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국 사극/외국인

덤프버전 :

1. 개요
2. 목록
2.1. 삼국시대/남북국시대
2.2. 고려 시기
2.3. 조선 전기~조선 후기
2.4. 조선 말기~대한제국[1]
2.5. 일제강점기 시기
2.6. 대한민국 시기


1. 개요[편집]


한국 사극에서 외국인들을 맡은 사람들을 나열하는 문서.

사료부족으로 고조선을 소재로 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2] 삼국시대 시기부터 해당하는 사극에서 외국인이 등장하며, 실존인물 위주로 추가한다. 주인공의 조력자로 등장해도 역사상으로 외국인일 경우에는 이 항목에 추가하며, 외국인으로 귀화한 경우 또는 외국인이 된 경우에도 추가한다.

외국 국가 원수나 실권자, 조선 총독부 총독 역을 맡았던 배우는 여기 참고.


2. 목록[편집]



2.1. 삼국시대/남북국시대[편집]




2.2. 고려 시기[편집]




2.3. 조선 전기~조선 후기[편집]




2.4. 조선 말기~대한제국[21][편집]




2.5. 일제강점기 시기[편집]


  • 가네코 후미코: 최희서(박열), 반민정(KBS 스페셜 8.15기획 팩션드라마 <가네코 후미코>(2007), KBS 나의 독립영웅(2019))[32], 김하영(신비한 TV 서프라이즈)[33]
  • 구리하라 가즈오: 한건태(박열)
  • 니야마 하쓰요: 윤슬(박열)
  • 나시모토 모리마사(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김진해(왕조의 세월)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마하트마 간디): 원성진(만해 한용운 님의침묵)
  • 무타구치 렌야: 김기주[34](여명의 눈동자)
  • 미와 와사부로: 이재용(야인시대)
  • 미하시 코이치로: 박영지(서울 1945)
  • 왕야차오(王亞樵): 고인범(자유인 이회영)
  • 왕징웨이: 정흥채(자유인 이회영)
  • 이방자: 이휘향(왕조의 세월), 토다 나호(덕혜옹주)
  • 지네트 월터[35]: 윌슨[36](유관순(1959년 영화))
  •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게리슨[37](1919 유관순)
  • 후세 다쓰지: 야마노우치 타스쿠(박열)


2.6. 대한민국 시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08:55:41에 나무위키 한국 사극/외국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종 즉위 시점을 기준.[2] 다만 사료가 있다고 해도 고조선 후기에 적지 않은 중국계 인물들이 고조선에 정착했고, 중간에 연나라에 의해서 영토를 대규모로 상실당한데다가 위만조선 역시 외침으로 멸망했고 이후에 한동안 한사군이 세워졌기 때문에 외국인이 등장하는 것은 필연적이었을것이다.[3] 93화에서 방영되었다.[4] 세종 25년인 1443년에 일본에서 건너와서 대장경 인본을 요청한 승려. 관련 조선왕조실록 기사 일본어 독음은 '고곤'이었을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이 시기 일본은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정식으로 쇼군이 되는 1449년까지 쇼군 자리가 공석이었다.[5]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부로, 김대건 안드레아와 서신을 교환한 인물이다.[6] 헨드릭 하멜과 함께 표류했던 네덜란드인으로, 남북산(헨드릭 얀스 보스)과 함께 청나라 사신 방문시 도주하려던 네덜란드인.[7] 영국의 외교관. 아편전쟁 이후 청나라에 주재했다.[8] 요스트 볼프스빙컬(Joost Wolfswinkel)은 작품이 방영된 1996년 당시, 주한 네덜란드 대사였다.[9] 27화에 출연한다.[10] 중국 배우[11] 기해박해 시기 순교했다.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에 오른 인물이다.[12]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13] 아편전쟁 후 프랑스 극동함대의 제독. 기해박해 7년 뒤인 1846년에 항의서한을 조선 조정에 전달했다.[14] 카톨릭 제3대 조선교구장.[15]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신부. 김대건 안드레아를 가르친 신부다.[16] 중국 배우[17] 동아시아에서 활동한 독일 루터교 선교사. 1832년에 조선에 방문하여 성경 등을 나눠주고 돌아갔다.[18] 파리 외방전교회의 신부. 김대건 안드레아의 교육을 담당했다.[19] 방영시기인 1996년에 주한 네덜란드 대사관의 농무관이었다.[20] 27회에 출연한다.[21] 고종 즉위 시점을 기준.[22] 충정로의 일제강점기 명칭이었던 죽첨정의 어원이 되는 인물.[23] 희한하게도 서양사람인데 한국인이 연기했다.[24]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 제4대 교구장. 병인박해 때 순교.[25] 정동여학당(정신여중정신여고의 전신)을 설립한 의료선교사. 명성황후의 주치의 역할을 하며, 결혼 선물로 금팔찌를 선물로 받기도 한다.[26] 56화에 출연한다.[27] 캐나다 출신 감리교 의료 선교사이다.[28] 신미양요 미군 사령관[29]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6대 교구장[30]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 사령관[31] 임오군란 당시 별기군을 훈련시킨 일본인 교관으로 폭도 손에 살해당한다.[32] 사실 각각의 작품에서 두차례 역할을 맡은 것은 아니고, '나의 독립영웅'의 63회 가네코 후미코 편에서, 2007년에 사용했던 드라마 영상을 재활용했다.[33] 2012년 3월 4일 507화에서 방영되었다.[34] 단, 목소리 연기는 성우 김기현이 하였다.[35] 유관순 열사의 이화학당 스승이다.[36] 크레딧상의 이름. 성으로 추정되며 실제 이름은 불명[37] 이름은 불명이다.[38] 컴패션을 설립한 미국 목사.[39] 크레딧 상에서는 이름이 명시되지 않고 주한미국대사라는 당시 직위명만 나온다.[40] 크레딧 상에서는 이름이 명시되지 않고 한미연합군사령관이라는 당시 직위명만 나오나, 작품의 군복 명찰에 베컴이라고 나온다.[41] 영화 중에서는 덩야핑을 모티브로 한 덩야령이라는 이름으로 출연한다.[42] 영화 중에서는 가오준을 모티브로 한 가오위에라는 이름으로 출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