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산중학교(서울)

덤프버전 : (♥ 0)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오산고 본관 운동장 전경.jpg
학교 전경

오산 중학교
五山中學校
Osan Middle School
파일:오산중학교(서울) logo.png

개교1907년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자중학교
형태사립
학교법인오산학원(五山學園)
교장김미경
교감권하준
교훈사랑 정성 존경
교화무궁화
교목잣나무
학생 수307명[기준]
교직원 수31명[기준]
관할 교육청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주소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로 7길 17
홈페이지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4. 학교 특징
5. 학교 시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7. 운동부
7.1. 축구부 (FC서울 U-15)
7.2. 사격부
8. 출신 인물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9.2. 철도
10. 기타



1. 개요[편집]


오산중학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에 위치한 사립 남자중학교이다. 학교가 처음부터 이곳에 있진 않았는데 1907년 개교 당시에는 평안북도 정주시에 위치해 있었으나, 광복 이후 공산 학정을 피해 1953년에 부산광역시에 재건하였다가 1954년에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로 이전하고[1] 3년 뒤 1956년에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동에 이전되고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2]

2. 학교 연혁[편집]


연도연혁
1907남강 이승훈 선생이 오산학교를 세움
1910제1회 졸업식(졸업생 11명)
1910춘원 이광수 부임, 교가작사
1919조민식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과 학생 3.1운동 참가, 일본 관원의 방화로 학교 전소, 1년 6개월간 패교
1920노호 김기홍 선생 등의 노력으로 학교 재건 및 재개교
1926고등 보통학교(5년제) 설립인가
1930남강 이승훈 동상 제막
1936일제의 조선어 과목 폐지 명령에 맞서 조선어 수업 강행
1941전국야구 제패 전국유도 제패 축구 우승
1942개교 35주년 기념식
1952월남후 피난지 부산에서 동창회장 김홍일 장군 중심으로 오산학교 재건위원회 조직
1952부산 동대신동 가교사
1954정부의 서울 환도로 원효로 교사로 이전
1955서울 용산구 보광동 168번지 현 교정 교사 기공식
1962수영과 송구 전국 제패
1974고교평준화 단행, 동관, 도서관, 강당, 과학실 준공, 1971년 신관 준공
1984남강문화제단 창립
1987오산역사관 개관
1992일본 에이신고 자매결연
1995중국 치치할시 조선족중 자매결연
2007창립 100주년 기념식 거행 오산 100년사 발간


3. 교훈 및 상징[편집]


사랑 · 정성 · 존경

학교 상징은 같은 학교법인인 오산고등학교와 모두 같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학교 특징[편집]


운동부가 유명하다. 축구부와 사격부 모두 실력있는 팀이다. 축구부의 경우 서울시 외부지역에서 온 학생들도 꽤 많다.

학교 부지가 넓은 편이다. 게다가 높이 위치한 덕에 경치로도 유명하다.

"한국에서 교실 '창문 뷰'가 가장 아름답기로 소문난 서울의 한 고등학교"

5. 학교 시설[편집]


  • 본관
파일:오산중 건물 드론.jpg

파란색 지붕의 건물이며 과거 오산학교의 건물을 그대로 본따서 지은 건물이다. 몇 번의 보수작업을 거치며 처음 지어질 때와는 외관이 살짝 다르다. 현재는 오산중학교 건물로 사용되고 있으며 총 2층으로 되어있다. 중앙현관문을 포함해 건물의 문이 총 6개나 있다.
  • 대운동장
파일:오산중 대운동장.jpg

본관 앞에 있는 넓은 인조잔디 운동장이다. 과거에는 잔디가 깔려있지 않았었다. 보광동, 이태원동, 한남대교쪽 전망이 매우 좋다. 중학교 체육수업이나 중고등학교 축구부 훈련 및 시합에 이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6. 학교 생활[편집]




6.1. 주요 행사[편집]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다섯메 한마당: 매년 가을마다 열리는 동아리 발표회로, 가장 큰 행사이다.


6.2. 학교 일과[편집]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7. 운동부[편집]




7.1. 축구부 (FC서울 U-15)[편집]




오산중학교에 있는 축구부다.

7.2. 사격부[편집]


오산중학교에 있는 사격부다.

8. 출신 인물[편집]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9.1. 버스[편집]



보광동주민센터/보광동신동아아파트(03277·03278·03518)
간선
마을


보광신동아아파트삼성리버빌아파트/동빙고동(03274·03276)
지선


9.2. 철도[편집]


학교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들은 경의중앙선 서빙고역, 한남역6호선 이태원역이다.[3]


10.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08:17에 나무위키 오산중학교(서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기준] A B 2023년 03월 01일[1] 부산 교정은 분교로 운영했다.[2] 부산 교정은 폐쇄했다.[3] 다만 모두 1km 이상 멀리 있어서 지하철을 타고 등하교하기엔 애메한 거리다.