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아웃 2/흥행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인사이드 아웃 2


1. 개요
2. 월드와이드
3. 대한민국
4. 북미
5. 중국
6. 대만
7. 일본
8. 영국
9. 기타 국가


1. 개요[편집]


영화 〈인사이드 아웃 2〉의 흥행을 정리한 문서.


2. 월드와이드[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2024년 6월 12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북미
2024년 6월 14일미개봉미정
파일:중국 국기.svg

2024년 6월 21일미개봉미정


3.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4년 23주 차2024년 24주 차2024년 25주 차
원더랜드인사이드 아웃 2미정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누적관객수 2,082,740명, 누적매출액 20,242,221,230원[1]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656명1,656명미집계22,006,340원22,006,340원
1주차2024-06-12. 1일차(수)194,848명-명1위1,885,715,263원-원
2024-06-13. 2일차(목)135,782명1위1,312,173,300원
2024-06-14. 3일차(금)242,062명1위2,405,829,568원
2024-06-15. 4일차(토)777,081명1위7,564,106,809원
2024-06-16. 5일차(일)731,311명1위7,052,401,950원
2024-06-17. 6일차(월)-명-위-원
2024-06-18.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24-06-19. 8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6-20. 9일차(목)-명-위-원
2024-06-21. 10일차(금)-명-위-원
2024-06-22. 11일차(토)-명-위-원
2024-06-23. 12일차(일)-명-위-원
2024-06-24. 13일차(월)-명-위-원
2024-06-25.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24-06-26.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6-27. 16일차(목)-명-위-원
2024-06-28. 17일차(금)-명-위-원
2024-06-29. 18일차(토)-명-위-원
2024-06-30. 19일차(일)-명-위-원
2024-07-01. 20일차(월)-명-위-원
2024-07-02.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24-07-03.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24-07-04. 23일차(목)-명-위-원
2024-07-05. 24일차(금)-명-위-원
2024-07-06. 25일차(토)-명-위-원
2024-07-07. 26일차(일)-명-위-원
2024-07-08. 27일차(월)-명-위-원
2024-07-09. 28일차(화)-명-위-원


  • 개봉 전
    • 원더랜드〉,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순의 1강 1중에 다수 작품의[8] N약 구도가 형성된 때에 개봉한다.
      • 개봉 당시 496만여 명의 성적을 거두며 특출한 기록을[2] 세운 이전작 〈인사이드 아웃〉의 전적, 마찬가지로 최근 개봉한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엘리멘탈〉이 및 특출한 기록을[3] 세운 전적, 흥행 10위권의 2024년 한국 개봉 외화[4] 중 관객층이 넓은 작품들이 주로 높은 흥행을 기록한 선례,[5] 이와 더불어 가볍게 보기에는 거리가 있는 작품들이 주로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해온 2024년 극장 상황에 지친 관객들이 가볍게 보기 좋은 작품으로 시선을 향할 가능성,[6] 개봉 이후 한동안 관객층이 크게 겹치는 영화의 개봉이 부재한 일정, 일부 관객층이 겹치는 〈원더랜드〉의 흥행 부진 등이 흥행의 요소다.
      • 그러나 〈인사이드 아웃〉 개봉 당시보다 총 관객 수가 저하된 시기적 상황,[7] 각기 입지를 갖고 있는 기존 작품이 다수 혼재해 관객을 온전히 확보하기 어려운 개봉 시기, 기존 시리즈의 차기작이라는 공통점을 지닌 〈버즈 라이트이어〉가 2022년에 개봉해 흥행에 실패한 전적, 대형 애니메이션 영화 제작사 작품 〈위시〉, 〈쿵푸팬더 4〉가 상대적으로는 준수하나 절대적으로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흥행을 거둔 선례, 학생들의 시험 기간과 겹치는 1~2주차 상영 일정 등의 위험 요소 또한 있다.
    • 예매 추이
      • 개봉 5일 전인 6월 7일 금요일, 20시경 6만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19.8%의 예매율로 〈원더랜드〉를 제치고 예매율 1위를 달성했다.
      • 개봉 4일 전인 6월 8일 토요일, 7시경 20%의 예매율, 18시 30분경 3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3일 전인 6월 9일 일요일, 13시 30분경 40%의 예매율, 14시경 10만 명의 예매 관객 수, 18시 30분경 5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 1일 전인 6월 11일 화요일, 13시경 20만 명의 예매 관객 수, 20시 30분경 60%의 예매율을 돌파했다.
      • 개봉일인 6월 12일 수요일 자정을 기준으로 26만 3천여 명의 예매 관객을 동원해 61.6%의 예매율로 예매율 1위를 기록했다.

  • 1주 차
    • 이 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으로는 〈드라이브〉, 〈밤낚시〉 등이 있다.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들은 물론 기존 작품들을 크게 상회하는 예매율을 기록했으며,[9] 이에 따라 혼재한 기존 작품에 의한 온전한 관객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 주 차 동안 대부분의 관객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매 관객 수 면에서도 이전의 2024년 개봉작들과 비교해도 손에 꼽을 정도의 수치를 기록해[10] 일정 수준 이상의 흥행이 기대된다. 관건은 개봉 이후의 평으로, 근래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의 경우 사전 관심도의 정도와는 별개로 개봉 이후의 평가에 따라 흥행 성적이 크게 좌우된 바가 있어[11] 관객들에게서 좋은 평가를 받아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입소문을 발생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 그 흥행이 좌우될 것으로 여겨진다.
    • 개봉 첫날인 6월 12일 수요일, 19만 4천여 명의 관객을 동원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이 개봉일 관객 수는 전작 〈인사이드 아웃〉의 개봉일 관객 수 6만 8천여 명의 3배 정도에 해당하며, 역대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최고 개봉일 관객 수 기록을 세운 〈토이 스토리 4〉의 14만 1천여 명을 상회한다. 사전 예매 관객 수와 비교했을 때는 그보다 낮으나, 주말에 강세를 보이기 쉬운 애니메이션 영화의 특성과 호평이 주된 관객 평이 반영되어 개봉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상승세에 있는 예매 관객 추이를 고려하면 입지 확보 및 유지에 있어서 성공적이라고 볼 수 있다.
    • 개봉 3일 차인 6월 14일 금요일, 24만 2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했다. 한편 이날 2시경 40만 명, 23시 30분경 50만 명의 예매 관객 수 및 70%의 예매율을 돌파하는 등 주말이 임박함에 따라 가파른 상승세의 예매 관객 추이를 보였으며, 때문에 주중보다 상당량 상승한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 개봉 4일 차인 6월 15일 토요일, 11시 30분경 누적 관객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24년 한국 개봉 외화 중 가장 빠른 누적 관객 수 100만 명 돌파 기록이다.[12] 또한 이날 전일 일일 관객 수의 약 3.2배에[13] 해당하는 77만 7천여 명의 일일 관객 수를 기록했다. 누적 관객 수 100만 명 돌파와 유사하게 2024년 한국 개봉 외화로는 최고 일일 관객 수다.[14]
    • 개봉 5일 차인 6월 16일 일요일, 17시경 누적 관객 수 200만 명을 돌파했다.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2024년 한국 개봉 외화로는 2월 15일에 달성한 〈웡카〉에 이어 약 4개월 만의 두 번째 누적 관객 수 200만 명 돌파 기록이다. 또한 이날 73만 1천여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토요일과 일요일 주말 양일간 150만여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2024년 개봉작 중 이보다 많은 관객을 동원한 작품은 226만여 명의 〈범죄도시4〉, 159만여 명의 〈파묘〉뿐이며, 두 영화 모두 누적 천만 관객을 돌파했음을 고려하면 주말에서의 관객 동원력을 긍정적으로 평할 수 있다.

  • 2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하이재킹〉 등이 있다.


  • 4주 차
    • 이 주 차의 주요 개봉작으로는 〈탈주〉 등이 있다.


4. 북미[편집]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4년 23주차2024년 24주차2024년 25주차
나쁜 녀석들: 라이드 오어 다이인사이드 아웃 2 미정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개봉 전
    • 2024년 5월 17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8,000만~1억 1,500만 달러로 예측했다.
      • 2024년 디즈니 시네마콘에서 중심 역할을 맡는 등 디즈니의 큰 기대를 받는 만큼 활발한 마케팅, 높은 사전 관심도, 9,000만 달러의 개봉주 흥행과 개봉연도 흥행 4위에 해당하는 3억 5,640만 달러의 최종 성적을 거둔 전작 〈인사이드 아웃〉의 흥행 전적, 개봉 시기가 겹친 두 경쟁사 파라마운트 픽처스소니 픽처스의 가족 단위 관객층 영화 〈이프: 상상의 친구〉와 〈가필드 더 무비〉를 상당량 상회하는 초기 사전 판매량, 가족 단위 관객을 주요 관객층으로 하는 만큼 개봉주 주말과 겹친 아버지의 날과 시너지를 이룰 수 있을 가능성 등을 흥행의 요소로 봤다.
      •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15] 후 2022년 6월 처음으로 극장에 개봉한 〈버즈 라이트이어〉의 흥행 실패와[16] 그 다음 개봉한 〈엘리멘탈〉이 사실상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중 역대 최저 개봉주 흥행을[17] 기록한 전적, 이전에 개봉한 가족 단위 관객층을 주요 관객층으로 한 2024년 영화 중 〈쿵푸팬더 4〉를 제외한 모든 영화의 흥행 부진 선례[18] 등을 위험 요소로 봤다. #
    • 5월 30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이전 예측보다 하향한 수치인 7,000만~1억 달러로 재예측했다. #
    • 6월 12일, 박스오피스 프로에서 개봉주 성적을 이전 예측보다 상향한 수치인 8,500만~1억 1,500만 달러로 재예측했다. #

  • 1주 차
    • 개봉 첫날 약 6,20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했다. 이는 애니메이션 영화 중 〈인크레더블 2〉의 7,120만 달러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개봉일 흥행 기록이다.[19]
    • 개봉주 주말까지 약 1억 5,500만 달러의 흥행을 기록해 같은 기간 약 3,300만 달러의 주말 흥행을 기록한 〈나쁜 녀석들: 라이드 오어 다이〉를 따돌리고 주말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이 개봉주 주말 흥행 성적은 2024년 개봉작 중 최고 기록으로, 〈듄: 파트 2〉가 기록한 종전 최고 기록 8,250만 달러의 거의 2배에 해당한다. 애니메이션 영화로는 〈인크레더블 2〉의 1억 8,270만 달러에 이어 2번째로 높은 개봉주 주말 흥행 기록이다.[20]


5. 중국[편집]




6. 대만[편집]




7. 일본[편집]




8. 영국[편집]




9. 기타 국가[편집]



[1] ~ 2024/06/16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2] 역대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한국 흥행 1위, 역대 애니메이션 영화 한국 흥행 3위 등.[3] 역대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한국 흥행 1위, 2023년 개봉 영화 한국 흥행 3위, 개봉 4주 차까지 연속적인 흥행 역주행 등.[4]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귀멸의 칼날: 인연의 기적, 그리고 합동 강화 훈련으로〉,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듄: 파트 2〉, 〈웡카〉, 〈위시〉, 〈인투 더 월드〉, 〈쿵푸팬더 4〉,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가 해당되며, 만일 범주를 좁혀 미국 영화만을 기준으로 하기 위해 제작국이 다른 두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외할 경우 〈가필드 더 무비〉, 〈스턴트맨〉이 더해진다.[5] 〈웡카〉, 〈위시〉, 〈쿵푸팬더 4〉가 해당하며, 이 중 353만여 명의 성적으로 2024년 한국 개봉 외화 흥행 1위에 있는 〈웡카〉를 비롯해 177만여 명의 〈쿵푸팬더 4〉, 140만여 명의 〈위시〉가 5위권에 속한다. 물론 30만 명대의 〈가필드 더 무비〉, 〈인투 더 월드〉나 10위권에도 들지 못한 〈이프: 상상의 친구〉와 같이 관객층이 넓음에도 높은 흥행을 기록하지 못한 작품과의 간극이 크긴 하나, 경쟁작의 여부 및 마케팅의 정도를 비교했을 때 이들과 거리를 두고 있어 이들보다는 5위권의 세 영화의 선례를 따를 것으로 분석된다.[6] 2024년 한국 개봉 영화 중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한 가벼운 장르의 영화는〈위시〉, 〈웡카〉, 〈쿵푸팬더 4〉뿐이며, 2024년 1월 1일서부터 작품 개봉 직전까지의 6월 11일까지 162일 중 저들이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한 기간은 이의 25% 정도인 42일에 해당한다. 여담으로 상영 중인 〈원더랜드〉 역시 그간의 2024년 개봉 영화에 비하면 보기 가벼운 축에 속하나, 장르의 색채를 감안하면 전술한 세 영화의 경우와 같이 마냥 가볍지는 않은 데다 갈리는 평을 듣고 있어 억눌린 수요를 완전히 충족시키지는 못할 것으로 여겨진다.[7] 〈인사이드 아웃〉의 개봉연도인 2015년에 2억 1,700만여 명의 총 관객 수를 기록한 반면, 코로나19 팬데믹이 얼추 정리된 2022년, 2023년에는 그의 절반 가까이 하락한 1억 1,200만여 명, 1억 2,500만여 명의 총 관객 수를 기록했다.[8]그녀가 죽었다〉, 〈나쁜 녀석들: 라이드 오어 다이〉, 〈명탐정 코난 VS 괴도 키드〉, 〈범죄도시4〉, 〈설계자〉 등.[9] 개봉일 자정을 기준으로 1주 차의 타 주요 개봉작 중 가장 높은 예매율을 기록한 〈드라이브〉가 5.7%의 예매율, 기존 작품 중 가장 높은 예매율을 기록한 〈원더랜드〉가 2.3%의 예매율을 기록했다.[10] 개봉일 자정에서의 예매 관객 수를 기준으로 82만 1천여 명의 〈범죄도시4〉, 35만 2천여 명의 〈파묘〉, 32만 3천여 명의 〈듄: 파트 2〉, 27만 2천여 명의 〈쿵푸팬더 4〉를 잇는 수치다. 이들 중 〈듄: 파트 2〉, 〈쿵푸팬더 4〉는 각각 문화가 있는 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로 인한 법정 공휴일이 개봉일과 겹친 영향으로 보다 높은 예매 관객 수를 기록했던 것을 고려하면 순수 사전 관심도는 외화 최고 수준이라고 볼 여지가 있다.[11] 2023년 및 2024년 애니메이션 영화 중 〈더 퍼스트 슬램덩크〉, 〈스즈메의 문단속〉, 〈엘리멘탈〉의 경우 좋은 평을 받아내어 흥행 역주행까지 그려내며 장기 흥행에 성공한 반면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위시〉, 〈쿵푸팬더 4〉와 같이 갈리는 평을 받은 작품들은 큰 낙폭을 기록한 바가 있다. 특히나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쿵푸팬더 4〉의 경우 장기 흥행에 성공한 작품들의 수 배에 해당하는 사전 관심도를 기록했으나, 흥행 성적으로는 저들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12] 종전 기록은 개봉 9일 차에 달성한 〈웡카〉다. 만일 2024년 한국 개봉작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개봉 2일 차에 돌파한 〈범죄도시4〉, 3일 차에 돌파한 〈파묘〉에 이은 기록이 된다.[13] 특전의 영향으로 전일보다 약 15배 상승한 일일 관객 수를 기록한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을 예외로 할 경우 박스오피스 10위권의 작품 중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이날까지 박스오피스 1위를 달성한 2024년 한국 개봉작들의 개봉주 주말 상승폭을 살펴봐도 약 3.5배를 기록한 〈쿵푸팬더 4〉 외에는 2.5배 이상을 상회한 선례가 전무하다. 이로 미루어 보아 〈쿵푸팬더 4〉의 경우와 비슷하게 주말에서 관객 동원에 유리한 대형 프랜차이즈 애니메이션 영화 IP를 비롯한 흥행 요소가 효과적으로 발휘된 것으로 파악된다.[14] 종전 최고 기록은 〈쿵푸팬더 4〉가 개봉일에 기록한 42만 9천여 명이다.[15] 2020년작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이 소소하게 3,910만 달러의 개봉주 성적을 기록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되며 점차 극장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전주 대비 73% 하락한 개봉 2주 차 성적을 기록했으며, 이후의 세 영화 〈소울〉, 〈루카〉, 〈메이의 새빨간 비밀〉은 디즈니+ 공개로 전환됐다.[16] 코로나19 팬데믹 회복기였던 시기상을 반영했을 때 절대적으로는 높으나 8,400만 달러의 기대치를 상당히 밑도는 5,050만 달러의 개봉주 흥행과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 중 가장 낮은 성적인 1억 1,800만 달러의 최종 성적을 기록했다.[17] 2,960만 달러의 개봉주 흥행을 기록했는데, 이는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의 첫 작품으로서 브랜드 이미지가 없던 〈토이 스토리〉가 기록한 2,910만 달러의 개봉주 흥행과 거의 같은 수치다.[18] 5월에 개봉한 〈이프: 상상의 친구〉와 〈가필드 더 무비〉는 1억 5천만 달러에 미치지 못하는 흥행 추이가 예상된다. 가장 흥행 추이가 높은 〈쿵푸팬더 4〉 역시 2억 달러의 성적을 받아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19] 종전 2위 기록은 〈도리를 찾아서〉의 5,470만 달러다. 여담으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가 수요일 변칙 개봉이 행해진 것을 감안해 금요일에서의 기록을 기준으로 할 경우 전술 영화의 5,480만 달러가 종전 2위 기록이 된다.[20] 종전 2위 기록은〈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기록 1억 4,640만 달러다. 만일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범위를 좁힐 경우 종전 2위 기록은 〈도리를 찾아서〉의 1억 3,500만 달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사이드 아웃 2 문서의 r5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인사이드 아웃 2 문서의 r5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