 수석코치가 감독대행
19대류화석2013년 ~2014년
20대박미희2014년 ~ 2022년구단 최초 여성 감독
V4 & 여성 감독 최초 통합우승
21대권순찬2022년 ~


9. 역대 주장[편집]


파일:PinkSpiders_Logo.png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역대 주장|{{{#ffffff 역대 주장}}}]]}}} (프로화 이후)
||
[ 펼치기 / 접기 ]

2005~20072007~20092009~20102010~20132013~2017
이영주이효희한송이 황연주김사니김나희
2017~20202020~20212021~현재
김해란김미연 김연경김미연




10. 역대 외국인 선수[편집]


시즌등번호이름등록명포지션국적
2006-076번케이티 윌킨스윌킨스레프트파일:미국 국기.svg
2007-0811번마리 헬렌마리파일:브라질 국기.svg
2008-0911번카리나 오카시오카리나파일: 푸에르토리코 기.svg
2009-10
2010-115번미아 예르코프미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11-12
2012-1312번휘트니 도스티휘트니파일:미국 국기.svg
2013-1416번엘리사 바실레바바실레바파일:불가리아 국기.svg
2014-159번레이첼 루크루크라이트파일:호주 국기.svg
2015-1613번테일러 심슨테일러레프트파일:미국 국기.svg
2번알렉시스 올가드알렉시스센터
2016-179번타비 러브러브라이트파일:캐나다 국기.svg
2017-18테일러 심슨심슨레프트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나 킥카 미카일렌코크리스티나라이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2018-1911번베레니카 톰시아톰시아레프트, 라이트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2012번줄리아 파스구치파스구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시아 프레스코루시아라이트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0-21루시아 프레스코루시아라이트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번브루나 모라이스브루나라이트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2212번캐서린 벨캣 벨라이트파일:미국 국기.svg
2022-23옐레나 므라제노비치옐레나라이트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11. 역대 수상[편집]



11.1. V-리그 챔피언결정전[편집]


파일:PinkSpiders_Logo.png
★★★★
파일:챔결_흥국생명_V1.jpg
파일:챔결_흥국생명_V2.jpg
파일:챔결_흥국생명_V3.jpg
V1, V2, V3 MVP 김연경
파일:챔결_흥국생명_V4.jpg
V4 MVP 이재영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포지션결과개인 성적비고
2005-06김연경레프트3승 2패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4위, 리시브 2위통합 MVP
2006-073승 1패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2위, 리시브 2위통합 MVP
2008-093승 1패득점 3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1위, 리시브 1위
2018-19이재영3승 1패득점 2위, 공격 3위, 서브 2위, 디그 4위, 리시브 4위통합 MVP
※ 개인 성적은 챔피언결정전의 선수 순위를 참고해 각 부분별 순위 당 전체 5위 내에 든 경우만 기재한다.
※ 공격 부분의 세부 항목(예: 오픈공격)은 기재하지 않는다.

역대 우승감독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취임연도정규 승률챔결 승률비고
2005-06김철용2006년0.6070.600통합우승[1]
2006-07황현주2006년0.8330.750통합우승
2008-09어창선2009년0.5710.750[2]
2018-19박미희2014년0.7000.519통합우승
[1] 정규시즌 황현주 감독 지휘[2] 정규시즌 황현주 감독 지휘

11.2. V-리그[편집]


역대 정규리그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포지션개인 성적비고
2005-06김연경레프트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12위통합 MVP
2006-07득점 2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10위, 리시브 4위통합 MVP
2007-08득점 2위, 공격 1위, 서브 3위, 디그 10위, 리시브 4위
2016-17이재영득점 6위, 공격 8위, 서브 8위, 리시브 1위
2018-19득점 2위, 공격 7위, 서브 18위, 디그 7위, 리시브 11위통합 MVP
2020-21김연경레프트득점 6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5위, 리시브 12위

역대 신인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포지션개인 성적드래프트 순위출신 학교
2005황연주라이트득점 230점, 경기당 17.69점1라운드 2순위한일전산여고
2005-06김연경레프트득점 756점, 경기당 27.00점1라운드 1순위
2014-15이재영득점 374점, 경기당 13.85점1라운드 1순위선명여고
2017-18김채연센터득점 109점, 경기당 3.89점1라운드 5순위수원전산여고
2019-20박현주레프트득점 103점, 경기당 4.12점2라운드 1순위중앙여고
※ 공격수인 경우 정규시즌의 총득점과 경기당 평균 득점을 기재한다.
※ 공격수가 아닐 경우 해당 포지션의 상세 성적을 기재한다.(예: 세터-세트)

역대 기록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포지션/부문기록 상세비고
2005황연주라이트/백어택상후위공격 성공률 29.94%
라이트/서브상서브 세트당 0.31기록상 2관왕
2005-06김연경레프트/득점상총득점 756점
레프트/공격상공격 성공률 39.68%
레프트/서브상서브 세트당 0.41기록상 3관왕
2006-07레프트/공격상공격 성공률 45.07%공격상 통산 2회
황연주라이트/서브상서브 세트당 0.36서브상 통산 2회
이영주세터/세터상세트 세트당 11.56
2007-08김연경레프트/공격상공격 성공률 47.59%공격상 통산 3회
이효희세터/세터상세트 세트당 10.83세터상 통산 2회
2008-09김연경레프트/서브상서브 세트당 0.37서브상 통산 2회
이효희세터/세터상세트 세트당 11.87세터상 통산 3회

역대 베스트7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이름포지션포지션 기록비고
2015-16이재영레프트리시브 3위, 득점 7위, 공격 9위, 서브 5위
2016-17리시브 1위, 득점 6위, 공격 8위, 서브 8위베스트7 통산 2회
김수지센터블로킹 4위, 득점 15위, 서브 18위
조송화세터세트 1위
한지현리베로수비 1위
2017-18이재영레프트리시브 2위, 득점 5위, 공격 10위, 서브 10위베스트7 통산 3회
2018-19톰시아라이트득점 3위, 공격 4위, 서브 12위
이재영레프트리시브 11위, 득점 2위, 공격 7위, 서브 18위베스트7 통산 4회
2019-20리시브 5위, 득점 5위, 공격 4위, 서브 X베스트7 통산 5회
2020-21김연경득점 6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5위, 리시브 12위

역대 월간/라운드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월/라운드이름포지션팀 성적개인 성적[1]
2005-0612월김연경레프트7승 2패알 수 없음
1월황연주라이트5승 4패
2006-071월김연경레프트7승 1패
2007-0812월7승 1패
2008-092라운드카리나라이트3승 1패득점 1위, 공격 3위, 서브 1위, 블로킹 3위
3라운드김연경레프트3승 1패득점 5위, 공격 1위, 서브 5위, 리시브 3위
2011-123라운드김사니세터3승 1패세트 2위, 디그 5위
2014-156라운드이재영레프트3승 2패득점 7위, 공격 5위, 서브 1위, 리시브 5위
2015-161라운드4승 1패득점 6위, 공격 3위, 서브 1위, 디그 9위, 리시브 6위
2016-172라운드4승 1패득점 6위, 공격 5위, 서브 8위, 디그 7위, 리시브 1위
2018-193라운드4승 1패득점 2위, 공격 6위, 디그 10위, 리시브 8위
6라운드4승 1패득점 3위, 공격 7위, 디그 9위
2020-211라운드김연경5승득점 5위, 공격 5위, 서브 1위, 디그 6위
4라운드이재영5승득점 3위, 공격 3위, 서브 1위, 리시브 3위
[1] 월/라운드 기준

기타 수상
2009-10페어플레이상황연주
2010-11베스트세러머니상김사니
베스트드레서상한송이
2013-14페어플레이상김혜진

11.3. V-리그 올스타전[편집]


역대 올스타전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결과성적비고
2007황연주라이트2:1 승13득, 공성 47.06%
2019이재영레프트2:1 승5득, 공성 18.75%

역대 올스타전 기타 수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부문비고
2006김연경레프트스파이크서브 퀸속도 78km/h
2007윌킨스라이트속도 92km/h
2009카리나속도 94km/h
2010김혜진센터세러모니상
2012미아라이트
2013김혜진센터
2014바실레바라이트

11.4. KOVO컵[편집]


역대 KOVO컵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성적비고
2010김연경레프트결승전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위

역대 KOVO컵 MI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성적비고
2020김연경레프트

역대 KOVO컵 라이징 스타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성적비고
2020이주아센터

11.5. 한·일 V리그 TOP매치[편집]


역대 한·일 V리그 TOP매치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이름포지션성적비고
2009김연경레프트알 수 없음

12. 역대 등번호[편집]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등번호역대 선수 목록현재 선수
1진혜지(2005.12~2007) - 배효진(2010~2011) - 정시영(2011~2018) - 신연경(2018~2019)김다은(2019~)
2박지원(2011~2013) - 알렉시스 올가드(2015~2016) - 이호빈(2016~2018) - 이유안(2019~2020) - 현무린(2020~2021) - 전현경(2021)
3이수정(2005~2006) - 우주리(2011~2015) - 신연경(2015~2018) - 박은서(2018~2019) - 신연경(2019~2020)박혜진(2020~)
4황연주(2005~2010) - 김사니(2010~2013) - 임해정(2015~2018)이주아(2018~)
5박수경(2005) - 이효희(2007~2010) - 미아 예르코프(2010~2012) - 나혜원(2012~2013) - 한지현(2013~2017) - 김해란(2017~2020) - 박상미(2020~2021)김해란(2021~)
6주미경(2005) - 최효진(2005.12~2006) - 윌킨스(2006~2007) - 주예나(2008~2016) - 한지현(2017~2018) - 남은빈(2018~2021)변지수(2021~)
7구기란(2005~2007)김나희(2008~)
8전민정(2005~2012) - 김혜선(2012~2017)도수빈(2018~)
9이현정(2005.12~2008) - 김지애(2008~2011) - 정민정(2012~2014) - 레이첼 루크(2014~2015) - 타비 러브(2016~2017) - 테일러 쿡(2017~2018)박은서(2019~)
10우승민(2005) - 김연경(2005.12~2009, 2020~2021, 2022~)김연경(2022~)
11윤수현(2005~2007) - 마리 헬렌(2007~2008) - 카리나 오카시오(2008~2010) - 김유리(2011~2012) - 윤혜숙(2013~2014) - 김수지(2014~2017) - 베레니카 톰시아(2018~2019) - 줄리아 파스구치(2019) - 박현주(2019~2020) - 이다영(2020~2021)박현주(2021~)
12이영주(2005~2007) - 태솔(2007~2008) - 한송이(2008~2011) - 휘트니 도스티(2012~2013) - 공윤희(2013~2019) - 루시아 프레스코(2019~2020) - 캐서린 벨(2021~2022)
13태솔(2005~2007) - 김나희(2007~2008) - 태솔(2008~2010) - 박성희(2011~2014) - 테일러 쿡(2015~2016) - 황현정(2017~2018) - 김세영(2018~2021) - 최윤이(2021)
14이여림(2005~2006) - 조상희(2006~2010) - 나혜원(2011~2012) - 조송화(2012~2020) - 박현주(2020~2021)정윤주(2021~)
15우주리(2007~2008) - 김혜선(2009~2012) - 조영은(2012~2014) - 이수정(2015~2016)김채연(2018~)
16최효진(2005) - 조난연(2005.12~2006) - 최효진(2006~2007) - 전유리(2007~2012) - 한지현(2012~2013) - 엘리사 바실레바(2013~2014) - 이한비(2015~2021)박상미(2021~)
17조난연(2006~2008) - 우주리(2008~2011) - 이진화(2012~2014) - 이재영(2014~2021) - 현무린(2022)
18김다솔(2015~)[24]
19유서연(2016~2017) - 김채연(2017~2018)김미연(2018~)
20정유리(2014~2015) - 남지연(2017~2018) - 브루나 모라이스(2021)박수연(2021~)


13. 역대 트리플 크라운[편집]


통산선수 시즌 경기 날짜 상대팀 득점
1호황연주2005-20062006년 1월 7일현대건설34점 (후위 8 서브 3 블로킹 3)
2호김연경2005-20062006년 2월 3일GS칼텍스43점 (후위 10 서브 4 블로킹 3)
3호윌킨스2005-20062007년 2월 10일현대건설27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4호2005-20062007년 2월 11일KT&G26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5)
5호2005-20062007년 3월 25일현대건설22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6호황연주2007-20082007년 12월 1일KT&G30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3)
8호김연경2007-20082007년 12월 9일도로공사27점 (후위 5 서브 4 블로킹 3)
10호카리나2008-20092008년 11월 22일KT&G18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7)
13호2008-20092008년 12월 17일GS칼텍스30점 (후위 6 서브 3 블로킹 3)
14호황연주2008-20092009년 1월 10일KT&G15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3)
15호김연경2008-20092009년 1월 29일현대건설30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25호휘트니2012-20132012년 11월 4일기업은행44점 (후위 9 서브 4 블로킹 4)
31호2012-20132013년 2월 6일도로공사37점 (후위 7 서브 6 블로킹 5)
43호바실레바2013-20142014년 3월 11일도로공사46점 (후위 13 서브 3 블로킹 6)
48호루크2014-20152014년 11월 29일GS칼텍스40점 (후위 15 서브 3 블로킹 3)
61호이재영2019-20202020년 2월 20일인삼공사26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4)

14. 역대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역대 홈구장[편집]


남자부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홈구장을 같이 썼지만 경기 입장수익을 현대캐피탈 측이 싹쓸이하는 바람에 갈등이 깊어졌고[26] 결국 국민은행 여자농구단과 함께 천안에서 쫓겨났다.
천안에서 퇴거 조치된 후 인천광역시로 연고지를 이전했고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홈구장을 같이 쓰게 됐다. 인천에 와서도 남자부 구단과 동거하게 됐지만 입장수익 부분에서는 대승적 합의를 본 모양인지[27] 큰 갈등 없이 동거를 이어갔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건립된 새 경기장으로 옮겼다. 다만 계양체육관에 입주할 때도 경기장 사용 우선권은 대한항공이 쥐고 있었다.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전자랜드 농구단을 인수한 후 연고지를 대구광역시로 옮기면서 삼산체육관이 공실이 되어, 계양체육관보다 교통편이 좋다고 생각한 흥국생명 구단 측이 스스로 홈구장을 옮기게 됐다.

16. 비판 및 사건사고[편집]


프로배구 구단 중에서 손 꼽히는 역대급 사건사고를 자랑한다. 약물도핑부터 승부조작, 이적갈등, 방역위반, 거짓언플, 선수갑질, 학폭사태 등 별도 사건사고 문서 뿐 아니라 워낙 굵직한 논란이 많아서 하위 문서도 줄줄히 생성되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비판 및 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이모저모[편집]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07).jpg
흥국생명 “핑크색으로 말해요”




파일:이휘재 흥국생명.jpg




18. 둘러보기[편집]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



19. 관련 문서[편집]


[1] 구단 측이 밀어주는 이름이자 경기장에 설치된 각종 설치물에 표기된 구단명은 흥국생명배구단 핑크스파이더스이다. 현재는 잘 볼 수 없는 구단명 구조이지만 과거에는 두산프로야구단 OB 베어스럭키금성프로야구단 LG 트윈스 등의 형태로 구단명이 등장했던 시절이 있었다.[2] 하지만 KOVO에 등록된 팀명과 중계방송시에 캐스터들이 언급하는 팀명은 연고지명인 인천을 포함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맞다. 그럼에도 여전히 구단 측이 제작한 공식 홍보물 어디에도 '인천'이라는 표기는 없다, 더군다나 같이 인천이 연고지인 대한항공이 팀명부터 경기장 설치물 그리고 작전역에도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프로배구단”이라고 크게 표기해 홍보해서 비교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선수들 마저 SNS 자기소개에 영어로 인천까지 포함시켜 등록해놨는데도 개선의지가 없다. 다른 인천 연고지팀들이 인천을 강조하는 응원,홍보를 잘해서 더 비교된다. 그럼 제발 고쳐 다른 여자부 5개팀들을 포함해 대한항공에 비교해서 흥국생명 프런트가 연고지에 관심이 없다는걸 알려주는 대목.[3] 전신인 동양방직 남녀배구단의 창단 연도 포함 시.[4] 인스타그램에 비해 업데이트 속도가 더디다. 시즌 초반에만 조금 올리고 없는 편.[5] 역대 최고 성적 - 3위 : 2회(1994, 1998) [6] 다만 2017년을 마지막으로 타란튤라 거미는 유니폼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팀 로고에도 이름으로만 남아있을뿐.[7] 프로 출범 초기에는 일본에서 훈련과 연습경기를 가지는 등 교류가 활발했다. 그리고 2009년 팀의 슈퍼스타였던 김연경의 첫 번째 해외 진출 구단도 이 팀이었다. 대외적으론 김연경의 이적과 자매구단 여부는 큰 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김연경을 탐냈던 일본 리그의 4개 팀 중 굳이 최하위인 JT로 임대로 보내진건 자매구단이라서가 중론이다.[18-19시즌] 리뉴얼 된 유니폼 바지 뒷면에 아이콘 프린팅으로 재등장하였다[8] [인천일보 연중기획] 38년만에 돌아온 '거미군단' 인천배구 도약 '강스파이크'[9] 훗날 동일방직으로 개명하며, 남자배구단은 해체된다.[10] GS칼텍스은 1970년 창단하면서 1965년에 대전방직으로 창단해 경성방직으로 이어져 오던 구단을 인수했다. 비슷하게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도 1977년 창단하면서 1963년 창단해 1977년 해산한 한국산업은행 여자배구단을 인수했다.[11] 현재도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태광산업 공장과 흥국금융플라자가 있다.[12] 현재 세화여자고등학교 배구부 총감독.[13] 그 중에서도 구기란은 '여자부의 이호'급의 선수로 2002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리베로 부문 최고선수상을 받기도 했다.[14] 이범형 단장이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응원으로 자리를 비울 경우 한재권 응원단장이 대타로 나선다.[15]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3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시즌 우승팀은 없다.[16]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6위가 되었다.[17] 89-90 시즌 조배호감독 시절 코치로 임용되어 이임감독 시절까지 10년이상 재직. 성적부진으로 이임감독이 총감독으로 사실상 경질된 이후 대행으로 한시즌. [18] 같은 계열 재단 세화여고 감독으로 이동[19] 종교갈등등으로 인한 선수단 반발로 팀성적과 관계없이 해임[20] 시즌 후 현대건설 감독으로 선임[21] 같은 계열 재단 세화여고 감독이 시즌 중 선임되었으나 성적부진으로 2개월여만에 시즌도 끝내지 못하고 자진 사퇴. 한 시즌에 감독 2명이 바뀌고, 어창선 대행까지 3명의 감독이 있던 전무후무한 기록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 기록은 21-22 시즌 IBK 기업은행에 감독/대행이 4명 임명되면서 깨진다. [22] 04-05 시즌부터 코치로, 06-07 시즌부터 수석코치로 있다가 내부 승진.[23] 오랜 일본 실업팀 및 대표팀 코치경력 후 09-10 시즌 어창선 감독 체제의 수석코치로 부임했으나 어창선 감독의 갑작스런 사임 후 대행을 거쳐 시즌 후 감독으로 내부 승진. 10-11 시즌 후 2년간 별거했던 가족과 합치기 원한다며 사임. #. 계속 감독 대행이었다는 일부 오해가 있지만, 흥국생명 역사관에 정식 17대 감독으로 나와 있다. V-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24] 2016-17 시즌까지는 개명 전 이름인 김도희.[25] 10번을 달라는 선수가 없지는 않았지만 구단이 못 쓰게 막았다. 2010년 오프시즌 KOVO컵 당시 김연경이 잠깐 귀국해 10번을 달고 뛴 것을 보면 김연경만 쓰게끔 봉인한 것이 맞다.[26] V리그 출범 당시 남녀 배구단의 연고지와 체육관이 같을 경우 남자 배구단이 입장수익을 가져간다는 원칙 조항이 있었다고 한다.[27] 흥국생명에 앞서 인천에 연고를 뒀던 GS칼텍스 배구단은 인천 홈경기 일부의 입장수익을 챙겨갔다고 한다.[28] 한송이-임유진 쌍포 vs 김연경-황연주 쌍포[29] 김민지-나혜원 쌍포 vs 김연경-황연주 쌍포. 그렇지만 정작 2007-08 GS칼텍스의 MVP는 정대영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8 21:25:27에 나무위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18:29:38에 나무위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