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2024년)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당과 같은 이름을 사용했던 전신 정당에 대한 내용은 정의당 문서
정의당번 문단을
정의당#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CI.svg

||
[ 펼치기 · 접기 ]
2024.5.30. ~ 2028.5.29.

여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08석
||
야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170석
||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2석
파일:개혁신당 신 로고타입(반전).svg
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석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1석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사회민주당(2024년) 흰색 로고.svg
1석
무소속
1석

재적
300석



녹색정의당
(당명 변경)
정의당(현재)

파일:정의당 로고.svg
정의당
영문 명칭Justice Party (JP)
슬로건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
고유번호107-82-16814
등록일2012년 10월 31일 (진보정의당)
당명 변경2013년 7월 21일 (정의당)
2024년 1월 30일 (녹색정의당)
2024년 4월 27일 (정의당)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7, 5층
(여의도동, 동아빌딩)[1]
대표
김준우
원내대표
직무대행
장혜영 / 초선 (21대)
사무총장정재민
정책위의장김종민
국회의원
6석[2] /
298
석 (2.01%)
광역의회의원
2석[3] / 872석 (0.22%)
기초의회의원
7석[4] / 2,988석 (0.23%)
당 색
같이노랑 (#FFF100)
피땀빨강 (#E8306D)
산들초록 (#00A366)
평등보라 (#623E91)
정당연합




정책연구소정의정책연구소
후원회정의당후원회
청년조직
ta-hash-start=w-ebd915aa666c3c541d16253342ab39c4[[파일:청년정의당 글자.svg
당원 수48,892명
(2022년 12월 31일 기준)[5]
진성당원 수14,961명 (2024년 1월 기준)[6]
정당보조금3,214,976,300원
(2023년 총지급액)
당비 수입3,587,000,000원
(2022년 12월 31일 기준)
후원회기부금835,000,000원
(2022년 12월 31일 기준)
재산총액−3,132,000,000원[7]
(2022년 12월 31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2.1. 2024년
3. 당 지도부
4. 원내 지도부
5. 소속 의원
5.1. 국회의원
5.2. 광역자치의원
5.3. 기초자치의원
6. 지지율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진보정당.

2012년 '진보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창당하여 2013년 '정의당'으로 당명을 개정하였으며, 이후 약 10년간 원내 군소 진보정당의 자리를 지켰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녹색당과 선거연합을 결성하면서 당명을 '녹색정의당'으로 바꾸었다가 선거 이후 연합을 자연히 해체하면서 당명을 정의당으로 변경했다.


2. 역사[편집]


대한민국의 진보정당
윤석열 정부 ~ 현재
(2022 ~ 현재)





2.1. 2024년[편집]




3. 당 지도부[편집]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svg 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FFF,#1F2023><bgcolor=#e0ffdb,#202210> 초대
김준우
김찬휘 ||
||<-2><bgcolor=#fff,#1f2023>
||




대수이름임기비고
초대김준우 (金俊佑)2024년 4월 27일 - 현재


4. 원내 지도부[편집]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svg 원내대표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rowbgcolor=#FFF,#1F2023> 초대
배진교 ||<bgcolor=#e0ffdb,#202210> 2대
심상정 ||
||<-2><bgcolor=#fff,#1f2023> ||



국회기수이름임기비고
21대4기장혜영 (張惠英)2024년 4월 27일 - 현재[직무대행]


5. 소속 의원[편집]



5.1. 국회의원[편집]



||



5.2. 광역자치의원[편집]



5.3. 기초자치의원[편집]




6. 지지율[편집]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정당지지율
전국지표조사 (NBS)
[ 펼치기 · 접기 ]

주차지지율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2023년 ◀
이 자료는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에서 공동으로 조사한 2024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3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전국지표조사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파일:gukhoe_daihan.png
2024년 정당지지율
여론조사꽃 (전화면접)
[ 펼치기 · 접기 ]

주차지지율자세히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1월 1주차
36.7%
36.7%
40.1%
1.4%
3.3%
0.7%
17.8%
1월 2주차
32.0%
32.0%
44.1%
2.2%
4.9%
0.4%
16.5%
1월 3주차
30.6%
30.6%
47.2%
2.2%
4.0%
0.9%
15.1%
1월 4주차
34.2%
34.2%
44.8%
2.5%
3.8%
0.6%
14.1%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녹색정의당 / 기타 / 모름ㆍ무응답 / 무당층
2월 1주차
32.0%
32.0%
45.5%
1.4%
5.2%
0.4%
15.5%
2023년 ◀
이 자료는 여론조사꽃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한 2023년 정당지지율 주간집계 결과임. 각 주차마다 2일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하였음.

조사 방법을 비롯한 자세한 내용은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채널 본 방송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할 것.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진보정당
[ 펼치기 · 접기 ]

원내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6석
1석
1석
원외정당
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svg
파일:대민당 화이트.pn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 · 극우 · 종교 · 민족주의 · 단일쟁점)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파일:초록색 깃발 이미지 흰색 테두리.pn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진보정당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svg파일:노동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녹색당(대한민국) 흰색 로고.svg파일:대민당 화이트.png
파일:미래당 흰색 로고.svg
여영국신지혜현린김예원, 김찬휘김현승, 김삼생오태양
사상좌파 · 진보주의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사회주의 · 페미니즘 · 생태주의 · 신좌파 · 평화주의 · 반제국주의 · 다문화주의 · 소수자 운동 · 자유사회주의 · 좌파 민족주의 · 유럽공산주의 · 풀뿌리 민주주의 · 공산주의 · 아나키즘 · 룩셈부르크주의 · 21세기 사회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국제주의 · 삼균주의 · 레닌주의 · 마르크스주의 · 바쿠닌주의 · 안티파시즘 · 카피레프트 · 기독교 사회주의 · 포스트 모더니즘 · 좌파 자유지상주의 · 아방가르드 · 정치이상주의 · 신마르크스주의 · 신트로츠키주의
정치인대통령 후보 · 국회의원 · 당대표
지식인 마르크스주의김세균 · 김수행 · 강신주
근대비판진중권 · 박노자 · 홍세화 · 고미숙 · 임지현
시민사회(범민주)신영복 · 김상조 · 조희연 · 최장집 · 김동춘
민족주의백기완 · 강정구 · 강만길 · 서중석 · 조정래 · 한홍구 · 백낙청
여성주의권김현영 · 루인
기타유시민 (범민주) · 리영희 · 김상봉 · 김영민
운동가 민주·학생운동강경대 · 김귀정 · 박래전 · 박선영 · 박종철 · 이한열 · 지명관
노동운동전태일 · 이소선 · 김지선 · 김진숙 · 노찾사 · 이석규 · 박노해 · 하종강 · 한상균
농민운동강기갑 · 김민기 · 백남기
여성운동권인숙 (범민주) · 나혜석 · 이희호(범민주) · 이효재 · 이태영
환경운동김종철 · 이효리 · 최승호 · 최열 · 최재천 · 하승수
성소수자 운동육우당 · 정욜 · 곽이경 · 홍석천 · 김기홍 · 변희수 · 한채윤
정파평등파중앙파 · 현장파 · 노동정치연대 · 평등사회네트워크 · 새진보통합연대 · 모멘텀 · 노동자계급정당 추진위원회 · 노동자연대 ·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자주파국민파 · 인천연합 · 울산연합 · 광주전남연합 · 경기동부연합 · 겨레하나
기타 · 신좌파국민모임 · 21세기 · 참여계 · 글로벌 그린스 · 사회당계
노동조합 · 시민단체민달팽이 유니온 (범민주) · 참여연대 (범민주)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범민주) · 한국여성단체연합 (범민주)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범민주)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청년유니온 · 알바노조 · 환경운동연합 · 성소수자 인권단체(비온뒤무지개재단 · 성소수자 부모모임 ·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전국농민회총연맹 · 아수나로 · 전국학생행진 · 전국철거민연합 · 중고생연대 · 청년좌파 · 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 · 진보네트워크센터 · 전쟁없는세상 · 군인권센터 · 예술대학생 네트워크
언론제도권한겨레 (범민주) · 경향신문
비제도권오마이뉴스 (범민주) · 민중의소리 (범민주) · 노동과세계 · 미디어오늘 · 프레시안 · 장애인언론 비마이너 · 참세상 · 좌파 유튜버
정당연대진보동맹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그린뉴딜 포럼(정의당·녹색당·미래당 공동캠페인) · 반기득권 공동정치선언 · 정치개혁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역사제1공-노태우 · 문민-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싱크탱크정의정책연구소 · 진보정책연구원
창작물그 쇳물 쓰지 마라 · 민중가요 · 땀이 · 캐치
관련 문서대한민국 진보정당 · 대한민국 극좌정당 · 진보정당 틀 · 극좌정당 틀 · 기타 계파 분류 · 정의당의 계파 분류 · 진보당의 계파 분류
관련 정당법외·제3지대사회변혁노동자당 · 통일한국당 · 대한민국당 · 국가부패척결당 · 페미니즘당
극좌진보당 · 민중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GamyLyingHurtNeed, 합의사항1=다음에 해당하는 문화예술인은 '운동가' 분류에 삽입한다.
1. 진보적 운동(노동운동, 사회운동 등)을 기반으로 한 민중예술을 하는 예술가 2. 진보적 시민단체 운동에 참여한 문화예술인 3. 민주노총의 구성원과 정파 활동을 하는 문화예술인, 다음에 해당하는 문화예술인은 ‘정치인’으로 분류한다. 1. 진보정당의 당원인 문화예술인 2.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기여한 문화예술인 )]



[ 펼치기 · 접기 ]
2022.07.01. ~ 2026.6.30.

강원특별자치도
재적
49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43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6석
경기도
재적
156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78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8석
경상남도
재적
64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60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경상북도
재적
61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56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무소속
3석
광주광역시
재적
23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2석 |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대구광역시
재적
3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31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대전광역시
재적
2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8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4석
부산광역시
재적
47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45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석
서울특별시
재적
11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6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6석
세종특별자치시
재적
20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7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3석
울산광역시
재적
2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1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석
인천광역시
재적
40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6석 |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4석
전라남도
재적
61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57석 | 도지사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2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전라북도
재적
40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37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제주특별자치도
재적
45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27석 |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12석
미래제주
5석
무소속
1석
충청남도
재적
48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36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2석
충청북도
재적
35석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_가로.svg
28석 | 도지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7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6 01:35:43에 나무위키 정의당(2024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의당 서울시당(4층), 정의정책연구소(6층)와 같은 건물이다.[2] 지역구 1석(고양시 갑 심상정), 비례대표 5석.[3] 비례대표 2석.[4] 지역구 6석, 비례대표 1석.[5]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6] 선거연합정당 당명 및 공동대표단 중 정의당 대표 결정을 위한 당원 총투표 확인[7] 중앙당 기준.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다. 추가로 매월 발생하는 경상 적자는 각종 돌려막기 차입으로 연명하고 있으며, 당장 고정 지출을 줄이기 위해 당사 이전을 빠르게 추진할 방침이다.# 2023년 11월에 공개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2022년 정당활동 개황 자료에 따르면 37억원으로 증가했던 부채가 31억원 수준으로 약간 감소했다.[직무대행] 녹색정의당 원내지도부 계승.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