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창화(정치인)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원내총무 및 원내대표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원내총무
초대
목요상
제2대
이상득
제3대
하순봉
제4대
박희태
제5대
이부영
제6대
정창화
제7대
이재오
제8대
이규택
제9대
홍사덕
권한대행
정의화
원내대표
제10대
김덕룡
제11대
강재섭
제12대
이재오
제13대
김형오
제14대
안상수
제15대
홍준표
제16대
안상수
제17대
김무성
제18대
황우여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 파일:한나라 글씨97~04.png 정책위원회 의장
7대
이상득
8대
정창화
9대
목요상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농림수산위원장
제13대 전반기
김종기
제13대 후반기
정창화
제14대 전반기
정시채


대한민국 제11-13·15-16대 국회의원
정창화
鄭昌和 | Jung Chang-hwa
파일:정창화 국회의원.jpg
출생1940년 7월 7일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1]
사망2022년 2월 15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본관연일 정씨
운곡(雲谷)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현동
자녀1남 2녀
학력삼분국민학교 (졸업)
의성안계중학교 (졸업)
계성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병역대한민국 해병대 중위 전역 (해간 31기)
종교개신교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1, 12, 13, 15, 16
경력민주공화당 청년국장
민주공화당 홍보국장
민주공화당 훈련원 교수
국무총리비서실 재경사무관
정무장관실 비서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위원
새마을연수원 강사
민주정의당 중앙정치연수원 훈련국장
민주정의당 중앙정치연수원 부원장
제11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직능국장
민주정의당 중앙정치연수원장
제12대 국회의원 (전국구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원내수석부총무
제13대 국회의원 (경북 의성군 / 민주정의당)
제13대 국회 국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3대 국회 후반기 농림수산위원회 위원장
민주자유당 원내수석부총무
신한국당 중앙정치연수원장
한나라당 중앙정치연수원장
제15대 국회의원 (경북 의성군 / 한나라당)
한나라당 사무총장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6대 국회의원 (경북 군위군·의성군 / 한나라당)
한나라당 원내총무
새누리당 상임고문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및 정치 활동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다.


2. 생애 및 정치 활동[편집]


1940년 7월 7일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서 태어났다. 삼분국민학교, 의성 안계중학교, 대구 계성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민주공화당 사무처 직원으로 근무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 예비후보 1번이었고 민주정의당 정치연수원 부원장이었다. 그 해 11월 이우재한국전기통신공사 사장에 임명되어 전국구 국회의원직을 사퇴함에 따라 승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농수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김동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4년 박철언의 국회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대구직할시 수성구 갑 재보궐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박철언의 부인인 신민당 현경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김화남공직선거법 위반에 따른 국회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경상북도 의성군 1998년 재보궐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한나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1999년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한나라당 원내총무에 선출되었다. 2002년 한나라당 경북도지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이후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2022년 2월 1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76,624 (35.64%)승계 (62번)초선[2]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7,040,811 (35.25%)당선 (31번)재선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의성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8,345 (57.84%)당선 (1위)3선[3]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22,216 (39.34%)낙선 (2위)
19948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대구 수성 갑
ta-hash-start=w-6a07c2cd3a15b9a294e4a8bce65e472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6,820 (26.47%)[4]
19984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경북 의성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8,958 (41.59%)당선 (1위)4선[5]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군위·의성31,317 (50.62%)5선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10dec6809fdb7a4a91cec4261efeddfc[[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5 - 1980정계 입문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창당

ta-hash-start=w-80ebbb3510090df5521e42994353a47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2합당[6]

무소속

1992 - 1994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0896bde795716763e99585fae7db2fa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4 - 1995복당

ta-hash-start=w-5d8bd58afb076c1b8589095707495c6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합당[7]
정계 은퇴

ta-hash-start=w-a16922fbf0b1d4a774a7cf5a9151d616[[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e7776432eeb8726ed42b5ecc4c1ce870[[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306f4f077a41008d09981e61a178c74e[[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8]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2022당명 변경
사망


5.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1] #. 권병노·김상년 전 국회의원, 정영섭 전 서울 광진구청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2] 1981. 11. 5, 전국구 19번 이우재, 한국전기통신공사 사장 임명에 따른 사퇴로 승계[3] 1992. 2. 15 탈당(공천 불복)[4] 전임자 박철언 의원직 상실(슬롯머신 사건)[5] 전임자 김화남 의원직 상실(공직선거법 위반)[6]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7]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8]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