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파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의 현대문학
[ 펼치기 · 접기 ]

연대서정 갈래서사 갈래
1910년대상징주의 시(김억) · 현대적 자유시(주요한)신소설(이인직)(이해조)(최찬식)
1920년대
'동인지 시대'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시(이상화) ·
김소월[1] · 한용운[2]
감상적·퇴폐적 낭만주의 소설
(김동인)
자연주의 ·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현진건)
신경향파 문학국민 문학파
(민요 운동 · 시조 부흥론)
신경향파 문학국민 문학파
계급주의 문학계급주의 문학
1930년대시문학파[3](모더니즘 시) · 생명파 · 전원파모더니즘 소설[4] · 장편소설[5] · 농촌소설[6] · 역사소설[7]
1940년대
~ 광복
청록파 · 저항시(이육사)(윤동주)(신석정)'국문학의 암흑기'[8]
광복 ~
1950년대
이념시(연간조선시집) · 해방기념시집 · 순수시귀향 소설 · 분단 문학
전쟁시 · 모더니즘 시 · 서정시전쟁소설 · 분단 소설 · 귀향 소설
1960년대현실 참여시순수 서정시참여문학순수문학
1970년대민중시 · 노동시민중 소설 · 농민·어민 소설 · 노동 소설 ·
순수 소설 · 중간소설 · 대중소설
1980년대민중시 · 서정시 · 해체시노동 소설 · 연작소설 · 역사 장편 대하소설
1990년대
~ 현재
생태시 · 해체시(도시시 · 일상시) · 메타시일상 소설 · 다문화 문학장르소설
[각주]
[각주]
고전문학 · 장르문학

[1] 전통적 운율·정서를 계승한 시인.[2] 조국 광복 염원·의지 및 부정적 현실 극복을 다룬 시인.[3] 정치적 이념을 배제한 순수 서정시를 추구한 유파. 특정 사상이나 계급주의적 관점을 강조하던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에 반발하며 등장했으며, 시 동인지 《시 문학》을 중심으로 순수 서정시 운동을 주도했다.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 신석정 등의 시인이 활동했다.[4] 부정적 현실을 지식인의 관점에서 비판한 소설이 많았다. 특히 의식의 흐름 기법이 많이 쓰였다. 대표적으로 이상날개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 있다.[5] 장편소설 중에서도 일제 강점기에 부정적 인물이 득세하던 현실을 반영한 소설이 이때 주목받았다. 대표적으로 채만식태평천하, 염상섭삼대가 있다.[6] 계몽주의에 기반한 농촌 계몽 소설, 향토적 삶을 다룬 향토적 농촌 소설, 식민지 지배와 통치 제도의 억압성과 부조리로 인한 농촌의 현실을 다룬 현실 비판적 농촌 소설이 있다.[7] 만주 사변 이후 더욱 극심해진 일제의 사상 통제와 검열을 피해, 역사적 사건을 다루어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자 하였다.[8] 당시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중일전쟁태평양 전쟁을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어 아예 한국어 사용 자체를 금지할 지경에 이른 관계로 주제 의식이 모호하고 불분명한 몇몇 단편들만 간신히 명맥을 이었다. 대표적으로 순수 소설인 황순원'별'이 1941년에 발표되었다.


파일:external/files.youngsamsung.com/se_20150703102726.jpg

왼쪽부터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파일:FB_IMG_1474739172966.jpg

왼쪽부터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청록파(靑鹿派)는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을 함께 이르는 말이다.

이들을 일컬어 "청록파"라고 부르는 것은, 해방 이후 1946년에 함께 을유문화사에서 <청록집>이라는 제목의 시집을 함께 발간하였기 때문이다. 청록집이라는 이름은 박목월의 시 중 청노루에서 따온 것이다.


2. 상세[편집]


1939년 잡지 《문장》을 통해 시인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단하면서 세 시인이 함께 등장했다. 셋 모두 자연친화적인 시풍을 지닌 공통점이 있는데, 이를 두고 김경린, 박인환, 김수영 등 50년대의 후반기 동인에서는 청록파를 일제강점기의 참혹한 민족 현실을 외면한 현실도피적 시풍이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다만 시의 서정성과 유려함에서만큼은 수위급을 다툰다는 것은 대부분 공감하는 편이다.

을유문화사에서 60주년 기념으로 새롭게 청록집을 발간하였다. [1]

나이는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의 순이며 공교롭게도 셋은 정확히 8로 끝나는 해에 10년, 20년 간격으로 사망했다. 막내 조지훈이 1968년, 맏형 박목월이 1978년 사망했으며 박두진이 1998년에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0:40:22에 나무위키 청록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박두진의 <해>는 청록집에 실려 있지 않다. 청록집에서는 <도봉>이나 <어서 너는 오너라>, <향현> 정도가 잘 알려진 편에 속하는 박두진의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