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존 템플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조지 1세
초대
로버트 월폴
조지 2세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로버트 월폴스펜서 컴프턴헨리 펠럼토머스 펠럼홀리스
제5대제6대
윌리엄 캐번디시토머스 펠럼홀리스
조지 3세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토머스 펠럼홀리스존 스튜어트조지 그렌빌찰스 왓슨 웬트워스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대 윌리엄 피트오거스트 피츠로이프레더릭 노스찰스 왓슨 웬트워스
제14대제15대제16대제17대
윌리엄 페티윌리엄 캐번디시벤딩크윌리엄 피트헨리 에딩턴
제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윌리엄 피트윌리엄 윈덤 그렌빌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스펜서 퍼시벌
제22대
로버트 뱅크스 젱킨슨
조지 4세
제22대제23대제24대제25대
로버트 뱅크스 젱킨슨조지 캐닝프레더릭 존 로빈슨아서 웰즐리
윌리엄 4세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아서 웰즐리찰스 그레이윌리엄 램아서 웰즐리
제29대제30대
로버트 필윌리엄 램
빅토리아
제30대제31대제32대제33대
윌리엄 램로버트 필존 러셀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34대제35대제36대제37대
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헨리 존 템플
제38대제39대제40대제41대
존 러셀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제42대제43대제44대제45대
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로버트 게스코인세실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제46대제47대제48대제49대
로버트 게스코인세실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아치볼드 프림로즈로버트 게스코인세실
에드워드 7세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로버트 게스코인세실아서 밸푸어헨리 캠벨배너먼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조지 5세
제52대제53대제54대제55대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앤드루 보너 로스탠리 볼드윈
제56대제57대제58대제59대
램지 맥도널드스탠리 볼드윈램지 맥도널드스탠리 볼드윈
에드워드 8세
59대
스탠리 볼드윈
조지 6세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스탠리 볼드윈네빌 체임벌린윈스턴 처칠클레멘트 애틀리
제63대
윈스턴 처칠
엘리자베스 2세
제63대제64대제65대제66대
윈스턴 처칠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알렉 더글러스 흄
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해럴드 윌슨에드워드 히스해럴드 윌슨제임스 캘러헌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마거릿 대처존 메이저토니 블레어고든 브라운
제75대제76대제77대
데이비드 캐머런테레사 메이보리스 존슨




헨리 존 템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윌리엄 페티토머스 타운젠드프레더릭 노스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토머스 타운젠드윌리엄 그렌빌헨리 던다스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토머스 펠럼찰스 필립 요크로버트 젠킨슨조지 스펜서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로버트 젠킨슨리처드 라이더헨리 애딩턴로버트 필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윌리엄 스터지스 본헨리 페티피츠모리스로버트 필윌리엄 램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존 폰슨비아서 웰즐리헨리 골번존 러셀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콘스탄틴 핍스제임스 그레이엄조지 그레이스펜서 호레이쇼 월폴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헨리 존 템플조지 그레이스펜서 호레이쇼 월폴토머스 소더론에스트코트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조지 콘월 루이스조지 그레이스펜서 호레이쇼 월폴개손 개손하디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헨리 브루스로버트 로우R. A. 크로스윌리엄 하코트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R. A. 크로스휴 칠더스헨리 매튜스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매튜 화이트 리들리찰스 리치아레터스 아커스더글러스허버트 글래드스턴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윈스턴 처칠레지널드 맥케나존 시먼허버트 새뮤얼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조지 케이브에드워드 쇼트윌리엄 브리지먼아서 헨더슨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윌리엄 조인슨힉스존 로버트 클라인즈허버트 새뮤얼존 길모어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존 시먼새뮤얼 호어존 앤더슨허버트 모리슨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도널드 소머벨제임스 처터 에데데이비드 맥스웰 파이프그윌림 로이드 조지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랩 벌터헨리 브루크프랭크 소스키스로이 젠킨스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제임스 캘러헌레지널드 머들링로버트 카로이 젠킨스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멀린 리스윌리엄 화이트로레온 브리탠더글러스 허드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데이비드 워딩턴케네스 베이커케네스 클라크마이클 하워드
제85대제86대제87대제88대
잭 스트로데이비드 블런켓찰스 클라크존 리드
제89대제90대제91대제92대
재키 스미스앨런 존슨테레사 메이앰버 루드
제93대제94대제95대제96대
사지드 자비드프리티 파텔수엘라 브레이버먼그랜트 섑스
제97대제98대
수엘라 브레이버먼제임스 클레벌리




[ 펼치기 · 접기 ]

영국 외무부장관 (1782~1968)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찰스 제임스 폭스토머스 로빈슨찰스 제임스 폭스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프랜시스 오스번윌리엄 그렌빌로버트 젠킨슨더들리 라이더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헨리 핍스찰스 제임스 폭스찰스 그레이조지 캐닝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헨리 배스러스트리처드 웰즐리로버트 스튜어트조지 캐닝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존 워드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아서 웰즐리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헨리 존 템플조지 해밀턴고든헨리 존 템플그렌빌 레베슨고어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제임스 해리스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제임스 해리스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존 러셀조지 빌리어스에드워드 스탠리조지 빌리어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그렌빌 레베슨고어에드워드 스탠리로버트 개스코인세실그렌빌 레베슨고어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아치볼드 프림로드스태퍼드 노스코트로버트 개스코인세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아치볼드 프림로즈존 우드하우스로버트 개스코인세실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에드워드 그레이아서 밸푸어조지 커즌램지 맥도널드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오스틴 체임벌린아서 헨더슨루처스 아이작스존 시먼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새뮤얼 호어앤서니 이든에드워드 우드앤서니 이든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어니스트 베빈허버트 모리슨앤서니 이든해럴드 맥밀런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셀윈 로이드알렉 더글러스흄랩 벌터패트릭 고든 워커
제65대제66대제67대
마이클 스튜어트조지 브라운마이클 스튜어트
영국 외무·영연방부 장관 (1968~2020)
제67대제68대제69대제70대
마이클 스튜어트알렉 더글러스흄제임스 캘러헌앤서니 크로스랜드
제71대제72대제73대제74대
데이비드 오언피터 캐링턴프랜시스 핌제프리 하우
제75대제76대제77대제78대
존 메이저더글러스 허드맬컴 리프킨드로빈 쿡
제79대제80대제81대제82대
잭 스트로마거릿 베케트데이비드 밀리밴드윌리엄 헤이그
제83대제84대제85대제86대
필립 해먼드보리스 존슨제러미 헌트도미닉 랍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장관 (2020~현재)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도미닉 랍리즈 트러스제임스 클레벌리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제35·37대 총리
파머스턴 자작
Rt Hon. The Viscount Palmerston
KG GCB PC FRS MP[1]
파일:Henry_John_Temple,_3rd_Viscount_Palmerston.jpg
본명헨리 존 템플
Henry John Temple
출생1784년 10월 20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미들섹스 웨스트민스터
사망1865년 10월 18일 (향년 80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하트퍼드셔 브로켓 홀
재임기간제35대 총리
1855년 2월 6일 ~ 1858년 2월 19일
제37대 총리
1859년 6월 12일 ~ 1865년 10월 18일
서명
[ 펼치기 · 접기 ]

작위3대 파머스턴 자작[1]
부모아버지 2대 파머스턴 자작[2] 헨리 템플
어머니 메리 미
배우자에밀리 램 자작부인 (1787~1869 / 결혼: 1839)
학력에든버러 대학교 (정치경제학 / 중퇴)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학사)
정당

(1806~1830)


(1830~1859)


(1859~1865)

[1] 3rd Viscount Palmerston.[2] 2nd Viscount Palmerston.
1. 개요
2. 생애
3. 평가



1. 개요[편집]


We have no eternal allies, and we have no perpetual enemies. Our interests are eternal and perpetual, and those interests it is our duty to follow.

우리에겐 영원한 동맹도 없고, 영구한 적도 없다. 우리의 이익만이 영원하고 영구하며, 그 이익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의무이다.[2]

영국의 제35/37대 총리. 19세기 중반에 걸쳐 1855년부터 1865년의 기간 동안 1년 정도의 공백을 두고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였다. 작위명을 따서 흔히 파머스턴 경으로도 불리는 헨리 존 템플은, 총리도 총리지만 외무장관으로 알려진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대영제국이 정점에 오른 시기인 처음 외무장관이 된 1830년부터 총리 재임 중 사망하는 1865년까지 이른바 포함외교 등을 통한 영국의 대외 정책을 주도했다고 평가받는다.


2. 생애[편집]


헨리 존 템플은 1784년 출생하여, 아버지 헨리 템플의 아일랜드 작위[3]를 이어 1802년 3대 파머스턴 자작이 되었다.

1807년 토리당 하원의원이 되었고, 1809년부터 1828년까지 그는 전시장관(Secretary at War)에 재임하여 군 재정을 담당했다. 그는 조지 캐닝이 총리가 된 1827년 처음 장관급 직위를 맡게 되었으나, 다른 친캐닝계 의원들(Canningites)처럼 1년 뒤 사임하게 된다.

1830년 휘그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이때도 파머스턴은 1830년부터 1834년까지, 1835년부터 1841년까지,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외무장관(Foreign Secretary)을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외무부에서 유럽에서 연이어 발생한 충돌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했다.

1852년 애버딘 총리는 연립정부를 꾸렸다. 그런데 로버트 필 전 총리를 지지하던 의원들은 파머스턴이 아닌 존 러셀 전 총리가 외무장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파머스턴에게 그 대신에 내무장관(Home Secretary)를 맡도록 압박하였다. 이에 파머스턴은 내무장관을 맡은 후, 비록 선거 개혁에는 반대했으나, 여러 사회 개혁을 제정했다. 그리고 애버딘의 연립정부가 1855년의 크림 전쟁 처리로 인하여 붕괴할 때, 파머스턴은 영국 의회 서민원 과반수를 유지할 수 있을 유일한 인물이었으며, 그렇게 총리가 되었다.

파머스턴은 1855년부터 1858년까지 휘그당 소속 총리로, 휘그당이 기타 세력과 연합해 1859년 창당한 자유당 소속으로는 총리가 되면서 1859년부터 1865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과반수가 넘는 의석수를 달성하였고, 1865년 마지막 총선에서 승리한지 몇 달밖에 안 지난 10월에 8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4]


3. 평가[편집]


파머스턴은 미숙한 인간 관계나 몇몇 정책상의 이견 등으로 빅토리아 여왕과 그 당시 대부분의 정치인들로부터 불신을 받았으나, 대중과 언론의 높은 지지를 유지하는데 능해 그들로부턴 '팜(Pam)'이라는 애정 어린 별명을 듣기도 했다. 데이비드 브라운은 “파머스턴이 대중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점으로는 그의 역동력과 열의가 있었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우리에겐 영원한 동맹도 없고, 영구한 적도 없다. 우리의 이익만이 영원하고 영구하며, 그 이익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의무이다."[5][6][7]라는 연설로 나타나는 그의 대외관은, 모순적이지만 자유적 간섭주의라는 말마따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를 내포했다. 그는 자유무역의 신봉자였고, 쇄국 정책(or 보호무역)을 행하는 나라(ex:청나라)에 대해선 무력을 통해서라도 강제 개방을 시켜 국제적 자유무역 질서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일종의 신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허나 그 방법론이라는 게 포함외교아편전쟁처럼 당시에도, 오늘날까지도 비판받는 부도덕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다는 점에서 비판 역시 피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특히 제2차 아편전쟁의 경우는 당대 영국인들의 시각에서도 지나치게 정당성이 없고 추악한 전쟁이어서 하원에서 관련 안건이 부결될 정도였는데, 하원을 해산시키고 침략 전쟁을 강행한 케이스라서 뭇사람들에게 굉장히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파머스턴 사후 글래드스턴 재임기 반제국주의, 평화주의 노선이 돋보인 자유당을 생각하면 더 아이러니한 부분.

그러나 또 상당수 역사학자들은 그가 큰 위기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점,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한 그의 헌신[8], 뛰어난 분석 능력, 영국의 이해관계에 전념한 점 등을 들어, 헨리 존 템플을 '영국에서 가장 위대했던 외무장관 중 한 명'으로 꼽는데 큰 무리가 없다고 평한다.

내치에서도 1차 선거법 개정으로 유권자를 도시 중산층으로 확대하고[9] 당시 사회문제였던 아동노동을 청소년 야간노동 금지법을 통해 완화시켰으며 가톨릭 차별 금지, 전국민 예방접종 의무화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인도, 청나라, 이탈리아, 벨기에, 스페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그의 정책은 영국에게 광범위하고 오래 지속될 유익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프랑스, 오스만 제국, 미국과의 관계에서는 이와 비교했을 때 더 한시적인 결과만을 보여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1] 전직 서민원 의원임을 표기(Member of Parliament).[2] 훗날 미국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주어를 미국으로 바꿔서 비슷한 말을 했다.[3] 이는 그를 귀족원이 아닌 서민원에 앉게끔 하였다.[4] 참고로 그는 재임 중 사망한 마지막 영국 총리이다.[5] I hold that the real policy of England... is to be the champion of justice and right, pursuing that course with moderation and prudence, not becoming the Quixote of the world, but giving the weight of her moral sanction and support wherever she thinks that justice is, and whenever she thinks that wrong has been done. (...) Therefore I say that it is a narrow policy to suppose that this country or that is to be marked out as the eternal ally or the perpetual enemy of England. We have no eternal allies, and we have no perpetual enemies. Our interests are eternal and perpetual, and those interests it is our duty to follow.[6] 사실 이 연설에 담긴 내용이 바로 영국이라는 국가의 근본적인 외교 정책이었다. 영국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동맹국과 적국을 수시로 바꿨다. 나폴레옹 전쟁 때까지 최대의 적국이었던 프랑스를 나폴레옹 전쟁 이후로는 동맹국으로 대했고, 반면 프랑스의 침공을 받은 스페인을 돕기 위해 군대까지 보냈으나 프랑스를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시키고 나자 영국은 곧바로 대 스페인 정책을 바꾸어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중남미 지역의 독립을 돕기 위해 현지에 영국군 퇴역 장교와 병사들을 용병으로 보내어 중남미 독립군을 돕고 스페인 군대에 맞서 싸우게 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스페인 정부가 영국에 항의했으나 영국은 개의치 않았고, 결국 1820년대에 이르러 중남미 식민지들이 대거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스페인은 국력에 큰 타격을 받고 더 이상 영국을 위협할 힘을 잃게 되었다.[7] 이 말은 훗날 미국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주어를 미국으로 바꿔서 쓰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이름이 같은 헨리다.[8] 그는 많은 충돌에 있어서 영국에게 결정적인 중개역을 마련해주었다.[9] 다만 선거권을 노동자층까지 급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에는 반대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4:53:00에 나무위키 헨리 존 템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