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타미르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얼음과 불의 춤에 나오는 성에 대한 내용은 카스타미어 문서
카스타미어번 문단을
카스타미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
카스타미르
Castamir
파일:카스타미르.jpg
본명Castamir
카스타미르
이명The Usurper
찬탈왕
성별남성
종족인간 (두네다인)
출생T.A. 1259
거주지곤도르(펠라르기르)곤도르(오스길리아스)
가문/왕조House of Elendil
엘렌딜 왕조
Anárioni
아나리온 왕조[1]
직책King of Gondor
곤도르의 왕
재위기간T.A. 1437 - 1447
가족관계칼리메흐타르 (할아버지)
아들들

1. 개요
2. 이름
3. 행적



1. 개요[편집]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 곤도르의 22대 국왕이다. 찬탈왕이라고도 불린다.


2. 이름[편집]


  • 카스타미르(Castamir)[Q] - 뜻은 불명이지만 '투구 보석(Helmet-Jewel)'이라는 뜻으로 추정된다. casta[2] + mírë[3]


3. 행적[편집]


제3시대 1259년에 태어났으며, 로멘다킬 2세의 아우인 칼리메흐타르의 손자로[4]이다.

1432년에 발라카르의 아들이자 자신과 6촌 사이인 엘다카르가 곤도르의 제 21대 국왕으로 즉위하자, 엘다카르의 어머니가 로바니온 출신의 비두마비라는 점을 들어 정통성에 이의를 제기하였고, 반대파의 수장으로서 친족분쟁을 일으켰다.

카스타미르가 이끄는 반대파들은 1437년 수도인 오스길리아스를 포위했으며, 찬탈에 성공한다. 이때 오스길리아스가 많이 파괴되었으며, 오스길리아스에 있었던 팔란티르안두인 대하에 빠져 영영 소실되었다. 찬탈에 성공한 카스타미르는 포로로 잡힌 엘다카르의 장남 오르넨딜을 처형하였다. 이실리엔 등지에 살던 이들이 그 잔혹함에 등을 돌린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전쟁에서 필수불가적으로 발생하는 약탈과 파괴를 필요 이상으로 명령하였다.

왕위에 오른 카스타미르는 얼마 후, 곤도르의 수도를 오스길리아스에서 항구도시인 펠라르기르로 옮기려 했다.[5] 이 때문에 안 그래도 카스타미르에게 정나미가 떨어져있던 많은 곤도르인들이 크게 반발하여 그에게서 등을 돌렸고, 이는 북방으로 망명한 엘다카르가 재기하는 계기가 된다.

10년 만에 재기에 성공한 엘다카르와 다시 전투를 치렀고, 이들의 싸움은 에루이 건널목에서 엘다카르가 카스타미르를 죽임으로써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그가 곤도르의 왕위를 찬탈한지 10년 만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23:09:07에 나무위키 카스타미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엘렌딜 왕조의 분가이자 곤도르 왕가.[Q] 퀘냐[2] Helmet(투구). cassa의 변형으로 추정된다.[3] Jewel(보석). 'precious/esteem/value(귀중한/존경/가치 있는)'라는 뜻의 원시 요정어 어근인 MIR에서 파생된 mīrĭ에서 비롯됐다.[4] 국왕과 가장 가까운 친척이었다.[5] 그가 해군 사령관이었던 만큼 자신의 근거지로 수도를 옮기고자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