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멘다킬 2세

덤프버전 :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
로멘다킬 2세
Rómendacil II
파일:로멘다킬 2세.jpg
본명Minalcar
미날카르
이명Rómendacil
로멘다킬
성별남성
종족인간 (두네다인)
출생T.A. 1126
거주지곤도르
가문/왕조House of Elendil
엘렌딜 왕조
Anárioni
아나리온 왕조[1]
직책King of Gondor
곤도르의 왕
재위기간T.A. 1240 - T.A. 1304 (곤도르의 섭정)
T.A. 1304 - 1366 (곤도르의 왕)
가족관계칼마킬 (아버지)
칼리메흐타르 (남동생)
발라카르 (아들)

1. 개요
2. 이름
3. 작중행적
3.1. 섭정 시절
3.2. 재위 기간



1. 개요[편집]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 곤도르의 제 19대 왕이다.


2. 이름[편집]


  • 미날카르(Minalcar)[Q] - 정확한 뜻은 불명이지만 '첫번째 영광(First Glory)'이라는 뜻으로 추정된다. minya(min + -ya[2] + alcar[3]

  • 로멘다킬(Rómendacil)[Q] - '동쪽의 승리자(East-victor)'라는 뜻이다. rómen(ro- + men[4] + -ndacil[5]


3. 작중행적[편집]


제3시대 1126년에 칼마킬의 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미날카르였다.


3.1. 섭정 시절[편집]


미날카르가 114세이던 1240년. 국정이 너무나도 귀찮았던 백부 나르마킬 1세는 그를 섭정으로 앉히고 자신은 뒷전으로 물러났다. 그 뒤를 이은 아버지 칼마킬도 마찬가지였고,[6] 미날카르는 64년간 섭정으로 있게 된다.

1248년, 미날카르는 북부인들 중 가장 강했고 로바니온의 왕을 자처하던 비두가비아의 원군과 함께 동부인들을 격파하고 동부의 승리자라는 뜻의 로멘다킬이라는 이름은 이 때 얻었다. 그리고 룬 해 동쪽의 그들의 거주지를 파괴하였다. 그리고 돌아오는 길에 안두인 대하 서쪽 맑은림강까지 요새화하고, 이방인들의 에뮌 무일 아래의 통과를 금하며, 넨 히소엘 입구에 이실두르아나리온의 형상을 한 아르고나스를 세우게 하였다.

1250년, 북부인과 우호를 돈독히 하고 싶은 미날카르는 그의 아들 발라카르를 로바니온에 대사로 파견하여 머물게 하였다. 발라카르는 아버지보다 더 북부인들을 사랑하여 비두가비아의 딸 비두마비와 결혼하였다.


3.2. 재위 기간[편집]


1304년, 그는 곤도르의 왕으로 즉위하여 1366년에 24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62년 간 국정을 이어갔다. 섭정 시절부터 곤도르의 국정을 무난히 수행하였고, 따라서 그의 재위 기간은 안정적이었다. 그의 사후 왕위는 아들인 발라카르가 잇게 된다.



[1] 엘렌딜 왕조의 분가이자 곤도르 왕가.[Q] A B 퀘냐[2] First(첫번째), 'one/first(하나/첫번째)'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MIN에서 파생된 min과 형용사형 접미사 -ya가 결합해 파생된 단어이다.[3] Glory/Splendour/Radiance/Brilliance(영광/장관/광휘/빛남). 'be radiant(빛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KALAR 또는 'light/shine/be bright(빛/빛나다/밝아지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KAL에서 파생된 aklar(a)에서 비롯됐다.[4] East/Uprising/Sunrising(동쪽/떠오르는/일출). 'Up/Rise(위/일어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RŌ/ORO에서 파생된 접두사 ro-(오르다/동쪽)와 'go/move/proceed(가다/움직이다/전진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MEN에서 파생된 단어 men(방향)이 결합해 파생된 단어이다.[5] -Victor/-Slayer(승리자/학살자). 'Hew/Slay(자르다/죽이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NDAK에서 파생됐다.[6] 다만 칼마킬은 국정을 보기에는 너무 늙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