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의당(2024년)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당과 같은 이름을 사용했던 전신 정당에 대한 내용은 정의당 문서
정의당번 문단을
정의당#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CI.svg

||
[ 펼치기 · 접기 ]
2020.5.30. ~ 2024.5.29.
||
무소속
10석

재적
298석



녹색정의당
(당명 변경)
정의당(현재)

파일:정의당 로고.svg
정의당
영문 명칭Justice Party (JP)
슬로건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
고유번호107-82-16814
등록일2012년 10월 31일 (진보정의당)
당명 변경2013년 7월 21일 (정의당)
2024년 1월 30일 (녹색정의당)
2024년 4월 27일 (정의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7, 5층
(여의도동, 동아빌딩)[1]
대표
김준우
원내대표
직무대행
장혜영 / 초선 (21대)
사무총장정재민
정책위의장김종민
국회의원
6석[2] /
298
석 (2.01%)
광역의회의원
2석[3] / 872석 (0.22%)
기초의회의원
7석[4] / 2,988석 (0.23%)
당 색
같이노랑 (#FFF100)
피땀빨강 (#E8306D)
산들초록 (#00A366)
평등보라 (#623E91)
정당연합




정책연구소정의정책연구소
후원회정의당후원회
청년조직
ta-hash-start=w-a133710cb2bedc27da8daaadb931553b[[파일:청년정의당 글자.svg
당원 수48,892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5]
진성당원 수14,961명 (2024년 1월 기준)[6]
정당보조금3,214,976,300원
(2023년 총지급액)
당비 수입3,587,000,000원
(2022년 12월 31일 기준)
후원회기부금835,000,000원
(2022년 12월 31일 기준)
재산총액−3,132,000,000원[7]
(2022년 12월 3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2024년
3. 당 지도부
4. 원내 지도부
5. 소속 의원
5.1. 국회의원
5.2. 광역자치의원
5.3. 기초자치의원
6. 지지율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진보정당.

2012년 '진보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여 2013년 '정의당'으로 당명을 개정하였으며, 이후 약 10년간 원내 군소 진보정당의 자리를 지켰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녹색당과 선거연합을 결성하면서 당명을 '녹색정의당'으로 바꾸었다가 선거 이후 연합을 자연히 해체하면서 당명을 정의당으로 변경했다.


2. 역사[편집]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윤석열 정부 ~ 현재
(2022 ~ 현재)





2.1. 2024년[편집]




3. 당 지도부[편집]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FFF,#1F2023><bgcolor=#e0ffdb,#202210> 초대
김준우
김찬휘 ||
||<-2><bgcolor=#fff,#1f2023>
||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김준우 (金俊佑)2024년 4월 27일 - 현재


4. 원내 지도부[편집]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svg 원내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FFF,#1F2023> 초대
배진교 ||<bgcolor=#e0ffdb,#202210> 2대
심상정 ||
||<-2><bgcolor=#fff,#1f2023> ||



국회기수이름임기비고
21대4기장혜영 (張惠英)2024년 4월 27일 - 현재[직무대행]


5. 소속 의원[편집]



5.1. 국회의원[편집]



||



5.2. 광역자치의원[편집]



5.3. 기초자치의원[편집]




6. 지지율[편집]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정당지지율
전국지표조사 (NBS)
[ 펼치기 · 접기 ]

주차지지율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2023년 ◀
이 자료는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에서 공동으로 조사한 2024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전국지표조사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 펼치기 · 접기 ]

주차지지율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1월 1주차
36.7%
36.7%
40.1%
1.4%
3.3%
0.7%
17.8%
1월 2주차
32.0%
32.0%
44.1%
2.2%
4.9%
0.4%
16.5%
1월 3주차
30.6%
30.6%
47.2%
2.2%
4.0%
0.9%
15.1%
1월 4주차
34.2%
34.2%
44.8%
2.5%
3.8%
0.6%
14.1%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2월 1주차
32.0%
32.0%
45.5%
1.4%
5.2%
0.4%
15.5%
2023년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3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진보정당
[ 펼치기 · 접기 ]

원내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6석
1석
1석
원외정당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svg
파일:대민당 화이트.pn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 · 극우 · 종교 · 민족주의 · 단일쟁점)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2022.07.01. ~ 2026.6.30.

강원특별자치도
재적
49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43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6석
경기도
재적
156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78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8석
경상남도
재적
64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60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경상북도
재적
61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56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무소속
3석
광주광역시
재적
23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2석 |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대구광역시
재적
3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31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대전광역시
재적
2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8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부산광역시
재적
47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45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서울특별시
재적
11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6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6석
세종특별자치시
재적
20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3석
울산광역시
재적
2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1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인천광역시
재적
40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6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4석
전라남도
재적
61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57석 | 도지사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전라북도
재적
40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7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제주특별자치도
재적
45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7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2석
미래제주
5석
무소속
1석
충청남도
재적
48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36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2석
충청북도
재적
35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8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7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6 01:35:43에 나무위키 정의당(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의당 서울시당(4층), 정의정책연구소(6층)와 같은 건물이다.[2] 지역구 1석(고양시 갑 심상정), 비례대표 5석.[3] 비례대표 2석.[4] 지역구 6석, 비례대표 1석.[5]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6] 선거연합정당 당명 및 공동대표단 중 정의당 대표 결정을 위한 당원 총투표 확인[7] 중앙당 기준.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다. 추가로 매월 발생하는 경상 적자는 각종 돌려막기 차입으로 연명하고 있으며, 당장 고정 지출을 줄이기 위해 당사 이전을 빠르게 추진할 방침이다.# 2023년 11월에 공개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2022년 정당활동 개황 자료에 따르면 37억원으로 증가했던 부채가 31억원 수준으로 약간 감소했다.[직무대행] 녹색정의당 원내지도부 계승.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