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2020

최근 편집일시 : (♥ 0)

||
대회 이후기록실 · 팀별 리뷰



UEFA 유로 2020
UEFA EURO 2020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2020[1]
파일:UEFA 유로 2020 로고.svg
대회 기간2021년 6월 12일 ~ 7월 12일 (한국시각)
개최국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분산 개최
본선 진출팀24개팀
{{{#fff 대회 결과 }}}
우승이탈리아
(2번째 우승)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준우승잉글랜드파일: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fff 수상 }}}
MVP파일:UEFA ITA.png 잔루이지 돈나룸마
골든부트파일:UEFA POR.png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5골)
{{{#fff 연표 }}}
이전 대회UEFA 유로 2016 (프랑스)
다음 대회UEFA 유로 2024 (독일)

1. 개요
2. 유치
2.1. 유치 과정
2.2. 유치 결과
3. 대회 이모저모
3.1. 소개
3.2. 심판진
3.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3.4. 공인구
3.5. 주제가
3.6. 공식 스폰서십
3.7. 개최 직전 평가전
4. 예선
4.1. 예선 조 편성
4.2. 조 편성 결과
4.3. 예선 진행
4.4. 본선 진출팀
5. 시드 배정 및 조추첨
6. 대회 진행
6.1. 조별 리그
6.2. 결선 토너먼트
6.3. 우승
7. 최종 순위
8. 토너먼트의 팀
9. 기록실
10. 팀별 리뷰
11. 논란
12. CJ ENM 중계
13. 기타
13.1. eEURO 2020
13.2. eEURO 2021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UEFA 유로 2020 공식 인트로 영상[2]
UEFA 유로 2020은 16번째로 개최되는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이다.

원래는 2020년에 대회가 열릴 예정이었으나 2020년 초 유럽 전역에 걸쳐 크게 유행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년 연기되었다.[3] 그러나 UEFA가 대회 명칭은 공식적으로 UEFA 유로 2020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4][5]

대회 기간: 2021년 6월 11일 ~ 7월 11일 (유렵 현지 시각)
영어: The 2020 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프랑스어: Championnat d'Europe de football 2020
독일어: Fußball-Europameisterschaft 2020

이번 대회는 종전과 달리 단일 개최국은 없으며, 11개국 도시에서 분산해서 열리게 되는 범유럽 규모가 되었다. 11개의 도시에서 24강 조별 리그, 16강전, 8강전이 개최되며, 1개의 도시에서 4강전과 결승전이 열린다.[6]


2. 유치[편집]



2.1. 유치 과정[편집]


국가 도시 경기장 수용능력 신청 패키지 유치 결과
파일:UEFA ENG.png런던웸블리 스타디움
(Wembley Stadium)
90,000명파이널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AZE.png바쿠바쿠 올림피아 스타디온
(Bakı Olimpiya Stadionu)
68,700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DEN.png코펜하겐파르켄 스타디움
(Parken Stadium)
38,065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GER.png뮌헨푸스발 아레나 뮌헨
(Fußball-Arena München)
70,000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HUN.png부다페스트푸슈카시 아레나
(Puskás Aréna)
56,000명[7]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ITA.png로마스타디오 올림피코
(Stadio Olimpico)
72,698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NED.png암스테르담요한 크루이프 아레나
(Johan Cruyff ArenA)
53,052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ROU.png부쿠레슈티아레나 나치오날러
(Arena Națională)
55,600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RUS.png상트페테르부르크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St Petersburg Stadium)
68,134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SCO.png글래스고햄던 파크
(Hampden Park)
51,866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ESP.png세비야에스타디오 라 카르투하 데 세비야[8]
(Estadio La Cartuja de Sevilla)
60,000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
파일:UEFA BEL.png브뤼셀유로스타디움
(Eurostadium)
50,000명[9]표준 패키지유치 성공했으나 개최권 박탈
파일:UEFA IRL.png더블린더블린 아레나
(Dublin Arena)
51,700명표준 패키지유치 성공했으나 개최권 포기
파일:UEFA BLR.png민스크트라크타르 스타디움
(Traktar Stadium)
34,000명[10]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파일:UEFA BUL.png소피아스타디온 슬라비아
(Stadion Slavia)
43,000명[11]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파일:UEFA ISR.png예루살렘테디 스타디움
(Teddy Stadium)
34,000명[12]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파일:UEFA MKD.png스코페필리포스 2세 아레나[13]
(Philip II Arena)
33,460명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파일:UEFA SWE.png스톡홀름프렌즈 아레나
(Friends Arena)
50,000명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파일:UEFA WAL.png카디프밀레니엄 스타디움[14]
(Millennium Stadium)
74,500명표준 패키지유치 실패

총 19개국에서 신청하였다.[15] 표준 패키지는 24강 본선 조별리그 3경기와 토너먼트 1경기를 개최하는 구성이며 파이널 패키지는 준결승과 결승 경기를 개최하는 구성이다. 이 중 잉글랜드만 준결승과 결승 경기를 열기 위한 파이널 패키지를 신청하였다.

2014년 9월 19일 13개 도시와 준결승과 결승 경기장을 최종 결정했다. 브뤼셀은 2017년 12월 7일에 대회 개최 준비 부족을 이유로 UEFA로부터 개최 자격을 박탈당했다. 브뤼셀에서 열릴 예정이던 16강전, 24강 본선 조별리그 경기는 런던에서 대신 개최하게 되었다. 더블린은 2021년 4월 하순에 아일랜드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전혀 나아지지 않는다라고 주장해서 UEFA 유로 2020 본선 개최를 포기 선언하였다. 더블린에서 열릴 예정이던 조별 리그 경기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16강전은 런던에서 대신 개최하게 되었다.


2.2. 유치 결과[편집]




3. 대회 이모저모[편집]



3.1. 소개[편집]


단일 혹은 2개 국가가 개최하는 대회보다 "유럽 전체를 위한 유로"의 개최 결정은 UEFA 前 회장 미셸 플라티니의 아이디어를 따른다. 60주년 기념으로 UEFA 유로 2020 본선은 유럽 전역이 개최국이 되어 전체 13개 도시에서 열린다.



3.2. 심판진[편집]


국적이름출생
파일:UEFA ARG.png[16]페르난도 라팔리니 (Fernando Rapallini)1978년 4월 28일
파일:UEFA ENG.png마이클 올리버 (Michael Oliver)1985년 2월 20일
파일:UEFA ENG.png앤서니 테일러 (Anthony Taylor)1978년 10월 20일
파일:UEFA FRA.png클레망 튀르팽 (Clément Turpin)1982년 5월 16일
파일:UEFA GER.png펠릭스 브리히 (Felix Brych)1975년 8월 3일
파일:UEFA GER.png다니엘 지베르트 (Daniel Siebert)1984년 5월 4일
파일:UEFA ISR.png오렐 그린펠드 (Orel Grinfeld)1981년 8월 21일
파일:UEFA ITA.png다니엘레 오르사토 (Daniele Orsato)1975년 11월 23일
파일:UEFA NED.png비요른 카위퍼르스 (Björn Kuipers)1973년 3월 28일
파일:UEFA NED.png다니 마켈리 (Danny Makkelie)1983년 1월 28일
파일:UEFA POR.png아르투르 소아르스 디아스 (Artur Soares Dias)1979년 7월 14일
파일:UEFA ROU.png오비디우 하체간 (Ovidiu Hațegan)1980년 7월 14일
파일:UEFA ROU.png이스트반 코바치 (István Kovács)1984년 9월 16일
파일:UEFA RUS.png세르게이 카라세프 (Sergei Karasev)1979년 6월 12일
파일:UEFA SVN.png슬라브코 빈치치 (Slavko Vinčić)1979년 11월 25일
파일:UEFA ESP.png카를로스 델 세로 그란데 (Carlos del Cerro Grande)1976년 3월 13일
파일:UEFA ESP.png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Antonio Mateu Lahoz)1977년 3월 12일
파일:UEFA SWE.png안드레아스 에크베리 (Andreas Ekberg)1985년 1월 2일
파일:UEFA TUR.png쥐네이트 차크르 (Cüneyt Çakır)1976년 11월 23일


3.3.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암스테르담
파일:euro 2020 amsterdam.png

바쿠
파일:euro 2020 baku.png

부쿠레슈티
파일:euro 2020 bucharest.png

부다페스트
파일:euro 2020 budapest.png

코펜하겐
파일:euro 2020 copenhagen.png

글래스고
파일:euro 2020 glasgow.png

런던
파일:euro 2020 london.png

뮌헨
파일:euro 2020 munich.png

로마
파일:euro 2020 rome.png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euro 2020 saint-petersburg.png

세비야
파일:euro 2020 seville.png

UEFA 유로 2020의 본선 조별리그 경기는 다음과 같은 도시에서 개최된다.

두 경기장 간의 직선거리는 A조가 3,110km로 압도적으로 가장 멀고 그 다음이 1,785km인 C조, E조, B조, F조, D조 순이다. 특히 A조는 541km인 D조의 약 5.7배라는 토나오는 이동거리를 배정받았다.

2021년 4월 23일 E조 스페인 경기는 빌바오에서 세비야로 교체되었고, 아일랜드 더블린이 개최를 포기하면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바뀌었다.[17]


3.4. 공인구[편집]


파일:Uniforia 2020.png
2019년 11월 7일, 아디다스에서 유니포리아(Uniforia)라는 이름의 공인구를 공개하였다.[18]

파일:Uniforia Finale 2020.jpg
2021년 7월 5일, 아디다스에서 유니포리아 피날레(Uniforia Finale)라는 이름의 공인구를 공개했다. 이 공은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펼쳐질 4강과 결승전의 공인구로 쓰일 예정이다.


3.5. 주제가[편집]


주제가

마틴 개릭스 & 보노 & 디 에지 - 'We Are The People'


3.6. 공식 스폰서십[편집]


파일:EURO 2020 Official Partners 12.png



3.7. 개최 직전 평가전[편집]




4. 예선[편집]



4.1. 예선 조 편성[편집]


당초 UEFA 네이션스 리그 파이널에 진출한 4팀은 유로 2020 본선에 바로 직행하는 것으로 얘기가 나왔으나 예선 방식이 바뀌어서 55개팀 전부 예선에 참가할 예정이다. 유로 2020 예선 위키(영어)

UEFA 회원국 55개국이 10개조로 나누어[19] 예선을 치르게 된다. 유로 2016의 우승국인 포르투갈도 예선을 치르며, 코소보 대표팀이 처음으로 참가하는 대회이다. 시드는 UEFA 네이션스 리그 성적에 따라 결정하며, A리그의 조 우승팀 4팀은 플레이오프 일정을 위해 5개국이 참여하는 조에 들어가는 것이 보장된다.

조 2위까지 20개국이 진출권을 획득하며, 남은 4장의 진출권은 플레이오프로 배분한다. 본선에 직행하지 못한 16팀이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 결과에 따라 4개조로 나뉘어 4개팀을 결정하게 된다.

2018년 12월 2일(현지시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조 추첨식이 진행되었다. UEFA 네이션스 리그/2018-19 시즌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 스위스, 포르투갈, 네덜란드, 잉글랜드는 5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 편성된다.



4.2. 조 편성 결과[편집]




4.3. 예선 진행[편집]






4.4. 본선 진출팀[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진출 날짜이전 대회
진출 횟수
파일:UEFA BEL.png벨기에예선 I조 1위2019년 10월 11일5회
파일:UEFA ITA.png이탈리아예선 J조 1위2019년 10월 12일9회
파일:UEFA RUS.png러시아예선 I조 2위2019년 10월 14일11회[20]
파일:UEFA POL.png폴란드예선 G조 1위2019년 10월 14일3회
파일:UEFA UKR.png우크라이나예선 B조 1위2019년 10월 15일2회
파일:UEFA ESP.png스페인예선 F조 1위2019년 10월 16일10회
파일:UEFA TUR.png터키예선 H조 2위2019년 11월 15일4회
파일:UEFA ENG.png잉글랜드예선 A조 1위2019년 11월 15일9회
파일:UEFA FRA.png프랑스예선 H조 1위2019년 11월 15일8회
파일:UEFA CZE.png체코예선 A조 2위2019년 11월 15일9회[21]
파일:UEFA FIN.png핀란드예선 J조 2위2019년 11월 16일0회
(첫 진출)
파일:UEFA SWE.png스웨덴예선 F조 2위2019년 11월 16일6회
파일:UEFA CRO.png크로아티아예선 E조 1위2019년 11월 17일4회
파일:UEFA NED.png네덜란드예선 C조 2위2019년 11월 17일9회
파일:UEFA GER.png독일예선 C조 1위2019년 11월 17일11회
파일:UEFA AUT.png오스트리아예선 G조 2위2019년 11월 17일2회
파일:UEFA POR.png포르투갈예선 B조 2위2019년 11월 18일7회
파일:UEFA SUI.png스위스예선 D조 1위2019년 11월 19일4회
파일:UEFA DEN.png덴마크예선 D조 2위2019년 11월 19일8회
파일:UEFA WAL.png웨일스예선 E조 2위2019년 11월 20일1회
파일:UEFA MKD.png북마케도니아플레이오프 루트 D 1위2020년 11월 13일0회
(첫 진출)
파일:UEFA HUN.png헝가리플레이오프 루트 A 1위2020년 11월 13일3회
파일:UEFA SVK.png슬로바키아플레이오프 루트 B 1위2020년 11월 13일1회
파일:UEFA SCO.png스코틀랜드플레이오프 루트 C 1위2020년 11월 13일2회


5. 시드 배정 및 조추첨[편집]


대회 예선전 성적 순으로 시드가 배정되며, 조 1위 10개 팀 중 상위 6개 팀이 톱 시드에 편성된다. 각 포트별로 1팀씩 총 4팀이 한 개의 조가 되며, 총 6개 조로 구성된다. 이 중 개최국은 자국에서 개최하는 조에 우선 배정되며, 조별 개최지를 2017년에 먼저 추첨했기 때문에 한 조의 개최지가 성적 순으로만 따졌을 때 한 포트에 배정되면 재조정을 할 예정이었으나 골고루 잘 분포된 관계로 그럴 필요는 없어졌다.

톱시드: 예선전 조 1위 팀 중 1~6위
2번 시드: 예선전 조 1위 팀 중 7~10위, 예선전 조 2위 팀 중 1~2위
3번 시드: 예선전 조 2위 팀 중 3~8위
4번 시드: 예선전 조 2위 팀 중 9~10위, 플레이오프 통과 4팀

시드순위국가개최지예선 성적[22]
톱시드1벨기에-조 1위24[23]+24
2이탈리아A조+22
3잉글랜드D조21+31
4독일F조+23
5스페인E조20+19
6우크라이나-+13
2시드7프랑스-19+15
8폴란드-+8
9스위스-17+13
10크로아티아-+10
11네덜란드C조조 2위19+17
12러시아B조18+11
3시드13포르투갈-17+16
14터키-+7
15덴마크B조16+17
16오스트리아-+3
17스웨덴-15+7
18체코-+2
4시드19웨일스-14+4
20핀란드-12+1
21헝가리F조플레이오프 루트 A 승자
22슬로바키아-플레이오프 루트 B 승자
23스코틀랜드D조플레이오프 루트 C 승자
24북마케도니아-플레이오프 루트 D 승자


5.1. 조 편성[편집]


조 추첨 결과
A조B조C조D조E조F조
터키덴마크네덜란드잉글랜드스페인헝가리[POA]
이탈리아핀란드우크라이나크로아티아스웨덴포르투갈
웨일스벨기에오스트리아스코틀랜드[POC]폴란드프랑스
스위스러시아북마케도니아[POD]체코슬로바키아[POB]독일

개최지를 우선 배정하고 나머지 팀들을 추첨하나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5.2. 출전 선수 명단[편집]




6. 대회 진행[편집]



6.1. 조별 리그[편집]




6.2. 결선 토너먼트[편집]



파일:UEFA 유로 2020 로고_좌우.svg UEFA 유로 2020 토너먼트 대진표
16강전8강전4강전결승전
파일:UEFA BEL.png 벨기에 1 : 0 포르투갈 파일:UEFA POR.png파일:UEFA BEL.png 벨기에 1 : 2 이탈리아 파일:UEFA ITA.png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 1 (ET) 1 스페인 파일:UEFA ESP.png
(4 pen. 2)
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 1 (ET) 1 잉글랜드 파일:UEFA ENG.png
(3 pen. 2)
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 2 (ET) 1 오스트리아 파일:UEFA AUT.png
파일:UEFA FRA.png 프랑스 3 (ET) 3 스위스 파일:UEFA SUI.png
(4 pen. 5)
파일:UEFA SUI.png 스위스 1 (ET) 1 스페인 파일:UEFA ESP.png
(1 pen. 3)
파일:UEFA CRO.png 크로아티아 3 (ET) 5 스페인 파일:UEFA ESP.png
파일:UEFA SWE.png 스웨덴 1 (ET) 2 우크라이나 파일:UEFA UKR.png파일:UEFA UKR.png 우크라이나 0 : 4 잉글랜드 파일:UEFA ENG.png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 2 (ET) 1 덴마크 파일:UEFA DEN.png
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 2 : 0 독일 파일:UEFA GER.png
파일:UEFA NED.png 네덜란드 0 : 2 체코 파일:UEFA CZE.png파일:UEFA CZE.png 체코 1 : 2 덴마크 파일:UEFA DEN.png
파일:UEFA WAL.png 웨일스 0 : 4 덴마크 파일:UEFA DEN.png




6.3. 우승[편집]


파일:유로20결승.jpg
UEFA 유로 2020 우승
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
두 번째 우승


7.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UEFA ITA.png 이탈리아7520134+917우승
2파일:UEFA ENG.png 잉글랜드7520112+917준우승
3파일:UEFA ESP.png 스페인6240136+7104강
4파일:UEFA DEN.png 덴마크6303127+594강
5파일:UEFA BEL.png 벨기에540193+6128강
6파일:UEFA CZE.png 체코521264+278강
7파일:UEFA SUI.png 스위스513189-168강
8파일:UEFA UKR.png 우크라이나5203610-468강
9파일:UEFA NED.png 네덜란드430184+4916강
10파일:UEFA SWE.png 스웨덴421154+1716강
11파일:UEFA FRA.png 프랑스413076+1616강
12파일:UEFA AUT.png 오스트리아4202550616강
13파일:UEFA POR.png 포르투갈4112770416강
14파일:UEFA CRO.png 크로아티아411278-1416강
15파일:UEFA GER.png 독일411267-1416강
16파일:UEFA WAL.png 웨일스411236-3416강
17파일:UEFA FIN.png 핀란드310213-231라운드
18파일:UEFA SVK.png 슬로바키아310227-531라운드
파일:UEFA RUS.png 러시아310227-531라운드
20파일:UEFA HUN.png 헝가리302136-321라운드
21파일:UEFA POL.png 폴란드301246-211라운드
22파일:UEFA SCO.png 스코틀랜드301215-411라운드
23파일:UEFA MKD.png 북마케도니아300328-601라운드
24파일:UEFA TUR.png 튀르키예300318-701라운드


8. 토너먼트의 팀[편집]


||
MF
페드리

파일:UEFA ESP.png
MF
조르지뉴

파일:UEFA ITA.png
MF
피에르에밀
호이비에르

파일:UEFA DEN.png
||
DF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파일:UEFA ITA.png
DF
해리
매과이어

파일:UEFA ENG.png
DF
레오나르도
보누치

파일:UEFA ITA.png
DF
카일
워커

파일:UEFA ENG.png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UEFA ITA.png





9. 기록실[편집]




10. 팀별 리뷰[편집]




11. 논란[편집]



헝가리와의 경기 전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포르투갈 감독 페르난두 산투스와 인터뷰를 하기 위해 자리에 앉던 중 탁자 위에 있던 대회 스폰서 코카콜라의 병을 치우며 "건강을 위해 물을 드세요."란 말을 남겼다. 이 인터뷰 이후 포그바가 독일 전 이후 인터뷰에선 하이네켄 맥주병을 치우고[24], 스위스 전 경기 후 인터뷰를 한 로카텔리는 코카콜라를 약간 치워 물과 같이 두는 돌발행동을 보이며 논란을 증폭시켰다. 스페인 감독 루이스 엔리케는 호날두보다 먼저 기자회견장에서 자신의 테이블 앞에 놓인 코카콜라를 보면서 "이것은 코카콜라 제로다. 이것이 스폰서라고? 애들아 코카콜라는 마시지 마"라고 발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다. #

논란이 커지자 유로 2020 디렉터인 마르틴 칼렌은 "이 문제에 대해 각국 대표팀과 의견을 나눴다. 후원사의 수익은 이 대회와 유럽 축구의 발전과 연결되는 중요한 문제다"라고 언급하며 "선수들은 각국 축구협회와 대회 규정에 따라야 할 계약적 의무가 있다"며 스폰서와의 약속을 준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UEFA가 직접적으로 선수들에게 벌금 징계를 내리지는 않지만, 각국 축구협회를 통해서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며 벌금 징계의 가능성도 언급했다. ##

이에 다른 팀들의 반응도 관심사였는데 잉글랜드 감독 가레스 사우스게이트는 “스포츠에는 많은 후원사가 있고 그들이 후원하는 모든 돈은 스포츠가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영국의 풀뿌리 스포츠는 투자를 필요로 한다. 후원사가 없다면 우리가 필요로 하는 도움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고 옆에 있던 해리 케인도 이에 동조하며 “사우스게이트 감독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분명 스폰서들은 그들의 계약에 따라 돈을 지불했다면 광고할 자격이 있다”고 말하며 호날두를 저격했다. ### 스코틀랜드의 스콧 맥토미니앤디 로버트슨은 기자회견이 끝난 뒤 직접 콜라를 챙겨갔으며, 우크라이나의 안드리 야르몰렌코는 "난 최근에 호날두가 콜라병을 한 쪽으로 치우는 걸 봤다. 하지만 나는 콜라도 여기에 두고, 하이네켄도 바로 앞에 둘 것이다. 나한테 연락해라"면서 호날두와 포그바의 행동을 돌려깠다. ### 벨기에의 로멜루 루카쿠는 "코카콜라, 락 네이션으로 연락 주세요. 함께 일 한번 해 봅시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에이전시 후원을 제안했다. ## 라자 나잉골란은 SNS로 호날두의 행동을 조롱했다. # 프랑스의 파트리스 에브라도 SNS로 호날두의 행동을 패러디했다. # 러시아 감독 스타니슬라프 체르체소프알렉세이 미란추크는 기자회견에서 콜라병으로 축배를 들었으며, 벨기에 감독 로베르토 마르티네스는 "벨기에 대표팀은 코카콜라를 즐겨 마신다"고 밝혔다.그래서 그 녀석이...# 포르투갈이 독일에 2:4로 패하자 호날두를 조롱하는 SNS 게시물들이 올라왔다. #

영국 언론 The Sun은 호날두가 과거 코카콜라를 비롯한 정크푸드를 광고하면서 막대한 수익을 얻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호날두가 현재 막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은 후원업체의 후원 덕인 것을 간과하고 이러한 위선적인 행동을 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 2020년 포브스에서 발표한 축구 선수 수입 순위에 호날두는 1억 1,700만 달러로 전체 2위에 올랐으며 이중 연봉이 7,000만 달러, 광고와 후원금이 4,700만 달러로 호날두의 연간 전체 수입 중 광고와 후원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절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네이마르보다 연봉에서 밀리는 호날두가 전체 수입 2위에 랭크될 수 있었던 이유도 광고와 후원금에서의 차이가 컸기 때문이다. 1위인 리오넬 메시보다도 광고와 후원금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이 크다. # 이렇듯 막대한 광고와 후원 수익으로 부를 축적하는 호날두가 이제와서 자신의 어줍잖은 신념을 내세우며 정당하게 후원금을 지불하고 후원사 자격을 얻어 광고하는 기업들의 물건을 치우고 막대한 손해까지 입힌 개념없고 몰상식한 행동은 비난받아야 마땅하다. 비단 유로 대회 뿐만 아니라 리그, 클럽 모두 후원사들의 후원 없이는 절대로 돌아갈 수 없는 환경인데 호날두를 비롯한 루이스 엔리케, 폴 포그바, 마누엘 로카텔리는 이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행위를 한 것이다.


12. CJ ENM 중계[편집]


tvN, XtvN, TVING을 통해 전 경기를 중계하며, 이 중 20경기는 TVING에서 유료로 독점 생중계한다. 이러한 스포츠중계 유료화 현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경기 하이라이트 영상을 경기 종료 후 2시간 이내에 올려주고 영상도 1080p 60 fps의 높은 화질로 올려줘 호평을 받는 부분도 있지만, 정작 중요한 해설의 수준이 매우 떨어져 아쉽다는 비판이 주류다. 캐스터진은 축구팬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는 배성재는 물론이고 박용식과 이인환 모두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해설에서는 백지훈과 김진짜가 엄청나게 혹평을 받았다. 김진짜는 발성이나 리액선, 그리고 말을 적극적으로 하는 부분은 나름대로 호평받았으나, 그 말의 대부분이 영양가가 없거나 잘못된 정보일 때가 많고 사전 준비를 하는지 의심할 정도여서 전문 해설로 부른 이유가 없다며 비판받았다. 이동국은 발성은 괜찮지만 해설할 타이밍을 잡지 못하고 감정없이 해설을 해서 재미없는 해설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결승전 시점에선 선출 해설로는 괜찮다는 평을 받았다.[25] 그리고 백지훈은 한술 더 떠서 발성부터 안좋고[26] 선수 시절의 전문적인 상황을 말로 표현조자 못하며[27] 사전에 연습을 전혀 안 했는지 멘트 자체가 감탄사로만 이루어져 캐스터 혼자 중계하게 만든다는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서형욱과 한준은 기존 팬들에게 여러 이유로 비판을 많이 받던 편이었으나, 해설 경력이 사실상 전무한 나머지 3명에 비하면 그나마 상대적으로 깔끔한 해설로 경력직은 다르다며 상대적으로 나은 평가를 받았다.

여담으로 이후 tvN SPORTS는 분데스리가를 중계하며 축구 중계 경력을 쌓아나갔는데, 2020 유로 시절 해설 중 tvN 소속 해설로 남은 사람은 결국 아무도 없다. 이동국과 서형욱은 프리랜서라 분데스리가 중계에 합류하지 않고 한준과 김진짜 두 해설이 분데스리가에 합류했으나, 모두 처참한 해설로 시즌 초반에 잘렸다. 현재 tvN의 해설진인 김환, 김민구, 김오성 모두 평이 괜찮은 편이라 유로 해설을 이 셋이 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가끔 보이기도 한다.


13. 기타[편집]

























13.1. eEURO 2020[편집]



13.2. eEURO 2021[편집]




14. 둘러보기[편집]


파일: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Trophy.png
역대 UEFA 유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6 23:15:27에 나무위키 UEFA 유로 20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4 17:24:37에 나무위키 UEFA 유로 202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2] 잘 보면 1976년 유로컵 챔피언 체코슬로바키아와 1980년 유로컵 챔피언 서독이 서로 뒤바뀌어 있는 옥에티가 있다.[3] 같은 이유로 2020 도쿄 올림픽, 2020 코파 아메리카, UEFA 여자 유로 2021도 1년 연기되었다.[4] 이유는 이미 유로 2020로 수많은 현수막을 제작하는바람에 유로 2021로 명칭을 바꾼다면 현수막을 싹 다 새로 만들어야한다. 그러면 시간도 소비될 뿐만아니라 비용손실도 크다. [5] 반면 2021년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UEFA 여자 유로 2021은 UEFA 여자 유로 2022로 변경되었다.[6] 유로 대회는 UEFA 유로 1984 부터 3위 결정전이 없다.[7] 67,889명으로 확장 예정[8] 본래 빌바오에스타디오 산 마메스가 개최권을 얻었으나 세비야로 변경되었다.[9] 62,613명으로 확장 예정[10] 39,000명으로 확장 예정[11] 50,000명으로 확장 예정[12] 53,000명으로 확장 예정[13] 경기장 이름은 고대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 2세에서 유래한다.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가수인 토셰 프로에스키 아레나로 명칭 변경.[14] 그 유명한 2012 런던 올림픽에서의 남자축구 부문에서 카디프 대첩, 그리고 레알 마드리드 CF라 두오데시마가 일어난 곳이 맞다.[15] 다만 프랑스포르투갈 구장은 제외된다.[16] 유일한 비유럽 출신의 심판이다. 참고로 2021 코파 아메리카 브라질에서는 스페인 출신의 헤수스 힐 만사노가 유일한 비남미 출신의 심판으로 배정되었다. 사실 이스라엘 심판도 있는데 정확히는 유럽이 아닌 중동이라 불리는 아시아지역 서쪽에 있지만 AFC에서 퇴출당한 후로 유럽연맹에서 뛰고 있다.[17] 16강 더블린 경기는 런던에서 경기를 한다.[18] 2020 K리그에서 사용된 츠바사와 같은 뼈대이다.[19] 조당 5~6개팀 배정[20] 1960년 ~ 1988년까지의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1992년의 독립국가연합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을 포함[21] 1960년 ~ 1992년까지의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을 포함[22] 6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 편성되었을 경우 세부 성적은 조 최하위와의 경기를 제외하고 계산[23] 두 팀 모두 6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서 전승[POA] 플레이오프 루트 A 승자[POC] 플레이오프 루트 C 승자[POD] 플레이오프 루트 D 승자[POB] 플레이오프 루트 B 승자[24] 이슬람교도인지라 종교적인 이유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25] 준결승전 이탈리아 vs 스페인 경기에서의 해설은 처음보다 텐션도 올라가고 선수때의 경험을 떠올리면서 해설을 하는 모습도 보여주면서 나쁘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같은 선출인 백지훈의 해설이 너무 최악이라서 재평가 받는 것도 있긴하다. 결승전에서는 서형욱과 말이 겹치는 실수가 있긴 했으나 전반적으로 해설 실력이 나아져서 다른 과 달리 해설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후 대한민국 A매치 경기의 해설을 맡게 되었는데 2021년 10월 시점에서는 해설이 엄청 좋아졌다는 평을 받는다.[26] 유튜브에 올라온 하이라이트 영상의 댓글에서 '경기 보는 일반인 목소리가 들어간 줄 알았다'라는 반응이 많이 나왔다.[27] 이미 많이 정착한 단어인 크로스를 잘못된 옛 단어인 센터링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28] 단, 공인구는 아디다스가 후원.[29] 종전: 스페인(1964~2008) / 이탈리아 (1968~2021)[30] 한 경기를 홈 앤 어웨이로 하기 때문에 한 조에서 10경기를 채운다.[31] 8강과 준결승은 3전제, 결승은 5전제 싱글 토너먼트로 진행.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