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칸 영화제/여우주연상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칸 영화제



파일:prixdinterpretationfeminine.jpg

1. 개요
2. 특징
3. 수상자
3.1. 2회 이상 수상자


1. 개요[편집]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Prix d'interprétation féminine)은 칸 영화제에서 여배우들에게 수여하는 연기상이다. 경쟁 부문에 오른 영화 중에서의 연기를 심사위원들이 평가한 뒤 선정한다. 제1회 칸 영화제가 열린 1946년부터 수여되었으며, 배우들에게 수상을 하지 않은 1947년 제2회 영화제, 영화제가 열리지 않은 1948년과 1950년, 그리고 중간에 영화제가 중단이 된 1968년 제21회 영화제를 제외하고는 모두 시상이 이루어졌다.


2. 특징[편집]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주연과 조연을 가리지 않는다. 다만 1979년 제32회서부터 1981년 제34회까지는 따로 주연상과 조연상을 나누어 시상하였다. 또 심사위원들의 재량에 따라 본상과는 별개로 특별상을 수여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한 영화에서 3명 이상 다수의 출연진이 수상을 한 경우는 4번으로, 1955년 제8회 《Bolshaya semya (대가족)》, 1958년 제11회 《생명에 가까이》, 1988년 제41회 《월드 아파트》, 그리고 2006년 제59회 《귀향》의 경우이다.

이자벨 아자니는 1981년 제34회 영화제에서 《4중주》 / 《퍼제션》으로 수상을 하면서 현재까지 유일하게 두 영화로 한번에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하였다. 또한 바바라 허쉬는 1987년 제40회 영화제에서 《샤이 피플》, 1988년 제41회 영화제에서 《월드 아파트》로 2회 연속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총 여섯 번 받았다. 장만옥 (중국), 한나 라슬로 (이스라엘), 전도연 (한국), 재클린 호세 (필리핀), 사말 예슬리야모바 (카자흐스탄), 메르베 디즈다르 (튀르키예). 의외로 일본 배우가 아직도 받지 못했다.

3. 수상자[편집]


역대 시상식배우작품
1946년 제1회미셸 모르강 파일:프랑스 국기.svg《전원 교향곡》
1947년 제2회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49년 제3회아이사 미란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문을 넘어서》
1951년 제4회베티 데이비스 파일:미국 국기.svg이브의 모든 것
1952년 제5회리 그랜트 파일:미국 국기.svg《형사 이야기》
1953년 제6회셜리 부스 파일:미국 국기.svg《사랑하는 시바여, 돌아오라》
1954년 제7회마리아 쉘[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마지막 다리》
1955년 제8회출연진 전체 파일:소련 국기.svg《Bolshaya semya (대가족)》
1956년 제9회[2]수잔 헤이워드 파일:미국 국기.svg《크라이 투모로우》
1957년 제10회줄리에타 마시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카비리아의 밤》
1958년 제11회여성 출연진 (4) 파일:스웨덴 국기.svg
- 에바 달벡
- 비비 앤더슨
- 바르브로 히오르트 아프 오르네스
- 잉그리드 서린
《생명에 가까이》
타탸나 사모로바[3] 파일:소련 국기.svg《학이 난다》
1959년 제12회시몬 시뇨레 파일:프랑스 국기.svg《꼭대기 방》
1960년 제13회잔느 모로 파일:프랑스 국기.svg《모데라토 칸타빌레》
멜리나 메르쿠리 파일:그리스 국기.svg《일요일은 참으세요》
1961년 제14회소피아 로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두 여인》
1962년 제15회캐서린 헵번 파일:미국 국기.svg《밤으로의 긴 여로》
리타 터싱햄 파일:영국 국기.svg《꿀맛》
1963년 제16회마리나 블라디 파일:프랑스 국기.svg《부부의 침대》
1964년 제17회앤 밴크로프트 파일:미국 국기.svg《펌킨 이터》
바바라 배리 파일:미국 국기.svg《원 포테이토, 투 포테이토》
1965년 제18회사만다 에가 파일:영국 국기.svg《편집광》
베라 쿠즈네초바[4] 파일:소련 국기.svg《노부부가 있었다》
1966년 제19회바네사 레드그레이브 파일:영국 국기.svg《모건》
1967년 제20회피아 디거마크 파일:스웨덴 국기.svg《엘비라 마디간》
1968년 제21회[5]해당 시상식 수상자 없음
1969년 제22회바네사 레드그레이브 파일:영국 국기.svg《맨발의 이사도라》
1970년 제23회오타비아 피콜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메텔로》
1971년 제24회키티 윈 파일:미국 국기.svg《백색 공포》
마리 토로식[6] 파일:헝가리 국기.svg
릴리 다바스[7] 파일:헝가리 국기.svg
《러브》
1972년 제25회수잔나 요크 파일:영국 국기.svg《환상 속의 사랑》
1973년 제26회조앤 우드워드 파일:미국 국기.svg《감마선은 금잔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나?》
1974년 제27회마리-호세 넷 파일:프랑스 국기.svg《무도회의 바이올린》
1975년 제28회발레리 페린 파일:미국 국기.svg《레니》
1976년 제29회도미니크 샌다 파일:프랑스 국기.svg《인헤리턴스》
마리 퇴뢰치크 파일:헝가리 국기.svg《Mrs. Dery Where Are You?(데리 부인, 어디 있나요?)》
1977년 제30회셜리 듀발 파일:미국 국기.svg《세 여인》
모니크 메르퀴르 파일:캐나다 국기.svg《사진사 J.A. 마르땡》
1978년 제31회질 클레이버그 파일:미국 국기.svg《독신녀 에리카》
이자벨 위페르 파일:프랑스 국기.svg《비올렛 노지에르》
1979년 제32회샐리 필드 파일:미국 국기.svg《노마 레이》
조연상 - 에바 마테스 파일:독일 국기.svg《보이체크》
1980년 제33회아누크 에메 파일:프랑스 국기.svg《리프 인 더 다크》
조연상 - 밀레나 드라빅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스페셜 트리트먼트》
조연상 - 칼라 그라비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테라스》
1981년 제34회이자벨 아자니 파일:프랑스 국기.svg《4중주》 / 《퍼제션
조연상 - 옐레나 솔로베이 파일:소련 국기.svg《Faktas》
1982년 제35회야드비가 얀코프스카-키에슬라크 파일:폴란드 국기.svg《또 다른 길》
1983년 제36회한나 쉬굴라 파일:독일 국기.svg《피에라 이야기》
1984년 제37회헬렌 미렌 파일:영국 국기.svg《칼의 고백》
1985년 제38회셰어 파일:미국 국기.svg《마스크》
노마 알레안드로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오피셜 스토리》
1986년 제39회바바라 수코바 파일:독일 국기.svg《로자 룩셈부르그》
페르난다 토레스 파일:브라질 국기.svg《사랑의 미로》
1987년 제40회바바라 허쉬 파일:미국 국기.svg《샤이 피플》
1988년 제41회바바라 허쉬 파일:미국 국기.svg
조디 메이 파일:영국 국기.svg
린다 엠부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월드 아파트》
1989년 제42회메릴 스트립 파일:미국 국기.svg《어둠 속의 외침》
1990년 제43회크리스티나 얀다 파일:폴란드 국기.svg《신문》
1991년 제44회이렌 자코브 파일:프랑스 국기.svg베로니카의 이중 생활
1992년 제45회페닐라 어거스트 파일:스웨덴 국기.svg《최선의 의도》
1993년 제46회홀리 헌터 파일:미국 국기.svg피아노
1994년 제47회비르나 리지 파일:이탈리아 국기.svg여왕 마고
1995년 제48회헬렌 미렌 파일:영국 국기.svg《조지 왕의 광기》
1996년 제49회브렌다 블레신 파일:영국 국기.svg《비밀과 거짓말》
1997년 제50회캐시 버크 파일:영국 국기.svg《닐 바이 마우스》
1998년 제51회엘로디 부셰즈 파일:프랑스 국기.svg
나타샤 레그니어 파일:벨기에 국기.svg
《천사들이 꿈꾸는 세상》
1999년 제52회세브린 카넬레 파일:벨기에 국기.svg휴머니티
에밀리 드켄 파일:벨기에 국기.svg로제타
2000년 제53회비요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어둠 속의 댄서
2001년 제54회이자벨 위페르 파일:프랑스 국기.svg피아니스트
2002년 제55회카티 오우티넨 파일:핀란드 국기.svg《과거가 없는 남자》
2003년 제56회마리-조지 크로즈 파일:캐나다 국기.svg《야만적 침략》
2004년 제57회장만옥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클린》
2005년 제58회한나 라즐로 파일:이스라엘 국기.svg《프리 존》
2006년 제59회여성 출연진 (6) 파일:스페인 국기.svg
- 페넬로페 크루스
- 카르멘 마우라
- 롤라 두에냐스
- 블랑카 포르틸로
- 요하나 코보
- 커스 램프리브
귀향
2007년 제60회전도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밀양
2008년 제61회산드라 코르벨로니 파일:브라질 국기.svg《리나 데 파세》
2009년 제62회샤를로트 갱스부르 파일:프랑스 국기.svg안티크라이스트
2010년 제63회줄리엣 비노쉬 파일:프랑스 국기.svg사랑을 카피하다
2011년 제64회커스틴 던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독일 국기.svg멜랑콜리아
2012년 제65회크리스티나 플루터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코스미나 스트라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신의 소녀들
2013년 제66회베레니스 베조 파일:프랑스 국기.svg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무도 머물지 않았다
2014년 제67회줄리앤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맵 투 더 스타》
2015년 제68회루니 마라 파일:미국 국기.svg캐롤
엠마누엘 베르코 파일:프랑스 국기.svg몽 루아
2016년 제69회재클린 호세 파일:필리핀 국기.svg《마' 로사》
2017년 제70회다이앤 크루거 파일:독일 국기.svg심판
2018년 제71회사말 예슬리야모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아이카》
2019년 제72회에밀리 비샴 파일:영국 국기.svg《리틀 조》
2021년 제74회레나테 레인스베 파일:노르웨이 국기.svg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
2022년 제75회자흐라 아미르 에브라히미 파일:이란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성스러운 거미
2023년 제76회메르베 디즈다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마른 풀에 관하여

3.1. 2회 이상 수상자[편집]


2회 수상
[1] 특별상[2] 해당 년도의 시상식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연기상을 하나로 통합하였다.[3] 특별상[4] 특별상[5] 68혁명의 여파로 시상식이 중간에 중단되었다.[6] 특별상[7] 특별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18:12에 나무위키 칸 영화제/여우주연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