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짐보(영화)

덤프버전 : (♥ 0)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Sanshiro Sugata Logo.png파일:The Most Beautiful Logo 2.png파일:Sanshiro Sugata Part II Logo 2.png
스가타 산시로가장 아름다운 자속 스가타 산시로
파일:The Men Who Tread on the Tiger's Tail Logo 2.png파일:No Regrets for Our Youth Logo.png파일:One Wonderful Sunday Logo.png
호랑이 꼬리를 밟은 사나이우리 청춘 후회 없다멋진 일요일
파일:Drunken Angel Logo.png파일:The Quiet Duel Logo.png파일:Stray Dog Logo.png
주정뱅이 천사조용한 결투들개
파일:Scandal Logo.png파일:Rashomon Logo.png파일:The Idiot Logo.png
추문라쇼몽백치
파일:Ikiru Logo.png파일:Seven Samurai Logo.png파일:I Live in Fear Logo.png
살다7인의 사무라이산 자의 기록
파일:Throne of Blood Logo 2.png파일:The Lower Depths Logo.png파일:The Hidden Fortress Logo.png
거미집의 성밑바닥숨은 요새의 세 악인
파일:The Bad Sleep Well Logo.png파일:Yojimbo Logo.png파일:Sanjuro Logo.png
나쁜 놈일수록 잘 잔다요짐보츠바키 산주로
파일:High and Low Logo 2.png파일:Red Beard Logo.png파일:Dodesukaden Logo.png
천국과 지옥붉은 수염도데스카덴
파일:Dersu Uzala Logo 3.png파일:Kagemusha Logo.png파일:Ran Logo.png
데르수 우잘라카게무샤
파일:Dreams Logo 2.png파일:Rhapsody in August Logo.png파일:Madadayo Logo.png
8월의 광시곡마다다요
상세정보 링크 열기



||
[ 펼치기 · 접기 ]

(순위 없음, 알파벳 순)
아귀레, 신의 분노아푸 트릴로지이혼 소동베이비 페이스
국외자들배리 린든베를린 알렉산더 광장블레이드 러너
보니 앤 클라이드브라질프랑켄슈타인의 신부춘희
카사블랑카샤레이드천국의 아이들차이나타운
중경삼림시민 케인시티 라이트시티 오브 갓
가까이서 본 기차랑주씨의 범죄군중아메리카의 밤
십계우회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공작 부인
이중 배상닥터 스트레인지러브취권2E.T.
8과 1/2400번의 구타패왕별희니모를 찾아서
플라이대부 1편, 2편석양의 무법자좋은 친구들
하드 데이즈 나이트그의 연인 프라이데이살다고독한 영혼
신체 강탈자의 침입이것이 선물멋진 인생칸다하르
친절한 마음과 화관킹콩레이디 이브최후의 명령
아라비아의 로렌스레올로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카메라를 든 사나이
맨츄리안 켄디데이트세인트루이스에서 만나요메트로폴리스밀러스 크로싱
내 미국 삼촌무쉐뜨나야칸니노치카
오명올림피아워터프론트옛날 옛적 서부에서
과거로부터페르소나피노키오싸이코
펄프 픽션카이로의 붉은 장미갈증레이징 불
쉰들러 리스트수색자셜록 주니어모퉁이 가게
사랑은 비를 타고더 싱잉 디텍티브한 여름밤의 미소뜨거운 것이 좋아
스타워즈한 여름밤의 미소선라이즈성공의 달콤한 향기
스윙 타임택시 드라이버동경이야기협녀
우게쓰 이야기그녀에게율리시즈의 시선움베르토 디
용서받지 못한 자화이트 히트베를린 천사의 시요짐보
출처




요짐보 (1961)
用心棒
Yojimbo
파일:attachment/Yojimbo.jpg
장르드라마, 역사, 범죄, 액션, 시대극
감독구로사와 아키라
각본구로사와 아키라
키쿠시마 류조
제작키쿠시마 류조
타나카 토모유키
원작대실 해미트 - 소설 《피의 수확》[1]
촬영미야가와 카즈오
편집구로사와 아키라
음악사토 마사루
출연미후네 토시로
토우노 에이지로
후지와라 카마타리
나카다이 타츠야
제작사구로사와 프로덕션
도호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1961년 4월 25일
상영 시간110분
제작비9000만 엔(¥)
박스오피스$2,500,000

1. 개요
2. 특징
3. 예고편
4. 줄거리
5. 평가
6. 황야의 무법자
7. 기타



1. 개요[편집]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1961년작 영화.

미후네 토시로 주연. 구로사와 감독 작품 중 두 번째로 시네마스코프로 촬영된 작품이다.[2] 자매편으로는 츠바키 산주로가 있다.


2. 특징[편집]


7인의 사무라이》와 마찬가지로, 훗날 여러 할리우드 및 서부극의 모티브가 되었다.[3] 방랑자가 등장하는 작품, 특히 '두 무력집단을 오고 가는 프로 킬러' 혹은 '압제에 신음하는 마을을 해방시키는 떠돌이 전사' 따위의 스토리는 대부분 이 영화에서 따온 것이다. 시발점은 역시 황야의 무법자로, 이 영화의 일본 개봉명이 다름 아닌 <황야의 요짐보>.

리메이크로는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라스트맨 스탠딩》이 있는데, 정식판권을 사서 만들긴 했지만 1996년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이 흑백영화보다도 재미없어서 결국 망하고 사라졌다. 다만 할리우드 남성파 영화의 일인자라 불리는 월터 힐이 감독한 만큼 아주 못볼 정도는 아니고 이제와서 흑백 사무라이 영화는 보기 싫지만 내용이 어떤지 궁금한 사람이라면 시간 때우기로는 볼만한 정도는 된다. 특히 클라이맥스의 총격전 장면은 힐 감독 작품다운 마초스러움이 살아있다.

사실 의외로, 미후네 토시로스러운 과격한 연기는 볼 수 없다. 굳이 표현하자면 요짐보의 주인공은 좀 더 냉철하고 분석적이며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타입. 그래서 《7인의 사무라이》나 《거미집의 성》의 그 과장된 연기를 기대하는 팬은 실망할 수 있다.

밤이어서 안보이지만 나름 잔인한 장면이 많다. 피가 분수처럼 솟구쳐 오르거나[4] 잘린 손목을 개가 물고 다닌다거나 팔을 통째로 자른다거나 특히 처음에 터덜터덜 상대편 패거리에게 걸어가서 '아서라 베이면 쫌 아프다구?'하면서 손목을 베는 장면이 있다.[5] 이 장면은 훗날 스타워즈에서 오비완 케노비한 솔로를 만나는 술집 장면에서 그대로 오마주.


3. 예고편[편집]




4. 줄거리[편집]


에도 막부 말기, 두 깡패집단의 대립으로 거의 폐허가 된 마을에 한 사무라이[6]가 나타나는데, 그의 굉장한 실력을 눈여겨본 깡패들은 서로 이 사무라이를 고용하여 상대편을 없애버리고자 한다. 그러나 사무라이는 오히려 두 집단을 오고가며 그들을 농락하고 마침내 둘 다 없애버리는 데 성공하고, 그들에게 인질로 잡혀있던 술집 노인장(모르는 사람들이 보면 주인공의 아버지나 스승인 줄 안다)을 구하고 다시 방랑길에 나선다. 이때, 마을이 황폐화되도록 손 놓고 있던 포졸 한스케가 모든 소동내내 숨어있다가 슬쩍 나오는데 이때 주인공의 말이 걸작이다. "가서 목이라도 매달고 죽어라."[7] 그리고는 술집 노인장의 포박을 칼로 끊어 풀어주고 마을을 유유히 떠난다.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Letterboxd Top 250 111위
20XX-XX-XX 기준
)

















6. 황야의 무법자[편집]


세르조 레오네 감독,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의 서부극 《황야의 무법자》가 요짐보를 그대로 무단 리메이크하여 만들었다.

이야기 구조나 구도[8]를 따라했다. 이스트우드는 시나리오를 읽었을 때부터 그게 요짐보 시나리오라는 걸 알았다고 한다. 큰 차이점이 있긴 한데, 원작이 권총 든 검객을 식칼 던져서 제압했지만 《황야의 무법자》는 등장인물들 대부분이 권총을 들었다.

다만 구로사와는 씁쓸하게도 《요짐보》로 돈을 정말 번 게 없었다가 《황야의 무법자》로 인하여 그 판권 수익과 여러가지로 벌어들인 돈이 《요짐보》의 60배가 넘었다고 회고한 바 있다. 그 때문인지 레오네가 농담삼아 그 덕에 돈이 많이 되지 않느냐고 말했었다. 아닌 게 아니라, 정식 판권 샀더라면 훨씬 싸게 먹혔고 그만큼 구로사와 측이 벌어들일 돈도 적었다는 게 정설이기에 그렇다. 아시아 최고의 거장이란 소릴 듣지만 정작 자신은 인터뷰하러 온 한국 영화지 인터뷰(1990년 10월호 로드쇼 인터뷰)에서 해외에서 알아주는 만큼 일본에서 좀 알아주었으면 좋겠다고 아쉬워하던 걸 보면 저 씁쓸한 회고가 와 닿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Yojimbo_shot.jpg
《황야의 무법자》에 미친 영향은 이후 서부영화 전반으로 확대된다. 특히 모래바람을 배경으로 서 있는 주인공의 모습은 이후 서부 영화에 단골로 나오는 장면이 된다.

한편, 레오네 감독은 《요짐보》가 대실 해미트의 소설 〈피의 수확〉을 참고해서 만들었다고 항의했고, 구로사와도 그 사실을 인정했다.#[9]


7. 기타[편집]


극중 개가 물고 다니는 사람 손목은 배우로 출연하고 있는 오하시 후미노리의 조형이다. 그리고 일본 영화 최초로 사람을 베는 효과음(참살음)을 최초로 삽입했다. 미나와 이치로와 함께 정육점에서 구해온 소고기돼지고기를 칼로 잘라가며 음향효과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남은 고기는 직원들에게 먹였다. 그러나 구로사와는 미나와가 믹스한 소리에서 뼈가 잘려나가는 잔인한 느낌이 표현되지 못한 걸 아쉬워했다. 결국 죽은 의 몸속에 나무젓가락을 가득 채워서 칼로 난도질해서 참살음이 탄생했다.


다이에이 영화사에서 만든 카츠 신타로의 자토이치 시리즈와 극적인 콜라보레이션이 이루어져, 《자토이치 대 요짐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물론 주연은 미후네 토시로.[10]


그리고 1971년 테런스 영[11] 감독의 영화 《레드 선》에서도 미후네가 사무라이로 나온다. 여기에서도 《요짐보》를 의식한 장면들이 나온다.

그 외에도 미국 영화 《보디가드》에서 주인공이 극장에서 보는 영화가 《요짐보》다. 작품에서도 구로사와 영화에 대한 오마주가 많다. 스즈키 세이준의 《겐카 엘레지》에서도 패러디되었다. 《맨발의 겐》에서 주인공이 화가를 다치게해서 고용주가 찾아갔는데, 겐의 아는 화가가 더 잘그리자 그를 고용하는데 《요짐보》의 포스터였다.

데이빗 캐러딘 주연의 1984년 작품 The warrior and the sorceress는 구질구질한 판타지를 배경으로 요잠보를 거의 그대로 따라 만들었다. 그나마 차이점이라면 거의 나신으로 나오는 히로인이 스토리의 주요 인물이란 것이다.

[1] 똑같이 작중에 이름이 나오지 않는 주인공이 양 세력을 조종해서 서로 싸우게 한다는 이야기. 주인공은 사람을 딱 한 번만 죽인다. 구로사와는 요짐보를 베낀 황야의 무법자의 감독인 세르조 레오네가 해당 소설을 차용한 것이라고 항의하자 그 사실을 인정했고, 크레딧에 제대로 이름을 내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해미트의 아이디어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고백했다.#[2] 첫 번째는 《숨은 요새의 세 악인》.[3] 이후 사무라이 영화들이 서부영화들의 영향을 더 역수입하게 된다.[4]츠바키 산주로》에서 제대로 구현되지만...[5] 사실 초기 일본영화에서 흔히 보이는 특징이기도 했다.[6] 통칭 요짐보. 자매편인 츠바키 산주로와 매우 비슷하다. 물론 《요짐보》가 먼저이다.[7] 한스케가 지금껏 깡패들의 모든 악행을 묵인해주기 때문이었다. 이제 마을의 깡패들이 모두 사라졌으니 이 포졸이 어떻게 될 지는 불보듯 뻔한 일. 게다가 주인공 또한 고문으로 고생했다. [8] 오프닝에 주인공 이름이 안 나오는 것 등.[9] 참고로 이 내용은 2013학년도 수능 대비 EBS 외국어영역 교재 지문으로도 수록된 바가 있다. 수능특강으로 추정.[10] 자토이치는 훗날 왕우 주연의 외팔이 시리즈와 콜라보레이션을 한 적도 있다.[11] 초기 007 시리즈와 《오! 인천》의 감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요짐보 문서의 r1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요짐보 문서의 r1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1:58:54에 나무위키 요짐보(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