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애(1951)

덤프버전 : (♥ 0)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common?type=o&size=120x150&quality=95&direct=true&src=http%3A%2F%2Fsstatic.naver.net%2Fpeople%2F111%2F201003041646456691.jpg

李榮愛
1951년 09월 23일 ~

1. 개요
2. 소속 정당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이다.

1951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부여여자중학교, 부여여자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 중앙당 여성부장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1990년 3당 합당민주자유당 창당에 합류하였으며 김종필 최고위원 비서실 부장직을 수행하였다.

1995년 김종필이 민주자유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할 때 합류하였다. 이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측 여성기획단장을, 2005년 자유민주연합 여성사무부총장을 역임하였다.

2006년 자유민주연합이 한나라당에 흡수되자 한나라당 소속이 되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 국회의원(27번)에 입후보하였으나 당선되지는 못하였다. 2011년 김금래가 여성가족부 장관에 임명되자 비례대표 국회의원직을 승계하여 2012년까지 역임하였다.

2013년 부여, 청양 재보궐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이완구의 등장으로 포기하였다.


2.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68c8ca7688071d89efeaa2079b2ef661[[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7 - 1990정계 입문
창당

ta-hash-start=w-ddd21fdd3158de79052d4dd683573113[[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 - 1995합당[1]

ta-hash-start=w-cad720d4655d44867660372097a3188b[[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5당명 변경

무소속

1995탈당[2]

ta-hash-start=w-1e0b98ffbf6e647bbcfb5f1032f21ce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2006창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 - 2012합당[3]

ta-hash-start=w-79cb1e98088b4db40ee690445450380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5bbc67c39fbdf1c74e28b86c595f6e4a[[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ab7d19e82cc921e91e92dd470f68d47f[[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3. 둘러보기[편집]


파일:한나라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8대 국회 비례대표
[ 펼치기 · 접기 ]

강명순임두성[B]배은희강성천이정선김장수
김소남정진석[B]이은재이달곤[B]김금래[B]나성린
조윤선조문환손숙미원희목이애주이춘식
정옥임임동규김옥이이정현이두아김성동
최경희이영애
[B] A B C D 임기 중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영애(동명이인)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영애(동명이인)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42:51에 나무위키 이영애(195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2] 자유민주연합 창당을 위한 탈당[3] 해산과 동시에 한나라당에 일괄 합류[4]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