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E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작중 주인공에 대한 내용은 월-E(월-E) 문서
월-E(월-E)번 문단을
월-E(월-E)#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월-E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장편 애니메이션상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라따뚜이월-E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애니메이션상
제65회
(2008년)
제66회
(2009년)
제67회
(2010년)
라따뚜이 월-E

역대 휴고상 시상식
파일:휴고상 로고.svg
최우수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 장편
제55회
(2008년)
제56회
(2009년)
제57회
(2010년)
스타더스트월-E더 문

역대 네뷸러상 시상식
파일:네뷸러상 로고.png
최우수 각본
제43회
(2007년)
제44회
(2008년)
제45회
(2009년)
판의 미로월-E-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애니메이션 영화상
제34회
(2007년)
제35회
(2008년)
제36회
(2009년)
라따뚜이월-E몬스터 vs 에일리언


월-E (2008)
WALL-E
파일:Wall-E_KR.jpg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라따뚜이월-E
장르애니메이션, 로맨틱 코미디, SF, 어드벤처, 스페이스 오페라, 디스토피아
감독앤드루 스탠튼
제작짐 모리스
각본앤드루 스탠튼
짐 리어던
원안앤드류 스탠튼
피트 닥터
출연벤 버트
엘리사 나이트
제프 가린
시고니 위버
존 라첸버거
캐시 나지미
프레드 윌러드
촬영제레미 라스키
다니옐 페인버그
음악토머스 뉴먼
피터 가브리엘
편집스테판 스케퍼
제작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픽처스
파일:미국 국기.svg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소니 픽쳐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스트리밍파일:Disney+ 로고.svg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6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8월 6일[1]
화면비2.39 : 1
상영 시간98분
제작비1억 8천만 달러
북미 박스오피스$223,808,164
월드 박스오피스$534,767,889
대한민국 총 관객 수1,320,830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2]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5. 설정
7. 평가
8. 흥행
9. 수상 및 후보
10. 과학적 재현 오류
11. 기타




1. 개요[편집]


The newest sensation in waste allocation!
쓰레기 처리반에서 전례 없었던 일!
He's got a lot of time on his hands.
WALL-E에게는 시간이 많다.
An adventure beyond the ordinar-e.
일상 너머의 모험이야 월-E
After 700 years of doing what he was built for - he will discover what he is meant for.
700년 동안 만들어진 목적을 수행했다 - 이제는 사는 목적을 찾는다.
영문판 전단 문구

2008년에 개봉한 픽사의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쓰레기 더미에 파묻힌 지구에 홀로 남겨진 청소 로봇 월-E와 식물을 탐색하기 위해 지구에 온 탐사 로봇 이브와의 사랑을 다룬다.

포스트 아포칼립스SF를 배경으로 한 로봇의 사랑 이야기로, 로봇의 사랑이라는 난해한 소재를 잘 표현했고, 무엇보다 로봇이 언어를 구사할 수 없어서 사실상 대사가 없는데도 내용을 막힘 없이 전달하는 탁월한 연출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3]


2. 예고편[편집]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니모를 찾아서', '카', '라따뚜이'를 탄생시킨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재기 넘치는 이야기꾼들이 다시 한 번 손을 잡았다! 텅빈 지구에 홀로 남아 외롭게 일만 하며 보내던 월-E가 탐사로봇 이브를 만나면서 잡동사니만 수집하던 인생에 소중한 목표가 생겼다. 유쾌한 캐릭터들과 함께 우주에서 펼쳐지는 월-E의 환상적인 모험이 시작된다.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월-E/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설정[편집]




6. 줄거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월-E/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69105|
기자·평론가
7.8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41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88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9.41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9.3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9%





이동진 평론가의 개봉 당시 리뷰

픽사 작품 중 최고의 작품을 꼽으라면 절대 빠지지 않는 불후의 명작이다. 스토리, 메시지, 영상미, 토머스 뉴먼피터 가브리엘이 공동으로 작곡한 OST, 코미디나 로맨스 같은 장르적 부분, 최소한의 대사만 가지고도 극을 재밌게 이끄는 연출까지 골고루 호평받는다. 다음 작인 도 엄청난 평가를 받으며 픽사 최고의 전성기라는 평도 받았다.[4]

2016년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에서 29위에 선정됐다. 21세기 픽사 영화 중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2021년 미국 의회도서관 미 국립영화등기부에 영구 등재된 영화가 되었다. 역대 픽사 영화 중 네 번째로 영구 등재된 영화이며,[5] 21세기 픽사 영화 중에서는 최초로 등재된 영화다.


8. 흥행[편집]


북미에서는 흥행 수익이 《쿵푸팬더》를 다소 앞섰지만 해외 흥행에선 1억 달러 이상 밀렸다. 하지만 유달리 일본에서는 이 애니메이션이 쿵푸팬더의 3배가 넘는 흥행을 거두었다. 고베 작품상 극장 부문에서 온갖 자국 애니메이션을 제치고 선정될 정도. 2015년을 끝으로 고베 작품상이 폐지되어 월-E가 유일무이하게 선정된 일본 외 국가의 작품으로 남게 되었다.


9. 수상 및 후보[편집]




10. 과학적 재현 오류[편집]


과학적 오류가 몇 가지 있는데, 과학적 재현을 엄격히 따지고 만든 영화는 아니라서 크게 신경쓰이는 부분은 아니다.
















11. 기타[편집]




그래픽도 그래픽이지만 엔딩 크레딧의 회화체 애니메이션 역시 훌륭하다. 영화를 다 보고 크레딧을 끝까지 보는 것을 추천한다. 크레딧 애니메이션은 인류 회화의 역사적 흐름의 순서를 따라 변화한다. 처음 알타미라 벽화에서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미케네 모자이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스케치, 유화, 조르주 쇠라의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가 연상되는 점묘법/빈센트 반 고흐풍의 인상파 등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이는 액시엄 호와 같이 인류를 태운 거대 우주선이 다시 지구로 돌아오면서 지구에 다시 문명이 번성하게 된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도트 애니메이션으로 영화의 내용을 갈무리한 다음 픽사 로고를 지나 BnL 로고로 끝난다. 픽사의 탁월한 센스를 엿볼 수 있다. 다만, 이는 그 그림 그대로 역사가 이루어지고 있다기보다는 하나의 상징적인 의미로 받아들이면 된다. 인류의 역사를 다시 시작하듯 지구로 돌아온 인류가 정착해 나간다는 것으로 말이다.









AUTO는 대놓고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HAL9000을 오마쥬했다. 새빨간 붉은 렌즈를 번뜩이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는 HAL9000 그 자체다. 또 우주선의 담당자보다 더 높은 권한을 가진 자에게 별도의 명령을 받아서 거기에 지나치게 충실하는 모습도 역시 비슷하다. 그러나 스페이스 오디세이의 시작이 문명의 시작인 반면, 월-E의 시작은 문명의 종말이라는 점과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는 지구인이 외계 지성을 찾아 탐험하는 것인데 반해 월-E에서는 지구인이 지구를 찾아다닌다는 점에서 대비된다.






선장: Earth? Define 'Earth'.(땅이라... 그 뜻이 뭐지?)
(화면에 여러 장의 사진이 뜬다.)
컴퓨터: Earth. The surface of the world as distinct from the sky or sea. (땅. 세상을 덮고 있으며, 하늘, 바다 등과 구별할 때 씀.)
선장: Wow. Define 'Sea'.(우와. 그럼... 바다를 정의해 봐.)
컴퓨터: Sea. An expanse of salt water that covers most of the Earth's surface and surrounds its land masses. (바다. 지구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방대한 짠물로, 지구에 있는 오대륙을 둘러싸고 있는...)
선장은 피자와 댄스 파티[9] 항목에 도달할 때까지 이것을 밤새도록 계속한다. 문제는 어떻게 알아들었는지 피자가 피자 식물에서 난다고 믿게 된다. 오랜 피난 생활을 거치는 동안 액시엄 호에서는 이미 농경이라는 단어가 아무 의미 없게 되었을 것이다.[10] 컴퓨터는 경작에 대해서 "씨를 농지에 뿌려서 햇빛과 토지의 영양분, 물이 공급하는 식으로 먹거리를 얻는 행위" 이런 식으로 설명했을 텐데, 현대인이야 이 먹거리가 곡식이나 채소 등을 일컫는다는 사실을 알지만 가공된 음식밖에 보지 못한 선장은 이 먹거리가 완성되어 나오는 음식 자체라고 이해했을 것이다. 가공되기 전의 밀가루나 채소 자체를 보지 못했을 테니 말이다[11].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0:27:15에 나무위키 월-E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포스터에 7월 개봉이라 적혀있는걸 보아 7월 개봉 예정이었는데 8월로 연기 된것으로 보인다.[2] 픽사 홈페이지[3] 주연 두 로봇의 대사라고는 "Directive?(임무?)", "Classified(기밀 사항)" , "Name(이름)", "Wall-E", "Eve" 정도 뿐이다.[4] 당시 라따뚜이 - 월-E - 업 - 토이 스토리 3라는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했다. 그러나 카2부터 인사이드 아웃 개봉 전까진 부침을 겪기도 했다.[5] 첫 번째는 토이 스토리, 두 번째는 틴 토이(단편), 세 번째는 룩소 주니어(단편).[6] 월-E가 리튬 베터리가 아닌 미래 기술로 만든 다른 배터리를 써서 수명이 줄어들지 않는 것이거나 보조 배터리와 주 배터리를 갈아끼울 때 번갈아가며 사용해 수명이 줄어들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7] 문명 발달에 의한 환경오염으로 지구가 오염되어 우주로 도피했다.[8] 참고로 배경음의 작곡가는 토머스 뉴먼이다.[9] 그리고 춤에 대한 설명을 배경으로 유명한 두 로봇의 우주 유영이 펼쳐진다. 이때 자막판과 더빙판에서 선장이 하는 대사가 다르다.[10] 700년이면 국가가 세워졌다가 망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게다가 기계가 모든 일을 하는 바람에 인간은 말 그대로 놀고 먹다가 죽는 것이 인생이니...[11] 사실 한국 사회에서도 90년대 무렵 이촌향도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새로운 세대의 어린이들이 (이전 세대까지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당연한 상식처럼 여겨지던) 농업, 농경에 대한 지식을 거의 알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 사회적으로 상당한 충격을 안겨준 바 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흔히 "요즘 아이들은 새하얀 쌀이 쌀나무에 열리는 줄 안다! 아마 그 옆 김치나무에서 김치도 따오는 줄 알 것이다!" 라고 표현되었다. 물론 정확히 말하면 나 모, 나락과 같은 명칭을 잘 모르는 일부 아이가 벼를 '쌀나무'라고 부르거나, 수확한 쌀의 가공(도정)과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 늘어난 정도의 현상이 자극적으로 과장되어 알려졌던 것이었고, 굳이 진지하게 따지자면 농촌 출신으로 농업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도 다른 나라의 농작물에 대해서라면 잘못된 지식을 얼마든지 가질 수 있는 것처럼 (예를 들어 농촌 출신이라도 파인애플이 다른 과일처럼 나무에 열리거나, 바나나 송이가 원래 부채꼴 모양인 줄 아는 사람들은 적지 않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자연히 상식의 비중도 달라진 것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이 자기 시대의 상식이 더이상 상식이 아니라는 것에 충격을 받았을 뿐이라는 반론도 이루어졌지만, 어쨌건 중요한 것은 특정 분야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지 않는 한 지식과 이해의 단절은 불과 한 세대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12] 미국의 부유층을 디스한다는 분석은 절대적으로 잘못되었다. 현재의 미국은 아이러니하게도 중산층 이상 부유 계층은 비만율이 현저하게 낮다. 오히려 저소득 소외 계층에서 신선한 채소 등을 구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인해 (이른바 '식품 사막') 영양 결핍으로 인해 비만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우주 이주 프로그램에 나오는 의자 타고 이동하는 뚱보 사람들의 모습이 전혀 과장된 것이 아닌게, 실제로 미국 월마트같은 대중적인 SSM에서는 미국 특유의 고도비만인 사람들이 전동카트 타고다니는 풍경을 어렵지 않게 볼수 있다. 그리고 월마트가 보통 미국 서민들이 주로 쇼핑하는곳임을 감안하면...[13] '내 이름은 콘래드'의 국내 출판본 권말부에도 수록되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