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주 유나이티드 FC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구단의 20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제주 유나이티드 FC/2024년 문서
제주 유나이티드 FC/2024년번 문단을
제주 유나이티드 FC/2024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강원 FC|[[파일:강원 FC 엠블럼.svg|height=50]]]][br]
[[강원 FC|{{{#ffffff '''강원'''}}}]]
||<width=25%> [[광주 FC|[[파일:광주 FC 엠블럼.svg|height=50]]]][br]
[[광주 FC|{{{#c41230 '''광주'''}}}]]
||<width=25%> [[김천 상무 FC|[[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height=50]]]][br]
[[김천 상무 FC|{{{#ffffff '''김천'''}}}]]
||<width=25%> [[대구 FC|[[파일:대구 FC 엠블럼.svg|height=50]]]][br]
[[대구 FC|{{{#051d39 '''대구'''}}}]]
|| || [[대전 하나 시티즌|[[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height=50]]]][br]
[[대전 하나 시티즌|{{{#ffffff '''대전'''}}}]]
|| [[FC 서울|[[파일:FC서울 엠블럼(백색배경).svg|height=50]]]][br]
[[FC 서울|{{{#fff '''서울'''}}}]]
|| [[수원 FC|[[파일:수원 FC 로고.svg|height=50]]]][br]
[[수원 FC|{{{#eb0028 '''수원'''}}}]]
|| [[울산 HD FC|[[파일:울산 HD FC 엠블럼(4성).svg|height=50]]]][br]
[[울산 HD FC|{{{#ffffff '''울산'''}}}]]
|| || [[인천 유나이티드 FC|[[파일:인천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
[[인천 유나이티드 FC|{{{#fff '''인천'''}}}]]
|| [[전북 현대 모터스|[[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height=50]]]][br]
[[전북 현대 모터스|{{{#ffdd00 '''전북'''}}}]]
|| [[제주 유나이티드 FC|[[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height=50]]]][br]
[[제주 유나이티드 FC|{{{#FFFFFF '''제주'''}}}]]
|| [[포항 스틸러스|[[파일:포항 스틸러스 로고.svg|height=50]]]][br]
[[포항 스틸러스|{{{#ffffff '''포항'''}}}]]
|| ||<-2><bgcolor=#eb49a3> [[틀:WK리그|{{{#ffffff ●}}} [[파일:WK리그(2022).png|height=15]]]] ||<-2><bgcolor=#001c48> [[틀:K리그2|[[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height=30]] {{{#ffffff ▶}}}]] || ||<-2><bgcolor=#ee3224> [[틀:K리그1/2023년|{{{#fff ◀ 2023년 참가 구단}}}]] ||<-4><bgcolor=#001c48> [[틀:K리그1/2025년|{{{#fff 2025년 참가 구단 ▶}}}]] || ||<-2><bgcolor=#104297> [[틀:FA컵(대한민국) 참가 구단|{{{-2 {{{#f7c626 FA컵 참가 구단}}}}}}]] ||<-2><bgcolor=#444444> [[틀:K리그1/과거 참가 구단|{{{-2 {{{#ffffff 과거 참가 구단}}}}}}]] || ||<-4><colbgcolor=#ffffff,#1f2023> [[틀:K리그1|[[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K리그1]]|[[틀:J1리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J1리그]]|[[틀:중국 슈퍼 리그|[[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슈퍼 리그]][br][[틀:홍콩 프리미어 리그|[[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부류축구련맹전|[[파일:북한 국기.svg|width=20]] 1부류축구련맹전]][br][[틀:대만 풋볼 프리미어 리그|[[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틀:리가 드 일리트|[[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리가 드 일리트]][br][[틀:몽골 내셔널 프리미어 리그|[[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 || ||<-4>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제주 유나이티드 FC
Jeju United FC
정식 명칭제주유나이티드축구단
영문 명칭Jeju United Football Club
법인명제주유나이티드에프씨㈜
창단1982년 12월 17일(41주년)
구단 형태기업 구단
소속 리그K리그1
연고지 변천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1] (1983)
서울특별시[2] (1984~1986)
인천광역시/경기도 (1987~1990)
서울특별시 (1991~1995)
경기도 부천시[3] (1996~2005)
제주특별자치도 (2006~ )
홈구장 변천숭의종합경기장 (1987~1990 / 25,000석)
수원종합운동장 (1987~1990 / 26,000석)
안양종합운동장 (1987~1990 / 17,143석)
동대문운동장 (1991~1995 / 22,706석)
목동종합운동장 (1996~2000 / 25,000석)
부천종합운동장 (2001~2005 / 34,456석)
제주월드컵경기장 (2006~ / 29,791석)
구단명 변천유공 코끼리 (1982~1995)
부천 유공 (1996)
부천 SK (1997~2005)
제주 유나이티드 FC (2006~ )
라이벌 - 연고 이전 더비
모기업SK에너지
구단주김준
대표이사구창용
단장김현희
장내 아나운서김성훈
감독김학범
주장최영준
부주장구자철, 김동준, 김오규, 정운
마스코트감규리[4], 한라할방[5], 백록이[6]
셔츠 프린팅SK엔크린
상징색주황색, 빨간색[7]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K리그1
(1회)
1989
K리그2
(1회)
2020
리그컵
(3회)
1994, 1996, 2000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다 출장김기동 - 289경기[기준]
최다 득점이원식 - 73득점[기준]
최다 도움윤정환 - 29도움[기준]
윤정춘 - 29도움[기준]
최다 공격 포인트이원식 - 92개[기준]
최다 무실점김호준 - 57경기[기준]
최연소 출장차희철 : 17세 5개월 19일 - 1984-05-13 (vs. 포항제철 축구단. 수퍼리그)[기준]
최고령 출장김근배 : 37세 3개월 4일 - 2023-11-11 (vs. FC 서울. K리그1)[기준]
최연소 득점차희철 : 17세 5개월 25일 - 1984-05-19 (vs. 국민은행 축구단. 수퍼리그)[기준]
최고령 득점정조국 : 36세 2개월 8일 - 2020-07-01 (vs. 서울 이랜드 FC. FA컵)[기준]

[기준] A B C D E F G H I J K리그, 리그컵, FA컵, ACL, CWC 합산 기록. 2021 시즌 종료 기준.
구단 수상
[ 펼치기 · 접기 ]

1994 프로축구 올해의 페어플레이
2004 FA컵 페어플레이상
2007 FA컵 페어플레이상
2010 FA컵 페어플레이상
2012 FA컵 페어플레이상
2012 K리그 플러스 스타디움상
2013 FA컵 페어플레이상
2016 K리그 페어플레이상
2017 K리그 팬 프렌들리 클럽상
2022 K리그 그린 위너스상
2023 FA컵 페어플레이상

개인 수상
[ 펼치기 · 접기 ]

K리그1 MVP
(2회)
노수진 (1989 30경기 16득점 7도움)
김은중 (2010 30경기 13득점 10도움)
K리그1 득점왕
(2회)
박윤기 (1983 14경기 9득점)
주민규 (2021 34경기 22득점)
K리그1 도움왕
(3회)
김준현 (1991 29경기 8도움)
신동철 (1992 25경기 8도움)
구자철 (2010 26경기 11도움)
K리그1 신인상
(3회)
황보관 (1988 23경기 7득점 5도움)
이성재 (1999 29경기 3득점 7도움)
안현범 (2016 28경기 8득점 4도움)
K리그1 감독상
(2회)
김정남 (1989 우승, 17승 15무 8패)
박경훈 (2010 준우승, 18승 9무 4패)
K리그1 베스트 11
(39회)
3회
김용세 (1983, 1985, 1986)
허기태 (1994, 1995, 1996)
2회
노수진 (1987, 1989)
신동철 1988, 1992)
황보관 (1988, 1994)
이임생 (1998, 2000)
강철 (1999, 2000)
주민규 (2021, 2022)
1회
이강조 (1983)
박윤기 (1983)
오연교 (1984)
정종수 (1984)
최기봉 (1987)
조윤환 (1989)
최윤겸 (1989)
유대순 (1990)
테드 (1991)
김봉길 (1993)
세르게이 (1996)
전경준 (2000)
남기일 (2001)
조용형 (2005)
홍정호 (2010)
구자철 (2010)
김은중 (2010)
송진형 (2015)
정운 (2016)
오반석 (2017)
이창민 (2017)
K리그2 도움왕
(1회)
김영욱 (2020 23경기 7도움)
K리그2 신인상
(1회)
이동률 (2020 14경기 5득점 3도움)
K리그2 감독상
(1회)
남기일 (2020 우승, 승격, 18승 6무 3패)
K리그2 베스트 11
(7회)
1회
오승훈 (2020)
정우재 (2020)
정운 (2020)
안현범 (2020)
공민현 (2020)
이창민 (2020)
김영욱 (2020)

유소년 체계
[ 펼치기 · 접기 ]

18세 이하
(U-18)
제주 유나이티드 U-18[1]
15세 이하
(U-15)
제주중학교[2]
12세 이하
(U-12)
제주 유나이티드 U-12

[1] 2010년부터 서귀포고등학교와 3년 협약을 맺어 서고의 축구부를 U-18 구단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2013년부터는 서귀포고등학교의 유소년 선수단을 제주제일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로 전학시킨 후 운동에 더 매진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주기로 했다. U-18 선수들이 학적을 방송통신고등학교에 두고 있는 것일 뿐, 제주 유나이티드가 이 학교와 유소년 협약을 맺은 것은 아니다. 제주 유나이티드는 구단 산하에 독립적인 U-18 구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2] 본래 제주 유나이티드는 구단 산하에 독립적인 U-15 구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었으나 2018년부터 제주중학교와 협약을 맺어 제주중의 축구부를 U-15 구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1. 개요
2. 시즌별 일람
3. 역사
3.1. 유공과 부천 SK 시절
3.2. 제주 이전 이후
4. AFC 챔피언스 리그
5. 역대 감독
6. 역대 주장
7. 코칭 스태프 명단
8. 선수 명단
9. 서포터즈
10. 홈구장
11. 선수 입단 공식 발표 사진
12. 클럽 하우스
13. 사건 사고
14. 여담
15. 직관 가이드
1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82년에 창단된 제주특별자치도를 연고로 하는 K리그1 소속의 프로 축구단이다.

1995년까지는 서울 연고였으나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으로 인해 서울 연고를 떠나 부천으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이후 10년간 부천을 연고지로 삼다가 2006년 제주로 연고지를 이전해 현재 연고지인 제주에 자리를 잡았다.


2.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제주 유나이티드
시즌별 일람
||
시즌리그FA컵ACLCWC
디비전리그순위 경기승점
19831부수퍼리그3165742622+417---
1984축구대제전22813963822+1653---
1985축구대제전5217592826+219---
1986축구대제전5207582926+319---
1987한국프로축구대회33299143443-927---
1988한국프로축구대회3248882524+124---
1989한국프로축구대회140171585140+1149---
1990한국프로축구대회430812102730-328---
1991한국프로축구대회4401017133840-237---
1992한국프로축구대회63078153338-522---
1993한국프로축구대회530140162531-648---
1994코리안리그23014974731+1651---
1995코리안리그42899102830-236---
1996한국프로축구대회432139105551+4484강--
1997한국프로축구대회101825111936-17118강--
1998K-리그7189092832-42416강--
1999K-리그329180114841+7478강--
2000K-리그232180145445+9364강--
2001K-리그7277146292903516강--
2002K-리그82788113240-83216강--
2003K-리그1244312293973-34214강--
2004K-리그132441371927-825준우승--
2005K-리그52412662618+84216강--
2006K-리그1326510112330-72532강--
2007K-리그112686122735-8304강--
2008K-리그102677122331-82832강--
2009K-리그142877142244-22288강--
2010K리그23118945829+29594강--
2011K리그9301010104445-14016강조별 리그-
2012K리그6441615137156+15634강--
2013K리그 클래식9381610125146+5584강--
2014K리그 클래식5381412123937+25432강--
2015K리그 클래식638148165556-1508강--
2016K리그 클래식338178137157+145932강--
2017K리그 클래식238199106037+236616강16강-
2018K리그153814121242420548강조별 리그-
2019K리그11238512214572-272716강--
20202부K리그212718635023+276016강--
20211부K리그14381315105244+8543라운드--
2022K리그15381410145250+25216강--
2023K리그19381011174349-6414강--


3. 역사[편집]



3.1. 유공과 부천 SK 시절[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6 시즌 이전의 역사에 대한 내용은 제주 유나이티드/유공과 SK 시절 문서
제주 유나이티드/유공과 SK 시절번 문단을
제주 유나이티드/유공과 SK 시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유공 코끼리 엠블럼.png
유공 코끼리 시절 엠블럼

파일:부천 SK 로고.svg
부천 SK 시절 엠블럼
1982년 창단된 대한민국 두 번째 프로축구단 유공 코끼리가 제주 유나이티드의 전신이다. 1983년 서울/경기/인천을 연고지로 참가하였고, 1987년 경기/인천으로 연고지를 변경하였으며, 1991년 서울로 연고지를 변경하였다. 이후 1996년 부천으로 연고지를 이전했고[8] 부천 유공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이후 부천 유공의 모기업 SK그룹이 유공[9] 대신 SK를 전면에 내세워 에너지 사업부를 재단장하면서 1997년 부천 SK로 이름을 변경하였다.[10] 부천 SK 시절의 엠블럼 속 빨간색은 SK주식회사[11], 파란색은 SK텔레콤[12]을 상징했다. 그리고 부천 SK 시절 초창기에는 당시 로마자 표기법인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라 'Bucheon'이 아닌 'Puchon'으로 표기했다.

파일:external/www.newsbucheon.net/1159_1733_330.jpg
유공 코끼리 시절에는 김정남 감독이 이끌었을 때 호성적을 냈고, 1989 시즌에 구단의 유일한 K리그1 우승을 일궈내기도 했다. 부천 SK 시절의 최전성기는 니폼니시의 '니포 축구' 때였다. 당시 부천 SK는 K리그 역대 최고의 외국인 지도자로 칭송받는 발레리 니폼니시 감독[13]의 지휘 아래 롱 패스 축구에서 벗어난 짧은 패스 위주의 '니포 축구'로 명성을 떨쳤다. 1990년대 말 세련된 축구로 인기를 얻었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안양 LG 치타스는 수도권 라이벌리를 이끌며 K리그에 열풍을 일으켰지만, 당시 축구 팬들은 "부천 SK는 표값이 아깝지 않은 축구를 한다"며 부천의 축구에 높은 평가를 했다. K리그에 센세이션을 일으킨 니폼니시 감독의 부천 SK도 아쉽게 우승과 인연이 멀었으나, 윤정환을 주축으로 김기동, 이을용, 윤정춘 등 최강의 중원에, 이임생, 조성환, 강철 등의 수비진, 타깃맨 곽경근, 염색머리로 유명했던 조커 이성재, 특이한 모자로 눈길을 사로잡았던 골키퍼 이용발 등 뛰어난 실력과 함께 넘치는 개성까지 겸비한 선수들이 많았던 팀으로 기억되고 있다.


3.2. 제주 이전 이후[편집]


파일:A85D13112D3A8351VCV6X84213.jpg
제주 유나이티드 서포터즈 풍백이 "부천시민 여러분! 죄송합니다!"는 현수막을 걸고 응원을 펼치고 있다.
부천 SK는 2006년 2월 제주로 연고지 이전을 하며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제주 유나이티드 정순기 전 단장은 연고지 이전에 대해 "2002 월드컵 이후 부천과 인접한 서울, 인천에 프로 축구단이 생기면서 5개 구단이 수도권에 몰리게 되어 팬 누수 현상이 심해졌다. 저조한 팀 성적도 원인이 되겠지만, 최근 축구 팬으로부터의 외면으로 2년 연속 평균관중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구단 운영에 심각한 차질을 빚어왔다. 이에 따라, 2005년 7월 서울대 스포츠산업연구센터에 용역을 의뢰해 수행한 '구단 운영 효율화 작업'에 대한 연구 결과 부천에서 구단을 운영하는 것보다 연고지를 이전하여 운영하는 것이 낫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새로운 연고지로 결정된 제주제주월드컵경기장이 유일하게 프로 구단이 사용하지 않는 축구전용경기장인데다가, 제주도 자체가 스포츠 불모지나 다름없는 곳이다. 제주도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5% 이상이 프로 구단 창단에 대한 열망을 보여줬으며, '10번 이상 경기가 열리면 3.5회 이상 관람하겠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얻었다. 제주도는 도내에 있는 13개 연습 구장에 대한 무료 사용권과 10년간 월드컵경기장에 대해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경기장 내 광고권 대부분을 제공했다. 그리고 제주 유나이티드 선수단과 유소년 선수를 위한 숙소 등으로 활용할 2007년 3월 개장한 클럽하우스 공사비 약 20억 원을 서귀포시에서 부담키로 하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부천시는 "SK축구단 관계자가 연고 이전 발표 당일 오전에 시를 방문하여 제주로의 연고지 이전을 통보했다. 사전에 일언반구도 없다가 느닷없이 통보하여 황당했다. 부천시는 10년 동안 시정 홍보지와 시 홈페이지를 통해 SK축구단을 홍보해 왔으며, 종합운동장 사용료도 절반밖에 받지 않았다. 특별히 시에 요구한 것도 없이 하루 아침에 연고지를 바꾸는 기업의 입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그리고 1995년 6월 창설된 유공 코끼리 서포터즈 헤르메스는 국내 최초로 응원석을 뒤덮는 대형 천과 홍염, 연막 등을 응원 도구로 사용하는 등 대한민국 최초의 서포터즈로서 길을 개척해왔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응원가인 '오! 필승 코리아'도 헤르메스 자체 작곡 응원가 'To Be No.1'의 개사곡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이번 연고지 이전 결정으로 상처를 받게 됐다. 서포터즈 헤르메스 일원은 "언론 보도가 나올 때까지 연고지 이전 사실을 전혀 몰랐다. 며칠 전 '레즈데이' 행사를 운동장에서 개최하는 문제를 상의했을 때만 해도 아무 말 없이 동의한 구단이 갑자기 연고지를 이전한다니 믿을 수가 없다."고 울분을 토했다.


4. AFC 챔피언스 리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제주 유나이티드 FC/AFC 챔피언스 리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
이종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5)
김정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1992)
박성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니폼니시 파일:러시아 국기.svg
(1995~1998)
감독 대행
조윤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5대6대7대
조윤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1)
감독 대행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2002)
트르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2~2003)
감독 대행
하재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8대9대10대11대
하재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정해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7)
알툴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8~2009)
감독 대행
조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박경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4)
12대13대14대15대16대
조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6)
김인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조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9)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남기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3)
16대17대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감독 대행
정조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학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FA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



제주 유나이티드 역대 감독
국적이름기간
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종환1982 ~ 1985
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정남1985 ~ 1992[14]
3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성화1992 ~ 1994[15]
4대파일:러시아 국기.svg발레리 니폼니시[16]1995 ~ 1998[17]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윤환[A]1998
5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윤환[B]1999 ~ 2001[18]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윤겸[A]2001
6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윤겸[B]2001 ~ 2002
7대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트나즈 트르판2002 ~ 2003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하재훈[A]2003
8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하재훈[B]2003
9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해성2004 ~ 2007
10대파일:브라질 국기.svg알툴 베르날데스2008 ~ 2009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진호[A]2009
11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경훈2010 ~ 2014
12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성환[B]2015 ~ 2016
13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인수2016[19]
14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조성환2017 ~ 2019[20]
15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윤겸2019[21]
16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남기일[B]2020 ~ 2023[22]
대행파일:대한민국 국기.svg정조국[A]2023 ~
17대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학범2024 ~


6. 역대 주장[편집]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제주 유나이티드 FC
역대 주장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이강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1985)
김용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1988)
정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89)
조윤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최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2)
6대7대8대9대10대
이광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4)
허기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7)
조정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조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11대12대13대14대15대
김기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
윤정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김한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변재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16대17대18대19대20대
김기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이동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조용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김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최원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21대22대23대24대25대
오승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호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오반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
박진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26대27대28대29대30대
이창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1)
주민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김오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정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최영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31대32대33대34대35대
임채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7. 코칭 스태프 명단[편집]


직책한글 성명로마자 성명국적생년월일
감독김학범Kim Hak-Bum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0년 3월 1일
수석 코치김정수Kim Jung-S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1월 17일
골키퍼 코치차상광Cha Sang-Kwa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63년 5월 31일
코치이상호Lee Sang-H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11월 18일
트레이너김범수Kim Beom-S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12월 27일
트레이너채윤석Chae Yoon-Se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3년 6월 2일
물리 치료사윤재현Yoon Jae-Hyu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9년 3월 2일
전력 분석관김성주Kim Sung-Ju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5년 3월 23일
통역한승수Han Seung-S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90년 1월 29일
킷 매니저문성준Moon Seong-Joon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0년 1월 11일
차량 주임오경명Oh Kyung-My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6월 1일
스카우트조광수Jo Gwang-Soo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스카우트심영성Shim Young-Su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7년 1월 15일
스카우트한정국Han Jung-Koo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7월 19일




8. 선수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동준Kim Dong-Jun1994년 12월 29일187cm, 88kg부주장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안태현Ahn Tae-Hyun1993년 3월 1일176cm, 67kg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연제운Yeon Je-Woon1994년 8월 24일185cm, 78kg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송주훈Song Ju-Hun1994년 1월 13일190cm, 83kg
6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최영준Choi Young-jun1991년 12월 15일181cm, 76kg주장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구자철Koo Ja-Cheol1989년 2월 27일183cm, 78kg부주장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건웅Kim Geon-Ung1997년 8월 29일185cm, 81kg
9파일:브라질 국기.svgFW유리 조나탄Yuri Jonathan Vitor Coelho1998년 6월 12일185cm, 78kg
10파일:브라질 국기.svgFW헤이스Isnairo Reis Silva Morais1993년 1월 6일173cm, 73kg
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승섭Kim Seung-Sub1996년 11월 1일177cm, 67kg
13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정운Jeong Woon1989년 6월 30일180cm, 73kg부주장
1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서진수Seo Jin-su2000년 10월 18일183cm, 71kg
15파일:스웨덴 국기.svgMF조나탄 링Jonathan Ring1991년 12월 5일183cm, 72kg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임동혁Lim Dong-hyuk1993년 6월 8일190cm, 86kg
19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김주공Kim Joo-gong1996년 4월 23일180cm, 73kg
20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오규Kim Oh-Kyu1989년 6월 20일183cm, 77kg부주장
2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형근Kim Hyeong-keun1994년 1월 6일188cm, 78kg
23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임준섭Im Joon-Seob2003년 8월 22일194cm, 80kg
24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기혁Lee Gi-Hyeok2000년 7월 7일184cm, 76kg
25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한종무Han Jong-Mu2003년 5월 2일179cm, 70kg
26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임채민Lim Chai-Min1990년 11월 18일188cm, 82kg
2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전성진Jeon Sung-Jin2001년 7월 19일176cm, 66kg
28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임창우RIM Changwoo1992년 2월 13일184cm, 72kg
29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김대환Kim Dae-Hwan2004년 10월 19일172cm, 67kg
30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김봉수Kim Bong-Soo1999년 12월 26일183cm, 78kg
32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이주용Lee Joo-Yong1992년 9월 26일180cm, 78kg
3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권순호Kwon Soon-Ho2003년 3월 13일178cm, 72kg
38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곽승민Kwak Seung-Min2004년 8월 24일186cm, 80kg
41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김근배Kim Geun-Bae1986년 8월 7일187cm, 80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박원재Park Won-Jae1994년 5월 7일176cm, 66k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DF홍준호Hong Joon-Ho1993년 10월 11일190cm, 77kg
구단 정보
대표이사: 한중길 / 감독: 김학범 / 홈구장: 제주월드컵경기장
출처: 제주 유나이티드 FC 웹 사이트



구단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신체 조건비고
김천파일:대한민국 국기.svgGK문경건Mun Kyung-Gun1995년 2월 9일188cm, 82kg2023년 12월 12일 전역
거제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이창민Lee Chang-min1994년 1월 20일179cm, 77kg2025년 3월 소집 해제
전남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지상욱Gi Sang-Wook2003년 1월 13일182m, 70kg2023년 12월 만료
성남파일:대한민국 국기.svgFW진성욱Jin Sung-wook1993년 12월 16일183m, 82kg2023년 12월 만료






9. 서포터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풍백(서포터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홈구장[편집]


파일:59646251324.jpg

제주 유나이티드 홈구장
2001~20052006~
부천종합운동장제주월드컵경기장

11. 선수 입단 공식 발표 사진[편집]


지금은 K리그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연고지 랜드마크 및 지역상권을 배경으로 한 공식 발표 사진의 원조가 제주다.

제주 구단은 '옷피셜 맛집'으로 불릴 만큼 영입한 선수 오피셜 사진을 재밌으면서도 남다르게 찍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K리그 팬들 사이에서 이른바 '오피셜 혁명'으로 불리고 있다.

파일:190725_제주FC_최규백_영입_이미지_3.jpg

2019년 선수 영입 당시, 일반적인 오피셜 사진의 틀을 벗고 연고지 매력을 전달하며 지역 소상공인 홍보를 돕기 위해 천지연폭포, 맛집, 올레시장 등에서 오피셜 사진 찍어 커다란 화제를 모았다.[23]

파일:FB_IMG_1673287124187.jpg

2022시즌에 새롭게 합류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제주만이 갖고 있는 천혜 자연 명소에서 플로깅 오피셜 화보 및 입단 인터뷰 영상을 찍으며 또다시 화제가 되었었다.[24]#

파일:FB_IMG_1672629457170.jpg

한편 이러한 연고지나 모기업 랜드마크나 지역상권 배경의 오피셜 사진을 여러 구단들이 시도하자 2023년에는 꿈나무 오피셜이라고 칭하면서 아예 차별점을 가져갔는데, 특정 명소를 방문하는 것이 아닌 제주 지역 초등학교 축구부로 방문해 입단 선수들이 일일 선생님이 되어 축구도 가르쳐주고 놀아주면서 싸인과 사진 촬영도 해주면서 이적을 발표했다.

참여한 소감, 축구부 감독의 평가, 현장 스케치 등 콘텐츠가 풍부해졌으며, 제주 꿈나무들에게 구단, 선수 홍보도 하는 긍정적 효과도 얻었다.

12. 클럽 하우스[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제주 유나이티드 클럽하우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lubhouse_01_20200421.jpg

제주 유나이티드 클럽하우스
Jeju United Club House
준공일2007년 5월 18일
위치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일주서로 166-31
시설2,420평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1,382평)


13.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제주 유나이티드 FC/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여담[편집]
















15. 직관 가이드[편집]


혁신도시가 생기고 아파트가 들어서기 전까지는 주변에 이마트와 감귤밭만 펼쳐져 있었는데 이제는 맥도날드스타벅스도 생겼다. 주변에 맛집, 카페, 빵집 등도 계속 오픈하고 있어 주말 나들이에 부족함이 없어지고 있다.

주변 공터에 건물이 계속 지어지고 있어 주차장이 부족한 편이다. 차가 많다고 느껴지면 과감하게 월드컵경기장 앞 대로 건너편 혁신도시 공원 주변에다 주차하자. 그곳에서 경기장까지는 좀 걸어야 하지만, 축구경기가 끝나면 이마트와 하나은행 사잇길은 교통체증에 10~20분간 느릿느릿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점이 싫은 사람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편이다.

버스 접근성이 매우 좋다. 경기장 바로 옆에 서귀포 시외버스 터미널이 있기 때문인데 배차 간격은 좀 있지만 공항까지 바로 가는 800번 버스와 시내버스 등이 다닌다. 터미널은 아니지만 인근 정류장에도 유명한 공항버스 600번이 정차하는데 시간대가 된다면 지름길로 가는 800번이 더 빨리 제주시와 공항까지 주파한다. 덕분에, 육지(원정)팬들도 축구를 관람하고 바로 공항으로 이동해 귀가하는 일정이 충분히 가능하다!

피자랑 치킨이랑 간식거리는 싸들고서 경기장 안에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맥주캔이랑 페트병처럼 경기장 안으로 투척할 수 있는 것들은 반입 금지다. 그런 음료수들은 경기장 입구에서 컵으로 내용물을 옮기는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경기장 내부 푸드코너에서 맥주를 판다.

입장권 가격이 싼 E석은 지붕이 없다. 지붕 아래에 있는 W석은 그늘에 있는 만큼 추울 수 있다. 그러니 날씨에 따라 무릎 담요나 골프 우산 등을 미리미리 준비해 가자. 그리고 좌석을 닦을 물티슈나 등산용 방석 등을 준비하자.

입장권은 도민 할인 50%가 적용 가능하므로 신분증을 준비하자. 하지만 1년 동안 서너 경기를 볼 요량이라면 시즌권을 구입하는 편이 낫다. 제주도민 기준, 아챔 제외 W석은 1만 오천원. ACL 경기를 제외한 1년 전 시즌 경기를 볼 수 있는 시즌권 가격은 6만 원이다. E석이나 N석은 더 싸다. 시즌권 소유자는 전용 입구로 더 빨리 입장할 수 있다.

태풍이 제주도에 상륙하기 바로 전날에도 경기를 정상적으로 치른 바 있다. 축구 경기는 벼락이 운동장에 연이어 내리꽂는 기상 상태에서 지연 혹은 취소될 수 있다.

축구관람후 차량을 이용하였다면 나가는시간이 최소 30분이상이 소요된다 만약 축구를 즐기기위해 경기장앞 이마트에서 3만원이상을 구매하였다면 그냥 이마트주차장에 주차를 하는것이 좋아보인다. 2시간무료가 가능하다

16. 둘러보기[편집]


파일:SK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파일:attachment/K리그/1983년/1983.jpg
K리그 원년 구단


파일:K리그1 로고(흰색).svgK리그1
역대 우승 구단
||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역대 우승 구단
||


파일:K리그2 로고.svgK리그2
과거 참가 구단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강원 FC 엠블럼.svg
||<width=25%><bgcolor=gray> 파일:경찰 축구단 엠블럼.svg
||<width=25%><bgcolor=gray> 파일:고양 자이크로 FC 엠블럼.png
||<width=25%> 파일:광주 FC 엠블럼.svg
||
||<height=80>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 파일:대구 FC 엠블럼.svg
||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bgcolor=gray> 파일:상주 상무 FC 엠블럼.svg
||
||<height=80> 파일:수원 FC 로고.svg
||<bgcolor=gray> 파일:아산 무궁화 FC 엠블럼.svg
||<bgcolor=gray> 파일:안산 무궁화 FC 엠블럼.svg
|| 파일:제주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
||<bgcolor=gray> 파일:충주 험멜 엠블럼.svg
||<-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 ||
||<-4> ※ 해체한 구단은 회색 바탕으로 처리했다. ||
||<-4><bgcolor=#0068ac> ▲ K리그2 현재 참가 구단 ||
||<-4><bgcolor=#444444> ▽ K리그 과거 참가 구단 ||






[1] 1983년부터 1986년까지는 순회 경기 시절로 명목상으로만 연고가 있던 때다.[2] 1983년부터 1986년까지는 순회 경기 시절로 명목상으로만 연고가 있던 때다.[3]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명목상 연고지만 부천시였고 실질적 연고지는 서울특별시였다.[4] 백록이의 아버지이자 한라할방의 아들이다. 제주 유나이티드의 대표 마스코트로 활동하고 있다. 선수단 연령대별 부주장 중 중간 나잇대를 담당하는 선수에게 감규리라는 별명이 붙는다고 한다.[5] 감규리의 아버지이자 백록이의 할아버지다. 한라산에 살던 감귤 신선이며, 제주 탄생 설화에 나오는 여신 '설문대할망' 휘하에 있던 마지막 장군이라고 한다. 선수단 연령대별 부주장 중 맏이 나잇대를 담당하는 선수에게 한라할방이라는 별명이 붙는다고 한다.[6] 감규리의 아들이자 한라할방의 손자다. 경기장에 갈 때마다 하얀 사슴(백록)옷을 입고 나와 하얀 사슴인 척을 해서 감규리를 당황하게 만든다고 한다. 선수단 연령대별 부주장 중 막내 나잇대를 담당하는 선수에게 백록이라는 별명이 붙는다고 한다.[7] SK텔레콤의 색이다.[8] 단, 부천종합운동장이 개장하기 전까지 목동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였다.[9] SK그룹(옛이름 선경그룹)은 대한석유공사, 즉 유공을 1982년에 인수하였다.[10] 당시 부천 SK의 유니폼에 메인 스폰서로 휘발유 브랜드인 SK 엔크린, SK그룹의 이미지 광고였던 'OK SK' 그리고 OK캐쉬백 등을 전면에 내세웠다.[11] 현 SK에너지[12] 당시 SK텔레콤의 CI 컬러는 파란색이었다.[13]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에서 카메룬을 8강에 올려놓은 명장이다.[14] 1989 한국프로축구대회 우승.[15] 1994 아디다스컵 우승.[16] 구단 최초의 외국인 감독.[17] 1996 아디다스컵 우승.[A] A B C D E 구단 선수 출신 감독 대행[B] A B C D E 구단 선수 출신 감독[18] 2000 대한화재컵 우승.[19] 2016년 말, AFC는 2017년부터 구단이 AFC 주관 클럽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선 감독이 P급 라이선스를 보유해야 한다는 신규 규정을 발표했다. 제주가 AFC 챔피언스 리그 출전권을 얻어 내년 대회에 참가하게 된다면 감독이 미리 P급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어야 했지만, 당시 조성환 감독은 P급 라이선스가 없는 상황이었다. 때문에 자격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조성환 감독은 수석 코치로 내려가고 김인수가 새로 감독으로 선임됐다.[20] AFC에서 P급 라이선스 교육을 수강 중이라면 P급 라이선스를 취득한 것으로 갈음해주는 유예 규정을 두면서, 김인수 감독이 물러나고 조성환 수석 코치가 다시 감독으로 올라갔다.[21] K리그2 강등.[22] 2020 하나원큐 K리그2 우승 및 K리그1 승격.[23] 특히 국내 최초, 아니 세계 최초(?)일 수도 있는 흑돼지 고깃집 옷피셜에 팬들은 열광했다.[24] 최영준은 군산오름에서, 윤빛가람은 새연교와 새섬에서 '플로깅 오피셜' 화보를 촬영했다.[25] KBO리그, KBL, WKBL, V-리그 등의 모든 팀 중 가장 긴 원정 거리를 갖고있다. KPGA와 KLPGA는 개인 종목이므로 논외.[26] 부산, 전남에 이은 세 번째 기업구단.[27] 부산에 이은 두 번째 원년구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