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은평구 갑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은평구 갑.svg
선거인 수236,540명 (2020)
상위 행정구역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은평구 일부
녹번동, 역촌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서대문구·은평구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주민




1. 개요[편집]


소선거구를 실시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은평구의 남부 지역에 해당하며 녹번동, 증산동, 신사동, 응암동, 수색동을 '은평구 갑'으로 명명되고 이후로는 큰 변화 없이 계속 유지되다가 2016년 제20대 총선때 은평구 을에 속해있던 역촌동이 편입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처음 선거가 치러진 13대 총선과 16대 총선을 제외하고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들이 모두 승리한 그야말로 민주당 초강세 지역구로[1], 현역 의원 또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재선 박주민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선거 결과[편집]


  • 고양군 은평면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로 편입(1949년)된 이후부터 서술하며 볼드체 지역이 현 은평구 갑 지역이다.

대수의원명당적임기비고선거구
제2대윤기섭
무소속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서대문구 을[2]
제3대이기붕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제4대최귀남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김산

1960년 7월 29일 ~ 1961년 5월 16일
제6대윤제술
ta-hash-start=w-85d55406ac93180c9b5dd7154332a548[[파일:민정당 글자.svg
1963년 12월 27일 ~ 1965년 6월[3]
홍영기
ta-hash-start=w-ac597b7eca2b4a550ad15962eeeee42a[[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년 11월 10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윤제술
ta-hash-start=w-d137365c43ccaccecdf7316c2dd05609[[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윤제술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서대문구 병[4]
제9대김재광
무소속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서대문구
오유방
ta-hash-start=w-9ec66d686af106f0bdd9e2d22ff25897[[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제10대김재광
ta-hash-start=w-1e0b98ffbf6e647bbcfb5f1032f21ce5[[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오유방
ta-hash-start=w-13d763a5838ca85acd2d4ff824ab03ea[[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제11대손세일
ta-hash-start=w-b5d17ed2b502da15aa727af0d51508d6[[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서대문구·은평구
윤길중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2대김재광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8dd09b9ff11f0df5624a690fe0f672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윤길중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3대오유방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ta-hash-start=w-d51b59a6c812d707efafbd8bcfbae40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은평구 갑[5]
제14대손세일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강인섭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이미경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박주민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예정)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유방(吳有邦)30,6871위
31.80%당선
2오상현(吳上鉉)23,6443위
24.50%낙선
3조동회(趙東會)29,1272위
30.19%낙선
4송지현(宋芝顯)9,5554위
9.90%낙선
5황성(黃成)4877위
0.50%낙선
6송장달(宋障達)2,1395위
2.21%낙선
7손가명(孫嘉明)8326위
0.86%낙선
선거인 수141,534투표율
68.78%
투표 수97,342
무효표 수871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응암4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유방(吳有邦)38,7592위
36.39%낙선
2손세일(孫世一)42,3611위
39.77%당선
3임인채(林忍采)19,1053위
17.93%낙선
4나강수(羅康秀)6,2854위
5.90%낙선
선거인 수156,231투표율
68.87%
투표 수107,599
무효표 수1,089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응암4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인섭(姜仁燮)34,0582위
35.73%낙선
2손세일(孫世一)37,0451위
38.86%당선
3장두환(張斗煥)11,7173위
12.29%낙선
4임인채(林忍采)8,9674위
9.40%낙선
5송창달(宋彰達)2,0905위
2.19%낙선
6이래원(李來元)1,4406위
1.51%낙선
선거인 수163,774투표율
68.39%
투표 수96,535
무효표 수1,218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응암4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인섭(姜仁燮)35,3161위
43.45%당선
2손세일(孫世一)30,6712위
37.73%낙선
3이근봉(李根鳳)3,7194위
4.57%낙선
4남요원(南堯元)2,8626위
3.52%낙선
5조규식(曺圭湜)3,0885위
3.79%낙선
6김신호(金信浩)5,6183위
6.91%낙선
선거인 수158,117투표율
51.91%
투표 수82,072
무효표 수798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응암4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인섭(姜仁燮)33,7832위
34.45%낙선
2황정연(黃貞淵)7,2213위
7.36%낙선
3이미경(李美卿)50,7851위
51.79%당선
4김신호(金信浩)2,4295위
2.48%낙선
5봉태홍(奉泰弘)4646위
0.47%낙선
6김해업(金海業)3,3795위
3.45%낙선
선거인 수167,207투표율
59.18%
투표 수98,948
무효표 수887

2.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응암4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미경(李美卿)33,6381위
45.82%당선
2안병용(安秉龍)26,9932위
36.77%낙선
3조일호(曺一鎬)2,7214위
3.70%낙선
4강화연(姜和延)2,0455위
2.78%낙선
6강인섭(姜仁燮)6,8773위
9.36%낙선
7이상재(李相宰)5736위
0.78%낙선
8오순덕(吳順德)5607위
0.76%낙선
선거인 수173,326투표율
42.92%
투표 수73,901
무효표 수494
18대 총선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긍정적인 여론의 영향으로 진보 성향의 후보에게 상당히 불리한 선거였지만, 이미경 의원이 은평갑 지역 현역 의원으로 있으면서 지역 관리를 잘해서 그런지, 9% 가량 차이를 벌이며 다른 후보 당선 지역보다 크게 승리했다. 물론 전직 의원이 친박연대로 나와서 9.4%나 갉아먹고, 다른 서울 지역에는 출마를 거의 못한 자유선진당까지 나와 3.7%를 득표한 것도 컸다. 진보3당이 전부 나오고 친박연대, 자유선진당이 모두 나오지 않은 관악구 갑과 반대 케이스.

2.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홍재(崔弘在)36,0712위
41.46%낙선
2이미경(李美卿)42,6721위
49.05%당선
6안효상(安孝祥)3,7044위
4.25%낙선
7이재식(李在植)4,5393위
5.21%낙선
선거인 수171,456투표율
51.15%
투표 수87,699
무효표 수713


2.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역촌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홍재(崔弘在)42,9912위
40.88%낙선
2박주민(朴柱民)57,7671위
54.93%당선
3김신호(金信浩)-사퇴
-
5최승현(崔承現)4,4013위
4.18%낙선
선거인 수209,352투표율
55.8%
투표수116,808
무효표수11,649


2.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역촌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주민(朴柱民)86,3511위
64.29%당선
2홍인정(洪仁貞)45,5892위
33.94%낙선
3한웅(韓雄)1,5513위
1.15%낙선
7노병현(盧秉顯)8194위
0.60%낙선
선거인 수206,917투표율
65.6%
투표 수135,749
무효표 수1,43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은평구 갑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주민홍인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351
(64.29%)
45,589
(33.94%)
+ 40,762
(△30.35)
135,749
(65.60%)
녹번동61.49%36.80%△24.6862.33
응암1동65.19%33.03%△32.1562.61
응암2동65.30%33.10%△32.1965.79
응암3동64.12%34.08%△30.0361.20
증산동60.24%38.18%△22.0667.02
수색동56.09%42.03%△14.0667.57
신사1동64.10%34.27%△29.8365.48
신사2동62.43%35.41%△27.0261.63
역촌동64.27%33.94%△30.3360.75
후보박주민홍인정격차
거소·선상투표65.85%30.31%△35.54
관외사전투표72.98%25.11%△47.86
재외투표76.58%22.74%△53.84
현역 박주민 의원은 당에서 단수공천을 받고 출마가 확정하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남기정 전 은평구의회 의원, 신성섭 전 서울시당 수석부위원장, 하태종 경제학 박사, 한석헌 전 동오화학 차장, 홍인정 전 당협위원장이 예비후보로 등록했고 경선 끝에 홍인정 위원장이 공천을 받았다.

개표 결과 현역인 박주민 후보가 지역구 관리를 매우 잘해서 지난 선거보다 10% 가까이 더 높은 득표율을 기록, 상대 후보를 무려 30%P차로 제치며 압승을 거두었다. 또한 미래통합당 홍인정 후보가 박주민 의원에 비해 너무 인지도가 없었다. 서울특별시 전체에서 3번째로 높은 득표율이다.[6][7]


2.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은평구 갑
녹번동, 역촌동, 증산동, 신사1동, 신사2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수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민주당이 서울 48석 중 7석에 그치는 대참패를 당했던 18대 총선에서도 승리했던 곳이다.[2] 교남동, 냉천동, 송월동, 평동, 홍파동, 천연동, 옥천동, 교북동, 행촌동, 영천동, 현저동, 홍제동, 부암동, 홍지동, 신영동, 녹번동, 불광동, 갈현동, 대조동, 구산동, 역촌동, 신사동, 응암동, 홍은동, 송산동, 수색동, 상암동, 중동, 성산동, 남가좌동, 북가좌동, 구기동, 평창동, 증산동[3] 한일기본조약에 항의해 의원직 사퇴.[4] 녹번동, 응암동, 불광동, 대조동, 갈현동, 구산동, 역촌동, 신사동, 증산동, 북가좌동, 남가좌동. 수색동은 당시 서대문구 을에 속했다.[5] 20대부터는 역촌동이 편입되었다[6] 1위는 강남구 병미래통합당 유경준(65.38%) 후보, 2위는 강북구 을더불어민주당 박용진(64.45%) 후보이다.[7] 전국 1위는 광산구 을더불어민주당 민형배 후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