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구/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1.1. 구의회
2. 특성
3. 역대 선거 결과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유성구 CI.svg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유성구 갑유성구1진잠동, 원신흥동, 상대동, 학하동
유성구2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
유성구 을유성구3노은2동, 노은3동, 신성동
유성구4전민동, 구즉동, 관평동

1.1. 구의회[편집]


파일:유성구 CI.svg유성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2. 특성[편집]


정치적으로는 민주당계 우세 지역으로, 반대로 말하면 보수 정당 입장에서는 상당한 불모지였으나 문재인 정부를 거치면서 부동산 실책탈원전 정책, 젠더 갈등 방임으로 말미암은 청년 남성층보수화 등으로 스윙보터 지역으로 바뀌었다. 다른 지역과 비교하면 수원시 영통구와 전국 단위 선거 지지 성향이 거의 흡사하다. 진보 성향이 강한 연구원 밀집 지역이기도 하면서[1], 충남대학교·카이스트자운대를 끼고 있어 2030 청년층도 많이 거주하기 때문이다. 지역적으로도 대덕 과학벨트, 세종시 수정안 논란, 기타 연구예산 및 연구소 이전 문제로 보수정당에 대한 여론이 차가웠다.

유성구가 분리된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미래통합당-국민의힘 모두 이곳에서 국회의원을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지방선거 데이터를 봐도 보수정당 계열 인사가 뽑힌 것은 구도 자체가 보수 정당에 많이 기울었던 2004년 재보궐선거,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구청장 선거 뿐이었고, 이후로는 꾸준히 민주당이 깃발을 꽂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당선 이후 부활시킨다는 과학기술부를 갑자기 미래창조과학부라는 이름으로 내놓고, 과학기술계의 기대에 못 미치는 정책들을 남발하는 등 삽질을 하며 그나마 있던 보수 지지층조차 지속적으로 하락,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선 민주당 초강세 성향이 본격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유성구의 두 선거구에서 각각 15%p, 30%p의 매우 큰 격차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고, 비례대표에서도 민주당과 국민의당의 분열로 인해 전국적으로 새누리당이 어부지리 1위를 하는 와중에도, 민주당이 홀로 30%를 넘으면서 24%에 그친 새누리당을 앞섰다.

또한 2016년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보수세가 급격히 몰락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문재인 후보가 무려 47.51%를 득표하여, 2위 국민의당 안철수를 무려 25.86% 격차로 누르고 압승했다. 47.5%의 득표율을 기록한 곳은 전라도를 제외하면 세종시, 영통구가 전부였다. 특히 11개동 모두 전국 평균 득표율을 넘긴 것은 상징하는 바가 크다. 가장 낮게 나온 신성동조차 42.3%가 나왔는데, 자운대[2]도룡동[3]이 위치해 군인 및 부자 표로 평균치가 깎였음에도 이러한 수치가 나왔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6.3%에 그쳐 역시 전라도, 세종, 영통구 다음으로 낮은 득표율을 얻었다. 홍 후보는 진잠동 20.45% 말고는 20% 이상을 득표한 곳이 단 한 군데도 없었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는 7.4%의 득표율을 얻어 충청도 전체에서 계룡시 다음으로 득표율이 높았다.

민주당 초강세 구도는 2018년 제7회 지방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이어졌다. 지선에서는 시장 61:26, 구청장 63:23, 총선에서는 갑구 56:40, 을구 56:37로 말이 필요없을 만큼 민주당의 독식이 이어졌다.

그러나 2022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48.66%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7.50%를 약 1.15%p 차로 누르는 이변이 일어났다. 충남대학교, 카이스트 등 대학가가 있어 해당 대학 기숙사생·자취생이 많은 온천2동에서 윤석열 후보가 53%:43%으로 무려 10%p 이상 압승을 거두어 격차를 많이 벌린 것이 이유였다. 관악구처럼 2030 세대가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민주당 지지도가 높았던 것이, 역으로 2030 민심이 등을 돌리면서 국민의힘과 윤석열 측이 힘을 받을 수 있었다.[4] 또한 도안신도시의 집값 상승으로 부동산 민심이 작용한 것 역시 유성구의 보수화에 영향을 미쳤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대전광역시장, 유성구청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더 높은 지지를 받았다. 특히 충청도 광역자치단체장 4석을 국민의힘이 석권한 가운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유일한 충청도 기초자치단체였다.[5] 유성구가 원래 다른 지역보다 민주당세가 강한 것도 있지만, 민주당 허태정 시장의 지역기반이 유성구였고 과거 국민의힘 이장우 시장과 진동규 구청장은 색깔론과 강성 발언으로 청년층에게 여론이 좋지 않기도 하다.

대전시의회에서는 민주당이 3석을, 국민의힘이 1석을 가져갔지만, 유성구의회 선거에서는 국민의힘이 다수당을 차지했다. 정당 지지율을 가장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광역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다른 충청권보다는 덜하지만 국민의힘이 더 많은 표를 받았다.

그 외에는 외지인이 많아 토박이들이 그다지 큰 힘을 쓰지 못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8회 지선때는 양당의 구청장 후보가 모두 토박이가 아닌 외지 출신이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런데 여기서 변수가 생겼다. 윤석열 대통령의 R&D 예산 원점 재검토 지시 뒤 두달 만에 정부에서 해당 예산을 전격 삭감함으로써[6] 이 지역 연구기관과 연구원들이 부글부글 끓고 있어 이것이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으로서는 총선에 상당한 악재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문재인 정부의 실책 덕분에 어렵게 쌓아올린 국민의힘의 유성구 지지 기반이라는 공든 탑이 송두리째 무너질 위기에 처해있다. 또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과 이장우 현 시장의 높은 부정평가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어 22대 총선때는 민주당이 힘을 쓸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


파일:유성구 CI.svg 역대 유성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0 재보궐20022004 재보궐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
송석찬[7]이병령[8]진동규
20062010201420182022
한나라당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진동규허태정정용래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송석찬 42.47%

2위:
ta-hash-start=w-b48e272f0490d5a96ce648f0117cddf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노세우 24.39%
3위:
ta-hash-start=w-fcc5b727bd30570766d15fb2d4e4ccd5[[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이병오 19.20%
1998년1위:
ta-hash-start=w-54abd449b84769eaf9d45fcad274f9c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송석찬 58.71%

2위:
ta-hash-start=w-43ec517d68b6edd3015b3edc9a11367b[[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이병찬 32.62%
2002년1위:
ta-hash-start=w-91d8c479ac8f6ca2291cd95a31c46b3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이병령 54.83%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현규 35.88%
2004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진동규 26.56%

2위:
ta-hash-start=w-9cb91ee3d3065c886d1ab3c0ecdef48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김성동 26.16%
3위:
ta-hash-start=w-452533fb9fd5308818f17794e4537cb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준 17.42%
4위:
ta-hash-start=w-74fdb1c15266a3dd1cac5ffe1c776cb1[[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현관 15.25%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진동규 53.00%

2위:
ta-hash-start=w-36df85263a080f7ce7c3f6098325def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노중호 26.84%
3위:
ta-hash-start=w-0f5c0a62b7d3d568f84c2784fc989420[[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종선 11.06%
2010년1위:
ta-hash-start=w-6272cac69aef2c5244e65ee38ca04f1a[[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허태정 41.86%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진동규 31.66%
3위:
ta-hash-start=w-ff54ef06e9e99df0df21cd146bda159d[[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재용 26.46%
2014년1위:
ta-hash-start=w-42aca308383ef9a5e38b0ab32b542dd5[[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허태정 60.71%

2위:
ta-hash-start=w-5c4ca203172b06327998724484e5c72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진동규 36.25%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용래 63.26%

2위: 권영진 22.57%
3위: 심소명 14.16%
2022년1위: 정용래 51.16%
2위: 진동규 48.83%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유성구 개표 결과
대전광역시장 선거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허태정이장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8,142
(52.70%)
70,109
(47.29%)
+ 8,033
(△5.41)
51.58%
진잠동[*A ]51.30%48.70%△2.6044.53
학하동48.55%51.45%▽2.9046.10
원신흥동[*B ]50.81%49.19%△1.6248.18
상대동48.58%51.42%▽2.8450.21
온천1동[*C ]47.24%52.76%▽5.5238.45
온천2동[*D ]50.67%49.33%△1.3448.38
노은1동[*E ]54.20%45.80%△8.4051.43
노은2동[*F ]54.61%45.39%△9.2250.79
노은3동[*G ]56.20%43.80%△12.4053.21
신성동[*H ]50.94%49.06%△1.8848.66
전민동[*I ]54.38%45.62%△8.7652.93
구즉동[*J ]55.77%44.23%△11.5443.18
관평동[*K ]53.72%46.28%△7.4452.17
후보허태정이장우격차
거소·선상투표52.24% 47.76%△4.48
관외사전투표55.64%44.36%△11.28
후보허태정이장우격차투표율
유성구 갑[9][10]50.29%49.71%△0.58
54.40%45.60%△7.80
유성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용래진동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5,498
(51.16%)
72,070
(48.83%)
+ 3,428
(△2.33)
51.58%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유성구
유성구 일원
정당새누리당민주통합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81,92896,401
득표율45.79%53.8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25,936
투표 수179,329
무효표 수424
투표율79.37%

18대 대선 대전 유성구 개표 결과
정당새누리당민주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1,928
(45.79%)
96,401
(53.88%)
-14,473
(▼8.09)
79.37%
진잠동49.02%50.69%▼1.6775.40
온천1동49.41%50.39%▼0.9875.17
온천2동46.75%52.86%▼6.1176.93
노은1동45.77%54.0%▼8.2380.80
노은2동43.57%56.15%▼12.5882.20
신성동49.79%49.75%0.04[11]81.22
전민동43.26%56.51%▼13.2582.85
구즉동40.88%58.71%17.8377.84
관평동42.26%57.46%▼15.2083.38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4.61%64.96%30.35
국내부재자투표45.62%53.48%▼7.86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유성구
유성구 일원[유성]
정당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정의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3,31335,44547,08116,14514,723
득표율47.51%16.30%21.65%7.42%6.77%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266,632
투표 수218,087
무효표 수663
투표율81.79%

19대 대선 대전 유성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3,313
(47.51%)
35,445
(16.30%)
47,081
(21.65%)
16,145
(7.42%)
14,723
(6.77%)
+56,232
(△25.86)
81.79%
진잠동42.96%20.45%23.76%6.03%6.39%△19.2073.48%
원신흥동46.44%16.66%22.87%7.13%6.60%△23.5779.76%
온천1동42.42%19.84%23.09%7.08%7.11%△19.3371.18%
온천2동44.69%18.20%22.02%8.21%6.61%△22.6778.34%
노은1동49.39%16.36%20.60%7.03%6.31%△28.7983.34%
노은2동50.26%16.64%20.49%6.73%5.56%△29.7782.23%
노은3동51.59%15.03%20.46%6.88%5.79%31.1383.19%
신성동42.31%18.61%23.45%9.48%5.90%△18.8682.60%
전민동49.99%15.56%19.90%7.84%6.45%△30.0984.08%
구즉동49.34%13.94%21.85%6.10%8.31%△27.4976.83%
관평동50.81%13.72%20.85%7.72%6.67%△29.9685.47%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9.30%17.67%28.60%8.84%2.79%△10.70
관외사전투표49.48%13.12%20.56%8.58%7.92%△28.92
재외투표57.75%7.04%17.19%4.0%13.62%△40.56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유성구 갑[12][13]45.10%18.25%22.55%7.14%6.62%22.5576.98%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유성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8,701
(47.50%)
111,342
(48.66%)
- 2,641
(▼1.15)
231,027
(80.02%)
진잠동[14]48.70%47.31%△1.3872.56
학하동[15]44.66%52.17%▼7.5176.27
원신흥동[16]47.48%49.06%▼1.5878.16
상대동[17]42.63%53.77%▼11.1478.68
온천1동[18]43.77%52.06%▼8.2970.47
온천2동[D]43.02%53.03%▼10.0176.16
노은1동[E]48.86%47.54%△1.3281.14
노은2동[F]49.01%47.27%△1.7479.02
노은3동[G]51.45%45.05%△6.4080.64
신성동[H]43.37%53.19%▼9.8180.51
전민동[I]47.99%48.46%▼0.4781.34
구즉동[J]53.96%41.44%△12.5274.01
관평동[K]49.83%46.48%△3.3581.70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5.04%49.56%▼4.53
관외사전투표47.99%47.56%△0.43
재외투표58.17%37.11%△21.0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유성구 갑[19][20]45.49%50.76%▼5.2775.91
49.40%46.87%△2.5379.60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유성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유성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조승래장동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463
(56.52%)
39,588
(40.34%)
+ 15,875
(△16.18)
99,185
(66.65%)
[ 펼치기 · 접기 ]

진잠동[A]55.11%42.25%△12.8559.42
원신흥동[B]56.20%41.26%△14.9366.34
온천1동[C]52.85%43.61%△9.2457.88
온천2동[*D ]54.39%41.94%△12.4566.40
노은1동[*E ]59.72%37.31%△22.4170.29
후보조승래장동혁격차
거소·선상투표57.20%36.24%△20.96
관외사전투표64.04%32.45%△31.59
재외투표76.13%20.45%△55.68

[A] 옛 대덕군 진잠면 전지역.[B] 법정동 원신흥동 · 상대동 · 봉명동(일부)[C] 법정동 봉명동(일부) · 구암동 · 덕명동 · 복용동. 한밭대학교가 있는 동네

국회의원 선거 (유성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이상민김소연김윤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3,785
(55.85%)
35,629
(37.00%)
6,355
(6.59%)
+ 18,156
(△18.85)
97,283
(72.20%)
[ 펼치기 · 접기 ]

노은2동[*F ]53.88%38.31%7.44%△15.5769.80
노은3동[*G ]56.25%35.98%7.37%△20.2770.73
신성동[*H ]49.00%44.69%5.88%△4.3270.27
전민동[*I ]56.96%37.05%5.56%△19.9173.73
구즉동[*J ]57.52%33.73%7.65%△23.7961.74
관평동[*K ]57.12%36.38%6.05%△20.7473.62
후보이상민김소연김윤기격차
거소·선상투표52.73%39.30%△13.43
관외사전투표59.92%33.02%△26.89
재외투표64.00%35.00%△29.00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4,520
(28.73%)
64,546
(34.02%)
22,097
(11.64%)
17,870
(9.41%)
12,220
(6.44%)
- 10,026
(▼5.28)
196,457
(69.26%)
[ 펼치기 · 접기 ]

진잠동[*A ]31.61%34.42%9.54%7.98%4.82%▼2.8159.43
원신흥동[*B ]31.73%34.12%9.53%9.46%6.17%▼2.3966.34
온천1동[*C ]33.65%32.49%9.02%8.65%5.11%△1.1657.88
온천2동[*D ]31.99%31.35%10.32%10.83%5.55%△0.6466.40
노은1동[*E ]28.12%35.43%10.42%9.66%7.38%▼7.3270.29
노은2동[*F ]27.53%32.78%14.02%9.35%6.65%▼5.2569.83
노은3동[*G ]26.10%35.14%13.26%9.34%7.49%▼9.0470.75
신성동[*H ]32.12%28.47%11.83%11.92%6.77%△3.6470.27
전민동[*I ]26.77%33.16%13.17%10.69%7.78%▼6.3973.73
구즉동[*J ]23.44%39.06%13.68%6.90%5.25%▼15.6261.74
관평동[*K ]26.68%34.74%13.34%9.46%7.31%▼8.0673.62
정당
ta-hash-start=w-9ce82245e0ee99385295206eb010a1cf[[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9fcda327fa2dc952170ec46d34fc96b[[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fbed2030553a7edb64201625e814453a[[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956e82be5939a571727ae6ed844163d[[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ff0d38c72eb2b26fbd1f501185cc6b6f[[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25.61%33.99%8.37%5.91%2.95%▼8.37
관외사전투표24.50%36.31%12.91%8.93%7.10%▼11.81
재외투표20.11%34.63%13.40%7.82%15.08%▼14.5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성구 갑 문서의 r15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유성구 갑 문서의 r1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성구 문서의 r97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유성구 문서의 r97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9:13:51에 나무위키 유성구/정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성구 쪽에 연구원 대상 계획 아파트 단지가 많은데, 이 연구원들 연령대가 40대~50대가 주류이다.[2] 신성동 제5투표소가 자운대 내부에 있었다. 이 곳의 결과는 문재인 24.87%, 홍준표 22.36%, 안철수 31.92%, 유승민 16.26%, 심상정 4.42%였다. 물론 관외투표는 제외된 결과이다.[3] 스마트시티를 비롯해 대전에서 집값이 가장 높은 주거단지가 몰려있는 법정동으로, 충청도의 대표적 부촌이다.[4] 특히 카이스트는 공대가 상당히 파워풀한 남초 대학이기 때문에 2030 남성층의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에 대한 민심 이반을 더더욱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서울대학교의 영향으로 똑같이 청년층의 표 이탈 문제를 겪었던 관악구여대생이나 인문대학·사회과학대학 재학생들도 많아 비록 18대 대선 때 문재인 몰표와 같이 압도적이지는 않지만 그나마 표심 방어를 해서 인천 서구 또는 경기도 평균과 제법 비슷한 격차를 낼 수 있었다.[5] 일반구를 나눠서 볼 경우 천안시 서북구도 포함된다.[6] IMF 사태 때도 적어도 R&D 예산은 깎지 않았다. 이번 R&D 예산 삭감은 무려 33년만의 일이다.[7] 00.02.06. 구청장직 사퇴 (16대 총선 출마)[8] 03.12.07. 구청장직 사퇴 (17대 총선 출마)[9] 진잠동, 원신흥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10] 지역구 국회의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재선)[11] 불과 6표 차 접전이었다.[유성] 노은1동, 노은2동, 노은3동, 온천1동, 온천2동, 원신흥동, 진잠동, 신성동, 전민동, 관평동, 구즉동[12]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조승래[13] 관할 동 : 진잠동, 원신흥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14] 옛 대덕군 진잠면 (원내동 · 교촌동 · 대정동 · 용계동 · 성북동 · 방동 · 세동 · 송정동)[15] 법정동 학하동 · 복용동(일부) · 계산동 · 덕명동. 한밭대학교가 있는 동네[16] 법정동 원신흥동 · 봉명동(일부). 도안신도시의 일부[17] 법정동 상대동 · 복용동(일부). 도안신도시의 일부[18] 법정동 구암동 · 봉명동(일부)[D] 법정동 장대동 · 궁동 · 어은동 · 구성동 · 죽동(일부). 카이스트, 충남대학교가 있는 동네[E] 법정동 노은동 · 갑동 · 지족동(일부) · 죽동(일부). 국립대전현충원이 있는 동네[F] 법정동 지족동(일부) · 죽동(일부) · 하기동(일부) · 외삼동 · 안산동 · 수남동[G] 법정동 지족동(일부) · 반석동. 육군군수사령부가 있는 동네[H] 옛 대덕군 탄동면. 자운대대덕연구개발특구, 한국조폐공사 본사가 있는 동네[I] 법정동 전민동 · 문지동 · 원촌동. 카이스트 문지캠퍼스,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및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있는 동네[J] 옛 대덕군 구즉면 (송강동 · 봉산동 · 금고동 · 대동 · 금탄동 · 신동 · 둔곡동 · 구룡동)[K] 법정동 관평동 · 용산동 · 탑립동. 대덕테크노벨리가 있는 동네[19] 진잠동, 학하동, 원신흥동, 상대동, 온천1동, 온천2동, 노은1동[20] 지역구 국회의원: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재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