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닌티마이오스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아르치에낙스 왕조
초대---
아르치에낙스---
스파르토코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스파르토코스 1세사티로스 1세셀레우코스레우콘 1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고르기포스스파르토코스 2세파이리사데스 1세사티로스 2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프리타니스에우멜로스스파르토코스 3세파이리사데스 2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스파르토코스 4세레우콘 2세에기에논스파르토코스 5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카마사리에파이리사데스 3세파이리사데스 4세스파르토코스 6세
스파르토코스 왕조
제21대---
파이리사데스 5세---
사우마코스 왕조
초대---
사우마코스---
미트리다테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미트리다테스 1세파르나케스뒤나미스
아산드로스
미트리다테스 2세
미트리다테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뒤나미스
아산드로스
뒤나미스
스크리보니우스
뒤나미스
폴레몬 1세
뒤나미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아스푸르고스게파이피리스미트리다테스 3세코티스 1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레스쿠포리스 1세사우로마테스 1세코티스 2세로메탈케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에우파토르사우로마테스 2세레스쿠포리스 2세코티스 3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사우로마테스 3세레스쿠포리스 3세체도스비오스인닌티마이오스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레스쿠포리스 4세파르산제스테이라네스사우로마테스 4세
티베리우스 - 율리우스 왕조
제21대제22대제23대-
토토르시스라담사데스레스쿠포리스 5세-
도우토노스 왕조
초대---
도우토노스---
훈족의 지배
초대제2대--
그로도스무겔--




보스포로스 왕국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 16대 군주
Ἰνινθίμηος | 인닌티마이오스
파일:인닌티마이오스.jpg
제호한국어인닌티마이오스
그리스어Ἰνινθίμηος
라틴어Ininthimeus
생몰 년도미상 ~ 239년?
재위 기간서기 234년 ~ 서기 239년

1. 개요
2. 행적



1. 개요[편집]


보스포로스 왕국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 16대 군주.

2. 행적[편집]


234년부터 자신의 화폐를 주조하기 시작한 이 왕의 기원에 대해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의 일원이었을 것이라는 주장과 사르마티아 또는 알란족 혈통의 외국인 찬탈자였을 거라는 설이 병립하고 있다. 찬탈자였다는 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그가 전임자들과 다른 탐가(tamga: 추상 인장)를 사용했다는 걸 지목하지만, 다수의 학자들은 그것만으로 외부 세력 출신이라고 보기 힘들며,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성씨를 계속 체택하고 방어 요새를 꾸준히 중축하는 등 유목민족의 침략에 대비한 것을 볼 때 왕가의 일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하지만 그와 전왕 코티스 3세, 레스쿠포리스 3세와의 관계는 기록이 없어서 알 수 없다.

그는 통치 초기부터 알란, 사르마티아, 고트족 등 여러 외세의 공격에 맞서기 위해 판티카파에움에 일루라톤 요새를 추가로 건설하는 등 여러 요새를 세웠다. 또한 경제 사정이 악화된 점을 감안해 금화 주조를 완저히 중단하고 아프로디테 또는 이슈타르 여신의 초상을 담은 은화와 청동화를 주조했다. 그러나 238년에서 240년 사이에 알란족이 대대적으로 쳐들어와서 크림 반도 전역이 파괴되는 걸 막지 못했으며, 수도 고르기피아는 239년 함락되어 철저히 파괴되었다. 그는 이때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레스쿠포리스 4세가 왕위에 올랐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21:22:42에 나무위키 인닌티마이오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