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 트라고

덤프버전 : (♥ 0)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
파일:PTUx1ET.jpg
TRAGO

1. 개요
2. 역사
2.1. 1세대 트라고 (GV, 2006~2013)
3. 특징
4. 미디어에서
5. 둘러보기
6. 관련 문서


HYUNDAI TRAGO[* 'TRAnsport and GO for success'의 약자로, 고객에게 성공을 기원한다는 뜻이다.] / TRAGO XCIENT

1. 개요[편집]


현대자동차뉴파워트럭의 마이너 체인지 모델이자 상급 모델로 독자 개발한 대형 트럭이다. 1세대 트라고는 뉴파워트럭을 복사하여 내외장을 변형시킨 수준이었지만 2세대부터는 완전 독자 개발로 설계되었다(풀 체인지). 적재 중량 중 최저로 사용하는 등급은 9.5톤급이며 그 이하는 뉴파워트럭이 사용하는 중이다.


2. 역사[편집]



2.1. 1세대 트라고 (GV, 2006~2013)[편집]


파일:Hyundai_Trago.jpg
2006년 9월 19일에 뉴파워트럭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자 고급 모델로 출시됐다. 실내도 메가트럭/뉴파워트럭과 다른 느낌을 줬고, 현대 상용차 최초로 4스포크 스티어링 휠, 디지털 액정이 들어간 신형 클러스터가 적용됐다.

8톤 이상 대형 트럭 부문에서 현대차가 순수한 독자 기술로 개발한 첫 모델이며, 3년 동안 800억 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되었다. 기존의 무겁고 얇고 갯수가 엄청 많은 멀티 리프 서스펜션을 사용한 일본 미쓰비시 후소 기반 섀시에서 가볍고 두껍고 갯수가 적게 들어가면서도 가벼운 파라볼릭 리프 스프링을 사용하고 적재 용량이 큰 자체개발 유럽형 섀시로 바뀌었으며[1], 캡과 서스펜션의 개선을 통해 슈퍼트럭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승차감이 향상되었다. 기존의 슈퍼트럭에 비해 가속 능력이 9.4%, 등판 능력이 2% 향상되었다. 또한, 연비가 7% 향상되었고 트랙터와 24톤급 덤프트럭은 당시 동급 최고인 2년, 20만㎞의 무상보증 기간이 적용되었다.

헤드램프는 방향지시등이 아래로 내려간 버전과 위로 올라간 버전이 있다. 후자의 버전이 옵션이다.


2.2. 2세대 트라고 엑시언트 (QZ, 2013~현재)[편집]


파일:Hyundai_Xcient_early.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현대 엑시언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트라고 엑시언트는 2015년에 유로6 버전 모델이 출시되면서 '트라고'라는 이름을 지우고, '엑시언트'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단, 일부 해외 수출명은 트라고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한다.


3. 특징[편집]


카고트럭 시장은 현대자동차타타대우상용차가 유럽산 수입차들을 압살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카고 운송 시장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외국 카고트럭 차량들은 정량 내외의 화물만을 적재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계를 해서 출시하지만, 과적이 일상화되어 있는 대한민국 카고 운송 시장 특성상 몇 년 운행하면 차대가 버티지 못한다고 한다.[2] 이에 비해 현대자동차의 차량들과 타타대우의 차량들은 과적까지 감안하여 차대가 상당히 튼튼하게 나온다고 한다. 과적에 취약하다는 단점과 더불어 수입 트럭들의 잦은 고장과 배째라 형태의 막장 A/S도 이 사태로 국산 트럭의 점유율이 상승했다.

하지만 2세대 모델인 엑시언트가 전 세대보다 잔고장이 배로 늘어나고 품질이 저하되면서 싼타페처럼 누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조립 불량이 발견되기도 한다.[3] 그래서 엑시언트는 카고를 제외하면 수입 트럭에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다.


4. 미디어에서[편집]


  • 영화 옥자에서 ALF의 차량으로 나온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
[ 연대별 구분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승용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60​년대
코티나 · 포드 20MR버스-
19​70​년대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19​80​년대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포터 · 마이티
19​90​년대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 (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중형트럭 · 슈퍼트럭
20​00​년대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투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20​10​년대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20​20​년대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바이욘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7예정HD50S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차급별 구분 ]

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경차i10 · 아우라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소형​차엑센트 · i20 · HB20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준중형​차아반떼 · i30 · 라페스타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중형​차쏘나타 · 아이오닉 6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준대형​차그랜저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대형​차-에쿠스
스포츠​카-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SUV
경형 SUV캐스퍼 · 엑스터-
소형 SUV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바이욘-
준중형 SUV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중형 SUV싼타페 · 넥쏘갤로퍼
준대형 SUV팰리세이드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싼타크루즈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MP​V
소형 MPV-라비타 · ix20
준중형 MPV스타게이저싼타모
중형 MPV쿠스토트라제 XG
준대형 MPV-앙투라지
대형 MPV스타리아스타렉스
캠핑카포레스트-
상용​차
소형버스쏠라티그레이스 · HD1000
준중형버스카운티 · HD50SD버스 · 코러스
중형버스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일렉시티 타운-
준대형버스슈퍼 에어로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대형버스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소형트럭포터 · H350HD1000 · 리베로
준중형트럭마이티-
중형트럭루이웨/홍투 · 파비스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준대형트럭뉴파워트럭-
대형트럭엑시언트대형트럭 · 트라고

파일:현대 N 로고.svg · 파일:아이오닉 로고.svg · 콘셉트 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경전차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M4A3 (76) W HVSSR, T-34-85C/R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M48(A1/A2C) 패튼R, M48(A3KR / A5K · K2 · KW) 패튼M
2세대Tiran-6X/R, T-72M1X/R, M60X/R
3세대K-1, K-1A1, T-80U
3.5세대K-1E1, {K-1E2}, K-1A2, {K-1A3}, K-2 흑표
장갑차차륜형M8 LACR,M20 유틸리티 카R, KM900R,F UR-416X/R, M706R, 바라쿠다, K806/808 백호, 블루샤크, RG-31 니알라 Mk.3L
궤도형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AAV-II}, K200(A1), K277, BMP-3, K-21({PIP}), AS-21 레드백X,
K533 · 534, K-77, K-10, K-56, KAFV
차량
소형K151 현마, K131, K111, 전역차륜차량, 샌드캣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K-100R
트럭닛산 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NONE, {K351},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A1), K800R, K911, K409 TEL, K501 TEL, K-91X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R, CCKWR, M1224 MaxxPro Dash MRAP,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자주포자주곡사포M107R, M110R, K-55(A1), K-9(A1/{A2/}{A3}), K105A1 풍익, 곡산 170mmX/R
자주박격포K242(A1), K281(A1), K532, KSM-120 비격
대전차 자주포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자주대공포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K-30 비호, K-30 SAM 비호복합, K-30W 천호
자주대공
미사일
K-31 천마
다연장로켓M270(A1) MLRS, K-136 구룡 I/II, K-239 천무
대포병 레이더AN/TPQ-36, 37, 아서-K, TPQ-74K 천경-II
공병 차량구난차량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경구난차량, KAAVR7A1
AEVKM9 ACE, M728 X/R/?, K-600 코뿔소
교량 차량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KM3 자주도하장비}
기타K-313, K-512, K-351 정비밴
대테러부대용 차량S5 장갑차, 렌코 베어캣
프로토타입중형표준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4:41:02에 나무위키 현대 트라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앞사발이 모델의 경우 기존은 일본과의 기술제휴로 들여오던 차량들처럼 캡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는 형태였으나 트라고부터는 슬리퍼캡을 적용하고도 캡이 앞으로 많이 튀어나와 있지 않다.[2] 실제로 히노 레인저의 차대가 과적 무게를 못 이기고 휘어버리는 사태가 발생한 적이 있다. 물론 현재는 보완되었다. 90년대 후반 현대 91A 23톤 덤프 3TH 모델에서도 자주 일어나던 일들 중 하나이다.[3] 다만, 이는 차량별로 다른 듯한데, 누수는 현재진행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